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2개 있습니다.)
Windows: 63. 윈도우 서버 2012 - Hyper-V의 새로운 기능 Live Migration
; https://www.sysnet.pe.kr/2/0/1356

개발 환경 구성: 211. Hyper-V - Generation 2 유형의 VM 생성 시 ISO 부팅이 안된다면?
; https://www.sysnet.pe.kr/2/0/1603

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42

개발 환경 구성: 317. Hyper-V 내의 VM에서 다시 Hyper-V를 설치: Nested Virtualization
; https://www.sysnet.pe.kr/2/0/11218

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1720

.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
; https://www.sysnet.pe.kr/2/0/11722

디버깅 기술: 169. Hyper-V의 VM에 대한 메모리 덤프를 뜨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4

개발 환경 구성: 608. Hyper-V 가상 머신에 Console 모드로 로그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59

개발 환경 구성: 664.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3246

Windows: 259. Hyper-V Generation 1 유형의 VM을 Generation 2 유형으로 바꾸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64

개발 환경 구성: 718. Hyper-V - 리눅스 VM에 새로운 디스크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706

Windows: 280. Hyper-V의 3가지 Thread Scheduler (Classic, Core, Root)
; https://www.sysnet.pe.kr/2/0/13901




Hyper-V 내의 VM에서 다시 Hyper-V를 설치: Nested Virtualization

최근 지인의 Facebook을 통해 알게 된 재미있는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

Tuesdays with Corey: M-Series and Nested Virtualization on Azure
; https://channel9.msdn.com/Shows/Tuesdays-With-Corey/Tuesdays-with-Corey-M-Series-and-Nested-Virtualization-on-Azure

저걸 보면서... Azure에도 있는데, 혹시 Windows 운영체제의 Hyper-V에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찾아봤더니 역시나 있었습니다.

가상화안에 또 다른 가상화를, Nested Virtualization
; https://docs.microsoft.com/en-us/archive/blogs/koalra/nested-virtualization

즉, 윈도우 운영체제에 내장된 Hyper-V에서는 벌써부터 중첩 가상화가 지원되었던 것입니다. 단지, 그다지 사용 사례가 많지 않을 거라 생각했는지 Hyper-V 관리 콘솔에서의 설정은 지원되지 않고 Powershell로 명시적으로 활성화시켜야만 합니다.

가령 제 컴퓨터의 Hyper-V에 설치한 win10en64라는 VM에 중첩 가상화가 설정되어 있는지 다음의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PS C:\WINDOWS\system32> GET-VMProcessor -VMName win10en64  | Format-List *

VMCheckpointId                               :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VMCheckpointName                             : 
ResourcePoolName                             : Primordial
Count                                        : 4
CompatibilityForMigrationEnabled             : False
CompatibilityForOlderOperatingSystemsEnabled : False
HwThreadCountPerCore                         : 1
ExposeVirtualizationExtensions               : False
Maximum                                      : 100
Reserve                                      : 0
RelativeWeight                               : 100
MaximumCountPerNumaNode                      : 8
MaximumCountPerNumaSocket                    : 1
EnableHostResourceProtection                 : False
OperationalStatus                            : {}
StatusDescription                            : {}
Name                                         : Processor
Id                                           : Microsoft:CCD4E0B9-8880-4557-AE8E-FCCA2A29AFF2\b637f346-6a0e-4dec-af52-bd70cb80a21d\0
VMId                                         : ccd4e0b9-8880-4557-ae8e-fcca2a29aff2
VMName                                       : win10en64
VMSnapshotId                                 : 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0
VMSnapshotName                               : 
CimSession                                   : CimSession: .
ComputerName                                 : TESTPC
IsDeleted                                    : False

ExposeVirtualizationExtensions 설정이 False로 되어 있는데, 이를 다음의 명령어로 True로 바꿔주면 중첩 가상화가 활성화됩니다.

PS C:\WINDOWS\system32> Set-VMProcessor -VMNAME win10en64 -ExposeVirtualizationExtensions:$True 

