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SharePoint 2013 설치 과정에서 "The username is invalid The account must be a valid domain account" 오류 발생 "SharePoint Products Configuration Wizard" 창에서 DB 정보 입력하는 창에 DB 접속 권한이 있는 도메인 계정을 입력해도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 창이 나옵니다. The username is invalid The account must be a valid domain account 관련해서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들이 나오는데요. "The username is invalid. The account must be a valid domain account." ; https://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en-US/b06e36e8-f552-49ca-9282-4e3e07ed5e8e/the-username-is-invalid-the-account-must-be-a-valid-domain-account?forum=sharepointgeneralprevious Issue SharePoint 2013: The username is invalid. The account must be a valid domain account ; https://nkdagility.com/issue-sharepoint-2013-the-username-is-invalid-the-account-must-be-a-valid-domain-account/ 첫 번째 글은 SharePoint를 설치할 컴퓨터를 AD로부터 제거한 다음 다시 참여시켰더니 해결되었다는 글입니다. 두 번째 글은 설치 시작을 setup.exe를 통해서가 아닌, PowerShell을 실행하고 New-SPConfigurationDatabase 명령어로 실행했더니 해결되었다는 글입니다. 제 경우에는, 해당 컴퓨터를 단순히 재시작한 다음 DB 접속 계정으로 지정한 바로 그 계정으로 로그인 후 구성을 했더니 정상 동작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Math: 20. Matlab/Octave로 Gram-Schmidt 정규 직교 집합 구하는 방법[이전 글] 오류 유형: 403. SharePoint Server 2013을 Windows Server 2016에 설치할 때 .NET 4.5 설치 오류 발생 [최초 등록일: 6/29/2017] [최종 수정일: 6/29/2017]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94정성태4/12/20249818닷넷: 2236. C# - Audio 장치 열람 (Windows Multimedia, NAudio)113593정성태4/8/20249025닷넷: 2235. MSBuild - AccelerateBuildsInVisualStudio 옵션13592정성태4/2/202411352C/C++: 165. CLion으로 만든 Rust Win32 DLL을 C#과 연동 [1]13591정성태4/2/20249493닷넷: 2234. C# - WPF 응용 프로그램에 Blazor App 통합113590정성태3/31/20249279Linux: 70. Python - uwsgi 응용 프로그램이 k8s 환경에서 OOM 발생하는 문제13589정성태3/29/20249652닷넷: 2233. C# - 프로세스 CPU 사용량을 나타내는 성능 카운터와 Win32 API113588정성태3/28/202410722닷넷: 2232. C# - Unity + 닷넷 App(WinForms/WPF) 간의 Named Pipe 통신 [2]113587정성태3/27/20249587오류 유형: 900. Windows Update 오류 - 8024402C, 8007064313586정성태3/27/202412535Windows: 263. Windows - 복구 파티션(Recovery Partition) 용량을 늘리는 방법13585정성태3/26/202410180Windows: 262. PerformanceCounter의 InstanceName에 pid를 추가한 "Process V2"13584정성태3/26/202411836개발 환경 구성: 708. Unity3D - C# Windows Forms / WPF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 [9]113583정성태3/25/20249744Windows: 261. CPU Utilization이 100% 넘는 경우를 성능 카운터로 확인하는 방법13582정성태3/19/202410882Windows: 260. CPU 사용률을 나타내는 2가지 수치 - 사용량(Usage)과 활용률(Utilization)113581정성태3/18/202410543개발 환경 구성: 707. 빌드한 Unity3D 프로그램을 C++ Windows Application에 통합하는 방법13580정성태3/15/20249514닷넷: 2231. C# - ReceiveTimeout, SendTimeout이 적용되지 않는 Socket await 비동기 호출113579정성태3/13/202410445오류 유형: 899. HTTP Error 500.32 - ANCM Failed to Load dll13578정성태3/11/202411175닷넷: 2230. C# - 덮어쓰기 가능한 환형 큐 (Circular queue)113577정성태3/9/202411129닷넷: 2229. C# - 닷넷을 위한 난독화 도구 소개 (예: ConfuserEx)13576정성태3/8/202410391닷넷: 2228. .NET Profiler - IMetaDataEmit2::DefineMethodSpec 사용법13575정성태3/7/202410912닷넷: 2227. 최신 C# 문법을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 쓸 수 있을까요?13574정성태3/6/202410352닷넷: 2226. C# - "Docker Desktop for Windows" Container 환경에서의 IPv6 DualMode 소켓13573정성태3/5/20249510닷넷: 2225. Windbg - dumasync로 분석하는 async/await 호출13572정성태3/4/20249516닷넷: 2224. C# - WPF의 Dispatcher Queue로 알아보는 await 호출의 hang 현상113571정성태3/1/20249489닷넷: 2223. C# - await 호출과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113570정성태2/29/202410154닷넷: 2222. C# - WPF의 Dispatcher Queue 동작 확인113569정성태2/28/202410246닷넷: 2221. C# - LoadContext, LoadFromContext 그리고 GAC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