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ystem.Collections.ArrayList가 .NET 4.5에서 지원이 안된다???

재미있는 트윗을 하나 보았습니다. ^^

System.Collections.ArrayList does not exist in DotNet 4.5. it has some quite changes.
; http://twitter.com/#!/crowdy

어디... 정말 그런지 확인해 볼까요? ^^

테스트를 위해 Hyper-V에 윈도우 8 VM을 하나 마련해 두고, 제 컴퓨터의 Visual Studio에서 다음과 같은 간단한 코드를 담은 test.cs 파일을 빌드해서 윈도우 8 VM에 복사했습니다.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 arr = new ArrayList();
        arr.Add("TEST");

        foreach (var item in arr)
        {
            Console.WriteLine(item);
        }
    }
}

위의 트윗 내용이 맞다면? test.exe 파일은 당연히 실행이 안될 것입니다. 그런데, 실제로 윈도우 8에서 실행해 보면, 아무런 이상 없이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호~~~ 이상하군요. 정상적인 실행이 되어 반갑긴 하지만, 그래도 분명히 이유가 있기 때문에 그와 같은 트윗이 씌여지지 않았을까요? 그래서 이번에는 윈도우 8에 설치해 둔 "Microsoft Visual Studio 11 Express for Windows Developer Preview" 버전에서 "Windows Metro style"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코딩을 해보았습니다.

arraylist_not_resolve_1.png

이런... 분명히 오류가 나는군요. ^^ 도대체 어떻게 된 것일까요? (이쯤에서 아마도 Silverlight나 WP7을 대상으로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신 분들은 감이 올 것입니다.)

우선, ArrayList가 정의된 어셈블리를 찾아보았습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rrayList arr = new ArrayList();
    arr.Add("TEST");

    Console.WriteLine(typeof(ArrayList).Assembly.FullName);

    foreach (var item in arr)
    {
        Console.WriteLine(item);
    }
}

윈도우 8에서 실행해 보면 아래와 같이 출력됩니다.

mscorlib,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ArrayList가 원래 정의된 곳이 mscorlib이니, 해당 어셈블리에 있는 다른 타입(예를 들어, System.Object)을 Visual Studio IDE 내의 cs 파일 편집기에서 정의하고 "F12 (Go To Definition)" 기능으로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이 "Target framework"이 ".NET Framework 4 Client Profile"임을 알 수 있습니다.

arraylist_not_resolve_2.png

반면에, "윈도우 8"의 "Windows Metro style" 프로젝트상에서 "System.Object" 타입에 대해 F12 키를 눌러보면 Silverlight처럼 별도의 .NET Framework Subset이 나타납니다.

arraylist_not_resolve_3.png

아하~~~ 그럼, 답이 나왔군요. ".NET Framework 4.5"에서 "System.Collections.ArrayList"가 누락된 것이 아니고, "Windows Metro style"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사용되는 .NET Subset에서 "System.Collections.ArrayList" 타입이 제외된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1/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3-08-29 12시15분
[crowdy] 아하하하 제 트윗을 보고 쓰신 글이 있으신 지 몰랐어요. 오늘 아침에 보았습니다. 말씀해 주신 것은 나중에 스스로 알게 되었습니다만, 잘 알지도 못하고 함부로 트윗해 좀 창피하기도 하네요. 늦었지만, 가르쳐 주신 것, 감사합니다.
[guest]
2013-08-29 11시05분
^^ 본문에도 썼지만 그에 따른 이유가 있었으니, 처음 접하는 시기에는 누구나 실수할 수 있는 부분인 것 같습니다.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962정성태6/27/201918386Math: 61.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선형분리 불가능 문제의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61정성태6/27/201918008Graphics: 37. C# - PLplot - 출력 모음(Family File Output)
11960정성태6/27/201919113Graphics: 36. C# - PLplot의 16색 이상을 표현하는 방법과 subpage를 이용한 그리드 맵 표현
11959정성태6/27/201920239Graphics: 35. matplotlib와 PLplot의 한글 처리
11958정성태6/25/201924754Linux: 18. C# - .NET Core Console로 리눅스 daemon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6]
11957정성태6/24/201923078Windows: 160. WMI 쿼리를 명령행에서 간단하게 수행하는 wmic.exe [2]
11956정성태6/24/201921641Linux: 17. CentOS 7에서 .NET Core Web App 실행 환경 구성 [1]
11955정성태6/20/201919899Math: 60. C# - 로지스틱 회귀를 이용한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54정성태6/20/201918643오류 유형: 550. scp - sudo: no tty present and no askpass program specified
11953정성태6/20/201916819오류 유형: 549. The library 'libhostpolicy.so' required to execute the application was not found in '...'
11952정성태6/20/201917533Linux: 16. 우분투, Centos의 Netbios 호스트 이름 풀이 방법
11951정성태6/20/201920713오류 유형: 548. scp 연결 시 "Permission denied" 오류 및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경고
11950정성태6/18/201920995.NET Framework: 845. C# - 윈도우 작업 관리자와 리소스 모니터의 메모리 값을 구하는 방법
11949정성태6/18/201916242오류 유형: 547. CoreCLR Profiler 예제 프로젝트 빌드 시 컴파일 오류 유형
11948정성태6/17/201918627Linux: 15. 리눅스 환경의 Visual Studio Code에서 TFS 서버 연동
11947정성태6/17/201920445Linux: 14. 리눅스 환경에서 TFS 서버 연동
11946정성태6/17/201921429개발 환경 구성: 445. C# - MathNet으로 정규 분포를 따르는 데이터를 생성, PLplot으로 Histogram 표현파일 다운로드1
11945정성태6/17/201919165Linux: 13. node.js에서 syslog로 출력하는 방법
11944정성태6/16/201925525Linux: 12. Ubuntu 16.04/18.04에서 node.js 최신 버전 설치 방법
11943정성태6/15/201918740.NET Framework: 844. C# - 박싱과 언박싱 [1]
11942정성태6/13/201924963개발 환경 구성: 444. 로컬의 Visual Studio Code로 원격 리눅스 머신에 접속해 개발하는 방법 [1]
11941정성태6/13/201917617오류 유형: 546. "message NETSDK1057: You are using a preview version of .NET Core" 빌드 경고 없애는 방법
11940정성태6/13/201917867개발 환경 구성: 443.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파일 다운로드1
11939정성태6/13/201916679오류 유형: 545. Managed Debugging Assistant 'FatalExecutionEngineError'
11938정성태6/12/201919235Math: 59. C# - 웨이트 벡터 갱신식을 이용한 퍼셉트론 분류파일 다운로드1
11937정성태6/11/201925555개발 환경 구성: 442. .NET Core 3.0 preview 5를 이용해 Windows Forms/WPF 응용 프로그램 개발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