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663. C# - PDB 파일 경로를 PE 파일로부터 얻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80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C# - PDB 파일 경로를 PE 파일로부터 얻는 방법

아래와 같은 질문이 나온 김에,

서드파티 dll 디버깅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https://www.sysnet.pe.kr/3/0/4852

PE(Portable Executables) 포맷에 대한 지식도 넓힐 겸, PE 바이너리 파일로부터 연관된 PDB 파일 경로를 얻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Visual Studio에서 다음과 같은 단순 프로젝트를 빌드한 후,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
        }
    }
}

PEViewer 등을 통해 확인해 보면 "IMAGE_DEBUG_DIRECTORY"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pe_debug_pdb_1.png

위의 내용에서 "Pointer to Raw Data" == "0x83C"이고 그 위치에는 "IMAGE_DEBUG_TYPE_CODEVIEW" 타입의 데이터가 위치해 있습니다.

pe_debug_pdb_2.png




그럼, 코드를 통해 이 값들을 추적해 볼까요? ^^

우선 PE 파일을 다룰 수 있는 라이브러리를 Nuget으로부터 추가한 후,

Install-Package Workshell.PE -Version 1.7.0

// 또는 직접 만들거나,
libpe - PE32/PE32+ Binaries Viewer Library
; https://www.codeproject.com/Articles/5205732/libpe-PE32-PE32plus-Binaries-Viewer-Library

IMAGE_DEBUG_DIRECTORY를 다음과 같이 가져올 수 있지만,

Workshell.PE.ExecutableImage pe = Workshell.PE.ExecutableImage.FromFile("ConsoleApp1.exe");

foreach (var item in pe.NTHeaders.DataDirectories)
{
    if (item.DirectoryType == Workshell.PE.DataDirectoryType.Debug)
    {
        ShowDebugDirectoryInfo(pe, item);
        return;
    }
}

private static void ShowDebugDirectoryInfo(Workshell.PE.ExecutableImage pe, DataDirectory item)
{
    Console.WriteLine("Debug directory: ");
    Console.WriteLine("\t RVA: " + item.VirtualAddress.ToString("x"));
    Console.WriteLine("\t Size: " + item.Size.ToString("x"));
           
    LocationCalculator calc = pe.GetCalculator();

    ulong offset = calc.RVAToOffset(item.VirtualAddress);
    // offset == IMAGE_DEBUG_TYPE_CODEVIEW 영역을 가리키는 파일의 위치

    // var textSection = item.GetSection();
    // offset = item.VirtualAddress - textSection.Location.RelativeVirtualAddress + textSection.Location.FileOffset;
}

그냥 이렇게 간단하게 구하는 방법도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

Workshell.PE.ExecutableImage pe = Workshell.PE.ExecutableImage.FromFile("ConsoleApp1.exe");

DebugDirectory debugDir = DebugDirectory.Get(pe);
DebugDirectoryEntry debugEntry = debugDir[0]; // debugEntry == IMAGE_DEBUG_DIRECTORY 데이터

IMAGE_DEBUG_DIRECTORY가 가리키는 IMAGE_DEBUG_TYPE_CODEVIEW의 데이터를 구해오는 방법은 debugEntry.PointerToRawData가 가리키는 파일 위치의 데이터를 debugEntry.SizeOfData 만큼 읽어오면 됩니다. 하지만, Workshell.PE 라이브러리는 이에 대한 것도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가져오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DebugData debugData = DebugData.Get(debugEntry);
byte [] buf = debugData.GetBytes(); // buf == IMAGE_DEBUG_TYPE_CODEVIEW 데이터

위의 buf 내용은 PEView 도구를 통해 본 IMAGE_DEBUG_TYPE_CODEVIEW의 데이터와 일치합니다.

그렇다면 이제부터 buf 내용을 분석해 봐야 할 텐데,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에 포맷과 함께 자세한 설명이 있습니다.