참고로, 해당 VM이 실행 중이면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하니,

Set-VMProcessor : Failed to modify device 'Processor'.
Cannot change the processor functionality of a virtual machine now.
'win10en64' failed to modify device 'Processor'. (Virtual machine ID CCD4E0B9-8880-4557-AE8E-FCCA2A29AFF2)
Cannot change the processor functionality of virtual machine 'win10en64' while it is running. (Virtual machine ID CCD4E0B9-8880-4557-AE8E-FCCA2A29AFF2)
At line:2 char:2
+  Set-VMProcessor -VMNAME win10en64 -ExposeVirtualizationExtensions:$T ...
+  ~~~~~~~~~~~~~~~~~~~~~~~~~~~~~~~~~~~~~~~~~~~~~~~~~~~~~~~~~~~~~~~~~~~~
    + CategoryInfo          : InvalidOperation: (:) [Set-VMProcessor], Virtualization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InvalidState,Microsoft.HyperV.PowerShell.Commands.SetVMProcessor

반드시 VM을 끄고 합니다.




ExposeVirtualizationExtensions 설정을 활성화했으면, 해당 VM 내에서 다시 Hyper-V 구성 요소를 설치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제약 조건은, 그 VM의 운영체제가 Windows 10 TH2(10576+) 이상이어야 한다는 점입니다.

당연하지만, Hyper-V뿐만 아니라 VirtualBox 역시 설치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테스트를 위해 ExposeVirtualizationExtensions == False 상태의 VM에서 VirtualBox를 설치해 가상 VM을 생성하려고 시도해봤습니다. 물론 이대로는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가상 머신 xxx의 세션을 열 수 없습니다.

VT-x is not available (VERR_VMX_NO_VMX).

결과 코드: 
E_FAIL (0x80004005)
구성 요소: 
ConsoleWrap
인터페이스: 
IConsole {872da645-4a9b-1727-bee2-5585105b9eed}

재미있는 것은, 해당 VM의 메모리 설정을 4GB에서 2GB로 낮추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만 뜰 뿐,

nested_virtual_1.png

"
시스템에서 VT-x/AMD-V 하드웨어 가속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OS/2나 QNX같은 일부 게스트 운영 체제는 이 기능이 필요하며, 사용하지 않으면 부팅할 수 없습니다.
"


"계속" 버튼을 누르면 VM 생성 단계로 넘어간다는 점입니다. 하지만, VirtualBox.exe 프로세스 사용률이 25%로 올라만 갈 뿐 더 이상 진전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어쨌든 Hyper-V 내의 VM에서는 VirtualBox를 다시 띄워서 가상 머신을 생성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ExposeVirtualizationExtensions == True 상태로 바꿔주면 VM 내의 VirtualBox에서도 다시 VM을 설치하는 데 문제가 없습니다.

(그렇긴 한데, 안정성 측면에서 봤을 때 VirtualBox보다는 역시 Hyper-V를 중첩해서 이용하는 것이 더 나을 듯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712정성태7/15/202116109개발 환경 구성: 579. Azure - 리눅스 호스팅의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1정성태7/15/202116130개발 환경 구성: 578. Azure - Java Web App Service를 위한 Site Extension 제작 방법
12710정성태7/15/202118752개발 환경 구성: 577. MQTT - emqx.io 서비스 소개
12709정성태7/14/202114284Linux: 42. 실행 중인 docker 컨테이너에 대한 구동 시점의 docker run 명령어를 확인하는 방법
12708정성태7/14/202118492Linux: 41. 리눅스 환경에서 디스크 용량 부족 시 원인 분석 방법
12707정성태7/14/202185727오류 유형: 734. MySQL - Authentication method 'caching_sha2_password' not supported by any of the available plugins.
12706정성태7/14/202116911.NET Framework: 1076. C# - AsyncLocal 기능을 CallContext만으로 구현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2705정성태7/13/202117295VS.NET IDE: 168. x64 DLL 프로젝트의 컨트롤이 Visual Studio의 Designer에서 보이지 않는 문제 - 두 번째 이야기
12704정성태7/12/202116088개발 환경 구성: 576. Azure VM의 서비스를 Azure Web App Service에서만 접근하도록 NSG 설정을 제한하는 방법
12703정성태7/11/202121465개발 환경 구성: 575. Azure VM에 (ICMP) ping을 허용하는 방법
12702정성태7/11/202117170오류 유형: 733. TaskScheduler에 등록된 wacs.exe의 Let's Encrypt 인증서 업데이트 문제
12701정성태7/9/202116721.NET Framework: 1075. C# - ThreadPool의 스레드는 반환 시 ThreadStatic과 AsyncLocal 값이 초기화 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2700정성태7/8/202117160.NET Framework: 1074. RuntimeType의 메모리 누수? [1]
12699정성태7/8/202115694VS.NET IDE: 167. Visual Studio 디버깅 중 GC Heap 상태를 보여주는 "Show Diagnostic Tools" 메뉴 사용법
12698정성태7/7/202119942오류 유형: 732. Windows 11 업데이트 시 3% 또는 0%에서 다운로드가 멈춘 경우
12697정성태7/7/202115011개발 환경 구성: 574. Windows 11 (Insider Preview) 설치하는 방법
12696정성태7/6/202115969VC++: 146. 운영체제의 스레드 문맥 교환(Context Switch)을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2695정성태7/3/202115997VC++: 145. C 언어의 setjmp/longjmp 기능을 Thread Context를 이용해 유사하게 구현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94정성태7/2/202117937Java: 24. Azure - Spring Boot 앱을 Java SE(Embedded Web Server)로 호스팅 시 로그 파일 남기는 방법 [1]
12693정성태6/30/202114879오류 유형: 731. Azure Web App Site Extension - Failed to install web app extension [...]. {1}
12692정성태6/30/202115360디버깅 기술: 180. Azure - Web App의 비정상 종료 시 남겨지는 로그 확인
12691정성태6/30/202115617개발 환경 구성: 573. 테스트 용도이지만 테스트에 적합하지 않은 Azure D1 공유(shared) 요금제
12690정성태6/28/202116629Java: 23. Azure - 자바(Java)로 만드는 Web App Service - Tomcat 호스팅
12689정성태6/25/202118329오류 유형: 730. Windows Forms 디자이너 - The class Form1 can be designed, but is not the first class in the file. [1]
12688정성태6/24/202117653.NET Framework: 1073. C# - JSON 역/직렬화 시 리플렉션 손실을 없애는 JsonSrcGen [2]파일 다운로드1
12687정성태6/22/202114970오류 유형: 729. Invalid data: Invalid artifact, java se app service only supports .jar artifact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