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ystem.Collections.ArrayList가 .NET 4.5에서 지원이 안된다???

재미있는 트윗을 하나 보았습니다. ^^

System.Collections.ArrayList does not exist in DotNet 4.5. it has some quite changes.
; http://twitter.com/#!/crowdy

어디... 정말 그런지 확인해 볼까요? ^^

테스트를 위해 Hyper-V에 윈도우 8 VM을 하나 마련해 두고, 제 컴퓨터의 Visual Studio에서 다음과 같은 간단한 코드를 담은 test.cs 파일을 빌드해서 윈도우 8 VM에 복사했습니다.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 arr = new ArrayList();
        arr.Add("TEST");

        foreach (var item in arr)
        {
            Console.WriteLine(item);
        }
    }
}

위의 트윗 내용이 맞다면? test.exe 파일은 당연히 실행이 안될 것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윈도우 8에서 실행해 보면, 아무런 이상 없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호~~~ 이상하군요. 정상적인 실행이 되어 반갑긴 하지만, 그래도 분명히 이유가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트윗이 씌여지지 않았을까요? 그래서 이번에는 윈도우 8에 설치해 둔 "Microsoft Visual Studio 11 Express for Windows Developer Preview" 버전에서 "Windows Metro style"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코딩을 해보았습니다.

arraylist_not_resolve_1.png

이런... 분명히 오류가 나는군요. ^^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일까요? (이쯤에서 아마도 Silverlight나 WP7을 대상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신 분들은 감이 올 것입니다.)

우선, ArrayList가 정의된 어셈블리를 찾아보았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 arr = new ArrayList();
    arr.Add("TEST");

    Console.WriteLine(typeof(ArrayList).Assembly.FullName);

    foreach (var item in arr)
    {
        Console.WriteLine(item);
    }
}

윈도우 8에서 실행해 보면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mscorlib,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ArrayList가 원래 정의된 곳이 mscorlib이니, 해당 어셈블리에 있는 다른 타입(예를 들어, System.Object)을 Visual Studio IDE 내의 cs 파일 편집기에서 정의하고 "F12 (Go To Definition)" 기능으로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이 "Target framework"이 ".NET Framework 4 Client Profile"임을 알 수 있습니다.

arraylist_not_resolve_2.png

반면에, "윈도우 8"의 "Windows Metro style" 프로젝트상에서 "System.Object" 타입에 대해 F12 키를 눌러보면 Silverlight처럼 별도의 .NET Framework Subset이 나타납니다.

arraylist_not_resolve_3.png

아하~~~ 그럼, 답이 나왔군요. ".NET Framework 4.5"에서 "System.Collections.ArrayList"가 누락된 것이 아니고, "Windows Metro style"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NET Subset에서 "System.Collections.ArrayList" 타입이 제외된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8-29 12시15분
[crowdy] 아하하하 제 트윗을 보고 쓰신 글이 있으신 지 몰랐어요. 오늘 아침에 보았습니다. 말씀해 주신 것은 나중에 스스로 알게 되었습니다만, 잘 알지도 못하고 함부로 트윗해 좀 창피하기도 하네요. 늦었지만, 가르쳐 주신 것, 감사합니다.
[guest]
2013-08-29 11시05분
^^ 본문에도 썼지만 그에 따른 이유가 있었으니, 처음 접하는 시기에는 누구나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30정성태4/15/202214717오류 유형: 804. 정규 표현식 오류 - Quantifier {x,y} following nothing.
13029정성태4/14/202217119Windows: 203. iisreset 후에도 이전에 설정한 전역 환경 변수가 w3wp.exe에 적용되는 문제
13028정성태4/13/202217293.NET Framework: 1193. (appsettings.json처럼) web.config의 Debug/Release에 따른 설정 적용
13027정성태4/12/202216933.NET Framework: 1192. C# - 환경 변수의 변화를 알리는 WM_SETTINGCHANGE Win32 메시지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026정성태4/11/202217711.NET Framework: 1191. C 언어로 작성된 FFmpeg Examples의 C# 포팅 전체 소스 코드 [3]
13025정성태4/11/202217466.NET Framework: 119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vaapi_encode.c, vaapi_transcode.c 예제 포팅
13024정성태4/7/202216043.NET Framework: 1189. C# - 런타임 환경에 따라 달라진 AppDomain.GetCurrentThreadId 메서드
13023정성태4/6/202216630.NET Framework: 118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ing.c 예제 포팅 [3]
13022정성태3/31/202216024Windows: 202. 윈도우 11 업그레이드 - "PC Health Check"를 통과했지만 여전히 업그레이드가 안 되는 경우 해결책
13021정성태3/31/202217711Windows: 201. Windows - INF 파일을 이용한 장치 제거 방법
13020정성태3/30/202215171.NET Framework: 1187. RDP 접속 시 WPF UserControl의 Unloaded 이벤트 발생파일 다운로드1
13019정성태3/30/202216572.NET Framework: 1186. Win32 Message를 Code로부터 메시지 이름 자체를 텍스트로 구하고 싶다면?파일 다운로드1
13018정성태3/29/202217210.NET Framework: 1185. C# - Unsafe.AsPointer가 반환한 포인터는 pinning 상태일까요? [5]
13017정성태3/28/202215246.NET Framework: 118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3016정성태3/27/202218178.NET Framework: 1183. C# 11에 추가된 ref 필드의 (우회) 구현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15정성태3/26/202220164.NET Framework: 1182. C# 11 - ref struct에 ref 필드를 허용 [1]
13014정성태3/23/202216249VC++: 155. CComPtr/CComQIPtr과 Conformance mode 옵션의 충돌 [1]
13013정성태3/22/202214630개발 환경 구성: 641. WSL 우분투 인스턴스에 파이썬 2.7 개발 환경 구성하는 방법
13012정성태3/21/202214576오류 유형: 803. C# - Local '...' or its members cannot have their address taken and be used inside an anonymous method or lambda expression
13011정성태3/21/202218605오류 유형: 802. 윈도우 운영체제에서 웹캠 카메라 인식이 안 되는 경우
13010정성태3/21/202214478오류 유형: 801. Oracle.ManagedDataAccess.Core - GetTypes 호출 시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System.DirectoryServices.Protocols...'" 오류
13009정성태3/20/202217207개발 환경 구성: 640. docker - ibmcom/db2 컨테이너 실행
13008정성태3/19/202217218VS.NET IDE: 176. 비주얼 스튜디오 - 솔루션 탐색기에서 프로젝트를 선택할 때 csproj 파일이 열리지 않도록 만드는 방법
13007정성태3/18/202214790.NET Framework: 1181. C# - Oracle.ManagedDataAccess의 Pool 및 그것의 연결 개체 수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06정성태3/17/202217987.NET Framework: 118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muxing.c 예제 포팅
13005정성태3/17/202216104오류 유형: 800. C# -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Late bound operations cannot be performed on fields with types for which Type.ContainsGenericParameters is true.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