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관리 콘솔을 실행하면 "This app has been blocked for your protection" 오류 발생

딱히 뭐가 문제였는지는 알 수 없지만, 잘못 삭제한 프로그램을 복구하느라 이거저거 만지고 부팅한 순간 모든 "관리 콘솔"들이 실행할 때마다 다음과 같은 창이 뜨면서,

mmc_blocked_1.png

"
User Access Control

This app has been blocked for your protection.

An administrator has blocked you from running this app. For more information, contact the administrator.

mmc.exe

Publisher: Unknown
File origin: Hard drive on this computer
Program location: "C:\WINDOWS\system32\mmc.exe" "C:\WINDOWS\system32\comexp.msc"

Show information about the publisher's certificate
"


실행이 안됩니다. 오류 메시지에 나오는 데로, "mmc.exe"를 경유한 모든 관리 도구들을 사용할 수 없는 상태가 된 것입니다. 불편하지만, 일단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 command prompt를 띄워 실행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이렇게!

C:\Windows\System32>mmc comexp.msc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이 나오는데,

Can't open Device Manager in Windows 10 - blocked by Administrator 
; https://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windows_10-hardware/cant-open-device-manager-in-windows-10-blocked-by/70e3a320-6ffe-4df3-9a5f-b9611e864a5c

별로 도움이 되지 않았습니다. sfc.exe를 실행하라는 결과에서도 이상한 점이 나옵니다.

C:\Windows\System32>sfc /scannow

Beginning system scan.  This process will take some time.

Beginning verification phase of system scan.
Verification 100% complete.

Windows Resource Protection found corrupt files but was unable to fix some
of them. Details are included in the CBS.Log windir\Logs\CBS\CBS.log. For
example C:\Windows\Logs\CBS\CBS.log. Note that logging is currently not
supported in offline servicing scenarios.

못 고친다니... 저더러 어쩌란 말입니까? ^^;




결국, 해결책은 찾지 못했고 혹시나 하는 마음에 "복구 모드"로 부팅한 다음, 마지막 복구 지점이 하나 있길래 그 시점으로 복원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했습니다. 뭐가 문제를 발생시킨 것인지 원인을 모르니,,, 여전히 찝찝하지만!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9-04 02시26분
후기를 써야겠군요. 이 현상이 복구 모드를 하면 복원은 되지만 향후 어느 시점에 또 발생하게 됩니다. 개인적으로 해결책은 못 찾았고, 결국 다시 설치를 했습니다. 혹시 저 현상을 해결하신 분이 있다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 (또는, 일단 급한 대로 복구 모드로 복원을 한 후 시간있을 때 안전하게 재설치를 하실 것을 권장합니다.)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3정성태9/17/201225764.NET Framework: 337. Python의 생성기와 코루틴을 C#으로 표현하면. [2]파일 다운로드1
1352정성태9/13/201223817.NET Framework: 336. .NET Profiler가 COM 개체일까?
1351정성태9/13/201228241디버깅 기술: 49. windbg - .NET Framework 스레드 개체의 COM Apartment 유형 확인하는 방법
1350정성태9/12/201228904개발 환경 구성: 167. (실은) 무료가 아니었던 AWS EC2 서비스 [4]
1349정성태9/11/201260639VS.NET IDE: 74. Visual Studio의 '새 파일'을 UTF-8 인코딩으로 지정하는 방법 [4]
1348정성태9/11/201228083오류 유형: 164. Active Directory - Functional Level 승격이 안 되는 문제
1347정성태9/10/201230529Windows: 62.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 서버 마이그레이션 [1]
1346정성태9/10/201231410Windows: 61. 윈도우 서버 2012 - Active Directory 서버 마이그레이션
1345정성태9/10/201235451스크립트: 12. 파이썬 - Win32 DLL 연동 [2]
1344정성태9/10/201228575오류 유형: 163. .NET Framework 4.5 제거 후 Visual Studio 2010 실행 시 Unknown Error
1343정성태9/8/201242341스크립트: 11. 파이썬(Python) 윈도우 개발 환경 [7]
1342정성태9/6/201226518VS.NET IDE: 73. Visual Studio 2012 - XmlCodeGenerator 마이그레이션
1341정성태9/4/201235843Windows: 60. Hyper-V에서 RemoteFX 없이 DirectX 11 제공 [12]
1340정성태9/4/201228037개발 환경 구성: 166. DOS - ping 결과에서 평균 응답 시간값 추출하기 [3]
1339정성태9/4/201230469개발 환경 구성: 165. 새로운 Visual Studio 2012 원격 디버깅 툴 [5]
1338정성태9/4/201232295.NET Framework: 335. C# - (핸들을 이용하여) 모든 열린 파일을 열람 [6]파일 다운로드1
1337정성태8/30/201222073Phone: 7. 디버거로 실습해 보는 윈도우 폰의 Tombstone 상태파일 다운로드1
1336정성태8/30/201240135.NET Framework: 334. 스레드 비정상 종료로 발생하는 CLOSE_WAIT 소켓 상태 [2]파일 다운로드1
1335정성태8/30/201228884Windows: 59. Hyper-V Internal 네트워크 VM의 인터넷 접속
1334정성태8/29/201248142.NET Framework: 333. 코드로 재현하는 소켓 상태(FIN_WAIT1, FIN_WAIT2, TIME_WAIT, CLOSE_WAIT, LAST_WAIT) [6]
1333정성태8/27/201251617개발 환경 구성: 164. system32 폴더에 있는 파일의 권한 조정 [2]
1332정성태8/23/201223515Team Foundation Server: 48. TFS - Team Project Collection 이전하는 방법
1331정성태8/23/201226656오류 유형: 162. Database '...' already exists. Choose a different database name. (Microsoft SQL Server, Error: 1801)
1330정성태8/22/201227414Team Foundation Server: 47. 5인 이내의 팀, 또는 개인 로컬 소스 관리를 위한 무료 TFS Express
1329정성태8/21/201222890오류 유형: 161. Azure - Storage 삭제가 안되는 경우 [1]
1328정성태8/20/201233294개발 환경 구성: 163. IIS 7 - "MIME Types" 설정 아이콘이 없는 경우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