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Windows Server Backup 관리 콘솔이 없어진 경우 아래의 실습 과정에서, 윈도우 서버 2016에서 플래시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1115 "Remote Desktop Services" 역할과 그 하위의 "Remote Desktop Session Host(RDSH)"를 설치한 후, 이것이 필요없어져서 다시 제거를 했는데 이후 제어판의 "Administrative Tools" / "Windows Server Backup(wbadmin.msc)" 항목이 없어졌습니다. 관련해서 검색해 보니, 2012 Windows Server Backup UI (wbadmin.msc) is missing? ; https://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windowsserver/en-US/fc9f0aa6-b56b-4c0e-8b91-ffcfd855476b/2012-windows-server-backup-ui-wbadminmsc-is-missing-?forum=windowsbackup 위의 글에서처럼 "Network Load Balancing" 역할을 설치하면 다시 wbadmin.msc가 생긴다고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제니퍼 .NET: 26.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6) - 잦은 Recycle 문제[이전 글] 개발 환경 구성: 320. Visual Basic .NET 프로젝트에서 내장 Manifest 자원을 EXE 파일로부터 제거하는 방법 [최초 등록일: 6/27/2017] [최종 수정일: 6/28/2017]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302정성태3/30/202315292Windows: 240. RDP 환경에서 바뀌는 %TEMP% 디렉터리 경로13301정성태3/29/202315566Windows: 239. C/C++ - Windows 10 Version 1607부터 지원하는 /DEPENDENTLOADFLAG 옵션 [1]113300정성태3/28/202314737Windows: 238. Win32 - Modal UI 창에 올바른 Owner(HWND)를 설정해야 하는 이유13299정성태3/27/202314744Windows: 237. Win32 - 모든 메시지 루프를 탈출하는 WM_QUIT 메시지13298정성태3/27/202313949Windows: 236. Win32 - MessageBeep 소리가 안 들린다면?13297정성태3/26/202316175Windows: 235. Win32 - Code Modal과 UI Modal13296정성태3/25/202315303Windows: 234. IsDialogMessage와 협업하는 WM_GETDLGCODE Win32 메시지 [1]113295정성태3/24/202315052Windows: 233. Win32 - modeless 대화창을 modal처럼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113294정성태3/22/202315066.NET Framework: 2105. LargeAddressAware 옵션이 적용된 닷넷 32비트 프로세스의 가용 메모리 - 두 번째13293정성태3/22/202314135오류 유형: 853. dumpbin - warning LNK4048: Invalid format file; ignored13292정성태3/21/202314822Windows: 232. C/C++ - 일반 창에도 사용 가능한 IsDialogMessage113291정성태3/20/202314864.NET Framework: 2104. C# Windows Forms - WndProc 재정의와 IMessageFilter 사용 시의 차이점13290정성태3/19/202315605.NET Framework: 2103. C# - 윈도우에서 기본 제공하는 FindText 대화창 사용법113289정성태3/18/202314116Windows: 231.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자식 윈도우를 생성하는 방법113288정성태3/17/202314744Windows: 230. Win32 - 대화창의 DLU 단위를 pixel로 변경하는 방법113287정성태3/16/202314717Windows: 229. Win32 - 대화창 템플릿의 2진 리소스를 읽어들여 윈도우를 직접 띄우는 방법113286정성태3/15/202315056Windows: 228. Win32 - 리소스에 포함된 대화창 Template의 2진 코드 해석 방법13285정성태3/14/202314301Windows: 227. Win32 C/C++ - Dialog Procedure를 재정의하는 방법 [2]113284정성태3/13/202313657Windows: 226. Win32 C/C++ - Dialog에서 값을 반환하는 방법113283정성태3/12/202311483오류 유형: 852. 파이썬 - TypeError: coercing to Unicode: need string or buffer, NoneType found13282정성태3/12/202312061Linux: 58. WSL - nohup 옵션이 필요한 경우13281정성태3/12/202313459Windows: 225. 윈도우 바탕화면의 아이콘들이 넓게 퍼지는 경우 [2]13280정성태3/9/202315881개발 환경 구성: 670. WSL 2에서 호스팅 중인 TCP 서버를 외부에서 접근하는 방법13279정성태3/9/202315046오류 유형: 851. 파이썬 ModuleNotFoundError: No module named '_cffi_backend'13278정성태3/8/202314880개발 환경 구성: 669. WSL 2의 (init이 아닌) systemd 지원 [1]13277정성태3/6/202315202개발 환경 구성: 668. 코드 사인용 인증서 신청 및 적용 방법(예: Digicert)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