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663. C# - PDB 파일 경로를 PE 파일로부터 얻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254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6개 있습니다.)

C# - PDB 파일 경로를 PE 파일로부터 얻는 방법

아래와 같은 질문이 나온 김에,

서드파티 dll 디버깅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https://www.sysnet.pe.kr/3/0/4852

PE(Portable Executables) 포맷에 대한 지식도 넓힐 겸, PE 바이너리 파일로부터 연관된 PDB 파일 경로를 얻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Visual Studio에서 다음과 같은 단순 프로젝트를 빌드한 후,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
        }
    }
}

PEViewer 등을 통해 확인해 보면 "IMAGE_DEBUG_DIRECTORY"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e_debug_pdb_1.png

위의 내용에서 "Pointer to Raw Data" == "0x83C"이고 그 위치에는 "IMAGE_DEBUG_TYPE_CODEVIEW" 타입의 데이터가 위치해 있습니다.

pe_debug_pdb_2.png




그럼, 코드를 통해 이 값들을 추적해 볼까요? ^^

우선 PE 파일을 다룰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Nuget으로부터 추가한 후,

Install-Package Workshell.PE

// 또는 직접 만들거나,
libpe - PE32/PE32+ Binaries Viewer Library
; https://www.codeproject.com/Articles/5205732/libpe-PE32-PE32plus-Binaries-Viewer-Library

IMAGE_DEBUG_DIRECTORY를 다음과 같이 가져올 수 있지만,

Workshell.PE.ExecutableImage pe = Workshell.PE.ExecutableImage.FromFile("ConsoleApp1.exe");

foreach (var item in pe.NTHeaders.DataDirectories)
{
    if (item.DirectoryType == Workshell.PE.DataDirectoryType.Debug)
    {
        ShowDebugDirectoryInfo(pe, item);
        return;
    }
}

private static void ShowDebugDirectoryInfo(Workshell.PE.ExecutableImage pe, DataDirectory item)
{
    Console.WriteLine("Debug directory: ");
    Console.WriteLine("\t RVA: " + item.VirtualAddress.ToString("x"));
    Console.WriteLine("\t Size: " + item.Size.ToString("x"));
           
    LocationCalculator calc = pe.GetCalculator();

    ulong offset = calc.RVAToOffset(item.VirtualAddress);
    // offset == IMAGE_DEBUG_TYPE_CODEVIEW 영역을 가리키는 파일의 위치

    // var textSection = item.GetSection();
    // offset = item.VirtualAddress - textSection.Location.RelativeVirtualAddress + textSection.Location.FileOffset;
}

그냥 이렇게 간단하게 구하는 방법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

Workshell.PE.ExecutableImage pe = Workshell.PE.ExecutableImage.FromFile("ConsoleApp1.exe");

DebugDirectory debugDir = DebugDirectory.Get(pe);
DebugDirectoryEntry debugEntry = debugDir[0]; // debugEntry == IMAGE_DEBUG_DIRECTORY 데이터

IMAGE_DEBUG_DIRECTORY가 가리키는 IMAGE_DEBUG_TYPE_CODEVIEW의 데이터를 구해오는 방법은 debugEntry.PointerToRawData가 가리키는 파일 위치의 데이터를 debugEntry.SizeOfData 만큼 읽어오면 됩니다. 하지만, Workshell.PE 라이브러리는 이에 대한 것도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가져오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DebugData debugData = DebugData.Get(debugEntry);
byte [] buf = debugData.GetBytes(); // buf == IMAGE_DEBUG_TYPE_CODEVIEW 데이터

위의 buf 내용은 PEView 도구를 통해 본 IMAGE_DEBUG_TYPE_CODEVIEW의 데이터와 일치합니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buf 내용을 분석해 봐야 할 텐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 포맷과 함께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Matching debug information
; http://www.debuginfo.com/articles/debuginfomatch.html

위의 문서에 보면 IMAGE_DEBUG_DIRECTORY가 n 개의 IMAGE_DEBUG_TYPE_CODEVIEW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 출처: http://www.debuginfo.com/articles/debuginfomatch.html]
pe_debug_pdb_3.gif

그렇다면, 우리의 코드가 다음과 같이 바뀌어야겠군요.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Workshell.PE.ExecutableImage pe = Workshell.PE.ExecutableImage.FromFile("ConsoleApp1.exe");

    DebugDirectory debugDir = DebugDirectory.Get(pe);

    foreach (var debugEntry in debugDir)
    {
        if (debugEntry.Type == 2) // 2 == IMAGE_DEBUG_TYPE_CODEVIEW
        {
            ShowDebugData(debugEntry);
            Console.WriteLine();
        }
    }
}

private static void ShowDebugData(DebugDirectoryEntry debugEntry)
{
    DebugData debugData = DebugData.Get(debugEntry);
    byte [] buf = debugData.GetBytes();

    Console.WriteLine(debugEntry.GetEntryType() + ": Len == " + buf.Length);
}

IMAGE_DEBUG_DIRECTORY가 포함한 디버그 정보가 IMAGE_DEBUG_TYPE_CODEVIEW 타입인 경우 해당 CodeView 구조는 첫 번째 4바이트의 Signature로 구별할 수 있는 다양한 버전이 존재합니다.