Matching debug information
; http://www.debuginfo.com/articles/debuginfomatch.html

위의 문서에 보면 IMAGE_DEBUG_DIRECTORY가 n 개의 IMAGE_DEBUG_TYPE_CODEVIEW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림 출처: http://www.debuginfo.com/articles/debuginfomatch.html]
pe_debug_pdb_3.gif

그렇다면, 우리의 코드가 다음과 같이 바뀌어야겠군요.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Workshell.PE.ExecutableImage pe = Workshell.PE.ExecutableImage.FromFile("ConsoleApp1.exe");

    DebugDirectory debugDir = DebugDirectory.Get(pe);

    foreach (var debugEntry in debugDir)
    {
        if (debugEntry.Type == 2) // 2 == IMAGE_DEBUG_TYPE_CODEVIEW
        {
            ShowDebugData(debugEntry);
            Console.WriteLine();
        }
    }
}

private static void ShowDebugData(DebugDirectoryEntry debugEntry)
{
    DebugData debugData = DebugData.Get(debugEntry);
    byte [] buf = debugData.GetBytes();

    Console.WriteLine(debugEntry.GetEntryType() + ": Len == " + buf.Length);
}

IMAGE_DEBUG_DIRECTORY가 포함한 디버그 정보가 IMAGE_DEBUG_TYPE_CODEVIEW 타입인 경우 해당 CodeView 구조는 첫 번째 4바이트의 Signature로 구별할 수 있는 다양한 버전이 존재합니다.

"NB09" - CodeView 4.10 (디버그 정보가 실행 파일 안에 있는 경우)
"NB11" - CodeView 5.0 (디버그 정보가 실행 파일 안에 있는 경우)
"NB10" - PDB 2.0 파일을 가리키는 경우
"RSDS" - PDB 7.0 파일을 가리키는 경우

(참고로, PDB가 아닌 DBG 파일에 보관된 경우 디버그 정보의 타입은 IMAGE_DEBUG_TYPE_MISC)

그런데... NB10을 보니 어디선가 낯이 익습니다. 오호~~~ 예전에 한번 살펴본 글이 있습니다. ^^

PDB 기호 파일의 경로 구성 방식
; https://www.sysnet.pe.kr/2/0/2925

그러니까, 이 글에서 만들고 있는 코드들이 결국 위의 글에서 소개한 "debugdir.zip"에 담긴 C++ 소스 코드의 C# 버전이었던 것입니다.

C++ 소스 코드를 보면 CodeView 구조 중 NB10과 RSDS를 다음과 같이 포함하고 있습니다.

#define CV_SIGNATURE_NB10   '01BN'
#define CV_SIGNATURE_RSDS   'SDSR'

// CodeView header 
struct CV_HEADER
{
    DWORD CvSignature; // NBxx
    LONG  Offset;      // Always 0 for NB10
};

// CodeView NB10 debug information 
// (used when debug information is stored in a PDB 2.00 file) 
struct CV_INFO_PDB20
{
    CV_HEADER  Header;
    DWORD      Signature;       // seconds since 01.01.1970
    DWORD      Age;             // an always-incrementing value 
    BYTE       PdbFileName[1];  // zero terminated string with the name of the PDB file 
};

// CodeView RSDS debug information 
// (used when debug information is stored in a PDB 7.00 file) 
struct CV_INFO_PDB70
{
    DWORD      CvSignature;
    GUID       Signature;       // unique identifier 
    DWORD      Age;             // an always-incrementing value 
    BYTE       PdbFileName[1];  // zero terminated string with the name of the PDB file 
};

C# 코드도 저 규칙에 맞게 스트림 데이터를 읽어 변환해 주면 됩니다. 다음은, 이 글에서 첨부한 실행 파일의 사용 예입니다.

PE File: ConsoleApp1.exe
No IMAGE_DEBUG_DIRECTORY

PE File: PDBInfoFromPE.exe
CodeView Info Type: RSDS
Signature: 65c91292-efaf-448f-ae22-c45caa840f59, Age: 1, Path: F:\cloud_drive\Dropbox\articles\pdb_create\PDBPathFromPE\PDBInfoFromPE\obj\Debug\PDBInfoFromPE.pdb
PDB Download Path: \PDBInfoFromPE.pdb\65c91292efaf448fae22c45caa840f591\PDBInfoFromPE.pdb

