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402. Windows Server Backup 관리 콘솔이 없어진 경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95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ows Server Backup 관리 콘솔이 없어진 경우

아래의 실습 과정에서,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1115

"Remote Desktop Services" 역할과 그 하위의 "Remote Desktop Session Host(RDSH)"를 설치한 후, 이것이 필요없어져서 다시 제거를 했는데 이후 제어판의 "Administrative Tools" / "Windows Server Backup(wbadmin.msc)" 항목이 없어졌습니다.

관련해서 검색해 보니,

2012 Windows Server Backup UI (wbadmin.msc) is missing?
; https://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windowsserver/en-US/fc9f0aa6-b56b-4c0e-8b91-ffcfd855476b/2012-windows-server-backup-ui-wbadminmsc-is-missing-?forum=windowsbackup

위의 글에서처럼 "Network Load Balancing" 역할을 설치하면 다시 wbadmin.msc가 생긴다고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8/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96정성태3/18/201523310VC++: 90. Visual Studio 2013에서 Visual Basic 6용 ATL Control 제작
2895정성태3/18/201527085VC++: 89. Visual Studio 2015 - auto 반환 타입 및 thread_local 예약어 지원(C++ 11 표준) [2]
2894정성태3/18/201524038.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2893정성태3/18/201525661오류 유형: 277. command line error MIDL1004: cannot execute C preprocessor cl.exe
2892정성태3/17/201530771오류 유형: 276. robocopy - Logon failure: unknown user name or bad password.
2891정성태3/17/201546631개발 환경 구성: 262. Visual Basic 6 (Enterprise Edition)을 Windows 7 x86에 설치하는 방법 [1]
2890정성태3/17/201527845오류 유형: 275. Internet Explorer - This page can't be displayed
2889정성태3/17/201529651Windows: 107. (2015-03-12) 업데이트 이후 작업 표시줄 또는 탐색기의 반응이 느려지는 문제 [1]
2888정성태3/17/201527574.NET Framework: 508. Visual Studio 빌드 - fatal error C1033: cannot open program database ''
2887정성태3/13/201525026.NET Framework: 507. CoreFx 빌드하는 방법
2886정성태3/13/201526826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
2885정성태3/13/201537442VS.NET IDE: 99. Visual Studio는 2019는 32비트, 2022부터 64비트 버전입니다. [2]
2884정성태3/12/201531524.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5]
2883정성태3/10/201528152.NET Framework: 505. OpenCover 소스 코드 분석을 Visual Studio 2013에서 하는 방법 [1]
2882정성태3/10/201527007.NET Framework: 504. OpenCover 코드 커버리지 도구의 동작 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Calli IL 코드 사용법
2881정성태3/9/201527761개발 환경 구성: 261. OpenCover 오픈 소스를 이용한 .NET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2880정성태3/7/201525712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30981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2878정성태2/28/201531828.NET Framework: 503. == 연산자보다는 Equals 메서드의 호출이 더 권장됩니다. [3]파일 다운로드1
2877정성태2/28/201524920.NET Framework: 502. 연산자 재정의(operator overloading)와 메서드 재정의(method overriding)의 다른 점 - 가상 함수 호출 여부 [3]파일 다운로드1
2876정성태2/27/201527578VS.NET IDE: 98. IntegraStudio - Visual Studio에서 Java 프로그램 개발
2875정성태2/26/201527369디버깅 기술: 72.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2874정성태2/26/201523237디버깅 기술: 71. windbg + 닷넷 디버깅 (2) - null 체크 패턴
2873정성태2/25/201541553.NET Framework: 501. FtpWebRequest 타입을 이용해 FTP 파일 업로드 [4]파일 다운로드1
2872정성태2/25/201525415디버깅 기술: 70. windbg + 닷넷 디버깅 (1) - 배열 인덱스 사용 패턴
2871정성태2/24/201528915개발 환경 구성: 258.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하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