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diskpart의 set id 명령어에서 "The specified type is not in the correct format." 오류 발생

diskpart로 파티션의 타입을 변경할 때 "set id=..." 명령어를 사용하는데, 웬일인지 다음과 같이 오류가 발생합니다.

DISKPART> set id=27 override

The specified type is not in the correct format.
For more information on the command type: HELP SET

이런 경우, 해당 디스크의 파티션 스타일이 GPT 인가 확인해 봐야 합니다. 방법은 "list disk" 명령어로 "Gpt" 칼럼에 "*" 마크가 있는지 보면 됩니다.

DISKPART> list disk

  Disk ###  Status         Size     Free     Dyn  Gpt
  --------  -------------  -------  -------  ---  ---
* Disk 0    Online           64 GB      0 B        *
  Disk 1    Online           24 GB      0 B        *

위와 같이 출력되면 해당 디스크의 파티션 스타일은 MBR이 아닌, GPT 방식입니다. MBR/GPT 방식에 따라 "set id"에 지정하는 값이 다르므로 그에 맞춰 주어야 하는데, 0x27의 경우 "Recovery partition"을 의미하고 다음의 글에 나오는 것처럼,

Understanding Disk Partit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it-pro/windows-7/dd799232(v=ws.10)

GPT인 경우 0x27 대신 "de94bba4-06d1-4d40-a16a-bfd50179d6ac" 값을 설정해야 합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실행해 주면 정상적으로 파티션 타입이 변경됩니다.

DISKPART> set id=de94bba4-06d1-4d40-a16a-bfd50179d6ac

DiskPart successfully set the partition ID.

그다음, "detail part" 명령어로 설정값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DISKPART> detail part

Partition 4
Type    : de94bba4-06d1-4d40-a16a-bfd50179d6ac
Hidden  : Yes
Required: No
Attrib  : 0X8000000000000000
Offset in Bytes: 1048576

  Volume ###  Ltr  Label        Fs     Type        Size     Status     Info
  ----------  ---  -----------  -----  ----------  -------  ---------  --------
* Volume 1                      RAW    Partition    450 MB  Healthy    Hidden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07정성태3/29/20255106VS.NET IDE: 198.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6정성태3/27/20255251닷넷: 2327. C# - 초기화되지 않은 메모리에 접근하는 버그?파일 다운로드1
13905정성태3/26/20255300Windows: 281. C++ - Windows / Critical Section의 안정화를 위해 도입된 "Keyed Event"파일 다운로드1
13904정성태3/25/20254374디버깅 기술: 218. Windbg로 살펴보는 Win32 Critical Section파일 다운로드1
13903정성태3/24/20253219VS.NET IDE: 197. (OneDrive, Dropbox 등의 공유 디렉터리에 있는) C++ 프로젝트의 출력 경로 변경하기
13902정성태3/24/20253952개발 환경 구성: 742. Oracle - 테스트용 hr 계정 및 데이터 생성파일 다운로드1
13901정성태3/9/20254303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13900정성태3/8/20255657스크립트: 72. 파이썬 - SQLAlchemy + oracledb 연동
13899정성태3/7/20253319스크립트: 71. 파이썬 - asyncio의 ContextVar 전달
13898정성태3/5/20254271오류 유형: 948. Visual Studio - Proxy Authentication Required: dotnetfeed.blob.core.windows.net
13897정성태3/5/20255499닷넷: 2326.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3896정성태3/5/20255234Windows: 279. Hyper-V Manager - VM 목록의 CPU Usage 항목이 항상 0%로 나오는 문제
13895정성태3/4/20255170Linux: 117. eBPF / bpf2go - Map에 추가된 요소의 개수를 확인하는 방법
13894정성태2/28/20254981Linux: 116. eBPF / bpf2go - BTF Style Maps 정의 구문과 데이터 정렬 문제
13893정성태2/27/20254240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3892정성태2/24/20256292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1정성태2/23/20254491닷넷: 2324. C# - 프로세스의 성능 카운터용 인스턴스 이름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0정성태2/21/20254099닷넷: 2323.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889정성태2/20/20255939닷넷: 2322.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성능 카운터, WMI) [1]파일 다운로드1
13888정성태2/17/20254896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7정성태2/17/20256718닷넷: 2320. Blazor의 razor 페이지에서 code-behind 파일로 코드를 분리 및 DI 사용법
13886정성태2/15/20254569VS.NET IDE: 196. Visual Studio -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방법
13885정성태2/14/20256586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4정성태2/13/20256891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파일 다운로드1
13883정성태2/12/20256593닷넷: 2317. C# - Memory Mapped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2정성태2/10/20254590스크립트: 70. 파이썬 - oracledb 패키지 연동 시 Thin / Thick 모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