PE File: msvcirt.dll
CodeView Info Type: NB10
Signature: 1048575954, Age: 1, Path: msvcirt.pdb
PDB Download Path: \msvcirt.pdb\10485759541\msvcirt.pdb

위에서 ConsoleApp1.exe의 경우 IMAGE_DEBUG_DIRECTORY가 없다고 나오는데, C# 프로젝트 설정의 "Build" / "Advanced" - "Output" / "Debugging information" 옵션을 "none"으로 주면 "IMAGE_DEBUG_DIRECTORY"가 생성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또한, "PDB Donwload Path"라는 경로를 부가적으로 출력하고 있는데 이는 "PDB 기호 파일의 경로 구성 방식" 글에서 설명한 규칙을 반영한 것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완전한 코드를 포함합니다.)




시간 나시면 다음의 글도 한번 읽어보세요. ^^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the PDB file.
; https://www.sysnet.pe.kr/2/0/987

결국, 이 글의 소스 코드와 함께 PDB 파일로부터 Signature/Age 정보를 읽어내는 코드를 추가하면 위의 글에서 소개한 ChkMatch 프로그램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6/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09정성태7/27/20229522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1]
13108정성태7/26/20227499Linux: 53. container에 실행 중인 Golang 프로세스를 디버깅하는 방법 [1]
13107정성태7/25/20226712Linux: 52. Debian/Ubuntu 계열의 docker container에서 자주 설치하게 되는 명령어
13106정성태7/24/20226396오류 유형: 819. 닷넷 6 프로젝트의 "Conditional compilation symbols" 기본값 오류
13105정성태7/23/20227691.NET Framework: 2034. .NET Core/5+ 환경에서 (프로젝트가 아닌) C# 코드 파일을 입력으로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
13104정성태7/23/202210783Linux: 51. WSL - init에서 systemd로 전환하는 방법
13103정성태7/22/20227312오류 유형: 818. WSL - systemd-genie와 관련한 2가지(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에러
13102정성태7/19/20226723.NET Framework: 2033. .NET Core/5+에서는 구할 수 없는 HttpRuntime.AppDomainAppId
13101정성태7/15/202215614도서: 시작하세요! C# 10 프로그래밍
13100정성태7/15/20228086.NET Framework: 2032.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Relaxing Shift Operator)
13099정성태7/14/20227962.NET Framework: 2031.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파일 다운로드1
13098정성태7/13/20226187개발 환경 구성: 647. Azure - scale-out 상태의 App Service에서 특정 인스턴스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1]
13097정성태7/12/20225574오류 유형: 817. Golang - binary.Read: invalid type int32
13096정성태7/8/20228448.NET Framework: 2030.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13095정성태7/7/20226514Windows: 208. AD 도메인에 참여하지 않은 컴퓨터에서 Kerberos 인증을 사용하는 방법
13094정성태7/6/20226271오류 유형: 816. Golang - "short write" 오류 원인
13093정성태7/5/20227147.NET Framework: 2029. C# - HttpWebRequest로 localhost 접속 시 2초 이상 지연
13092정성태7/3/20228123.NET Framework: 2028. C# - HttpWebRequest의 POST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3091정성태7/3/20226908.NET Framework: 2027. C# - IPv4, IPv6를 모두 지원하는 서버 소켓 생성 방법
13090정성태6/29/20226078오류 유형: 815. PyPI에 업로드한 패키지가 반영이 안 되는 경우
13089정성태6/28/20226537개발 환경 구성: 646. HOSTS 파일 변경 시 Edge 브라우저에 반영하는 방법
13088정성태6/27/20225607개발 환경 구성: 645.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 2022" 명령행 환경의 폰트를 바꾸는 방법
13087정성태6/23/20228621스크립트: 41. 파이썬 - FastAPI / uvicorn 호스팅 환경에서 asyncio 사용하는 방법 [1]
13086정성태6/22/20228048.NET Framework: 2026. C# 11 - 문자열 보간 개선 2가지파일 다운로드1
13085정성태6/22/20228132.NET Framework: 2025. C# 11 - 원시 문자열 리터럴(raw string literals)파일 다운로드1
13084정성태6/21/20226706개발 환경 구성: 644. Windows - 파이썬 2.7을 msi 설치 없이 구성하는 방법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