"NB09" - CodeView 4.10 (디버그 정보가 실행 파일 안에 있는 경우)
"NB11" - CodeView 5.0 (디버그 정보가 실행 파일 안에 있는 경우)
"NB10" - PDB 2.0 파일을 가리키는 경우
"RSDS" - PDB 7.0 파일을 가리키는 경우

(참고로, PDB가 아닌 DBG 파일에 보관된 경우 디버그 정보의 타입은 IMAGE_DEBUG_TYPE_MISC)

그런데... NB10을 보니 어디선가 낯이 익습니다. 오호~~~ 예전에 한번 살펴본 글이 있습니다. ^^

PDB 기호 파일의 경로 구성 방식
; https://www.sysnet.pe.kr/2/0/2925

그러니까, 이 글에서 만들고 있는 코드들이 결국 위의 글에서 소개한 "debugdir.zip"에 담긴 C++ 소스 코드의 C# 버전이었던 것입니다.

C++ 소스 코드를 보면 CodeView 구조 중 NB10과 RSDS를 다음과 같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define CV_SIGNATURE_NB10   '01BN'
#define CV_SIGNATURE_RSDS   'SDSR'

// CodeView header 
struct CV_HEADER
{
    DWORD CvSignature; // NBxx
    LONG  Offset;      // Always 0 for NB10
};

// CodeView NB10 debug information 
// (used when debug information is stored in a PDB 2.00 file) 
struct CV_INFO_PDB20
{
    CV_HEADER  Header;
    DWORD      Signature;       // seconds since 01.01.1970
    DWORD      Age;             // an always-incrementing value 
    BYTE       PdbFileName[1];  // zero terminated string with the name of the PDB file 
};

// CodeView RSDS debug information 
// (used when debug information is stored in a PDB 7.00 file) 
struct CV_INFO_PDB70
{
    DWORD      CvSignature;
    GUID       Signature;       // unique identifier 
    DWORD      Age;             // an always-incrementing value 
    BYTE       PdbFileName[1];  // zero terminated string with the name of the PDB file 
};

C# 코드도 저 규칙에 맞게 스트림 데이터를 읽어 변환해 주면 됩니다. 다음은, 이 글에서 첨부한 실행 파일의 사용 예입니다.

PE File: ConsoleApp1.exe
No IMAGE_DEBUG_DIRECTORY

PE File: PDBInfoFromPE.exe
CodeView Info Type: RSDS
Signature: 65c91292-efaf-448f-ae22-c45caa840f59, Age: 1, Path: F:\cloud_drive\Dropbox\articles\pdb_create\PDBPathFromPE\PDBInfoFromPE\obj\Debug\PDBInfoFromPE.pdb
PDB Download Path: \PDBInfoFromPE.pdb\65c91292efaf448fae22c45caa840f591\PDBInfoFromPE.pdb

PE File: msvcirt.dll
CodeView Info Type: NB10
Signature: 1048575954, Age: 1, Path: msvcirt.pdb
PDB Download Path: \msvcirt.pdb\10485759541\msvcirt.pdb

위에서 ConsoleApp1.exe의 경우 IMAGE_DEBUG_DIRECTORY가 없다고 나오는데, C# 프로젝트 설정의 "Build" / "Advanced" - "Output" / "Debugging information" 옵션을 "none"으로 주면 "IMAGE_DEBUG_DIRECTORY"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PDB Donwload Path"라는 경로를 부가적으로 출력하고 있는데 이는 "PDB 기호 파일의 경로 구성 방식" 글에서 설명한 규칙을 반영한 것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완전한 코드를 포함합니다.)




시간 나시면 다음의 글도 한번 읽어보세요. ^^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the PDB file.
; https://www.sysnet.pe.kr/2/0/987

결국, 이 글의 소스 코드와 함께 PDB 파일로부터 Signature/Age 정보를 읽어내는 코드를 추가하면 위의 글에서 소개한 ChkMatch 프로그램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1/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0정성태11/6/200626793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356정성태10/7/200622340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
386light10/30/200617303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
355정성태10/9/200625046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파일 다운로드2
353정성태12/31/200633351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
354정성태10/23/20063592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372정성태12/31/20063780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
373정성태10/24/20062919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74정성태10/25/20062644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391정성태11/7/20063059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381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2831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041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213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501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099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0672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3229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1976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5731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19254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18449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0305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053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19718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19227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