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2)

예전에 아래의 글을 써본 경험으로,

x64 콜 스택 인자 추적과 windbg의 Child-SP, RetAddr, Args to Child 값 확인
; https://www.sysnet.pe.kr/2/0/10832

지난번의 crash 사례를 분석했었는데요. ^^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1250

그렇다면 정상적인 경우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 함수는 어떤 문맥을 보였어야 할까요? 비정상 상황을 목격했으니 비교를 한번 해보고 싶어 구성해 봤습니다.

일단, 지난번 crash는 Windows Server 2008 R2의 IIS에서 DoActualSendResponse 함수 호출 시 발생한 것이므로 적어도 그 함수가 호출되면서 최대한 유사한 상황을 만들 수 있도록 역시 2008 R2에서 다음과 같이 간단한 ASP.NET 웹 페이지를 만든 후,

<%@ Page Language="C#" AutoEventWireup="true" CodeBehind="Default.aspx.cs" Inherits="WebApplication1.Default" %>

<!DOCTYPE html>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head runat="server">
    <title></title>
</head>
<body>
    <form id="form1" runat="server">
        <div>
        test
        </div>
    </form>
</body>
</html>

using System;

namespace WebApplication1
{
    public partial class Default : System.Web.UI.Page
    {
        protected void Page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
    }
}

w3wp.exe를 띄우고 windbg로 붙였습니다. 그다음 BreakPoint를 다음과 같이 걸어두고,

0:044> bp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

웹 브라우저로 방문했더니 BP가 걸렸습니다.

0:033> g
Breakpoint 0 hit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
000007fe`f4317630 4c894c2420      mov     qword ptr [rsp+20h],r9 ss:00000000`08f4ec88=0000000000000000

DoActualSendResponse의 역어셈블 코드를 보고,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
...[생략]...
000007fe`f4317690 488b4b20        mov     rcx,qword ptr [rbx+20h]
000007fe`f4317694 4c89742468      mov     qword ptr [rsp+68h],r14
000007fe`f4317699 488b01          mov     rax,qword ptr [rcx]
000007fe`f431769c ff5028          call    qword ptr [rax+28h] ds:000007fe`f43462a0={iiscore!W3_CONTEXT::GetResponseHeadersSent (000007fe`f4312ea8)}
000007fe`f431769f 85c0            test    eax,eax
...[생략]...

지난번 문제가 되었던 "call qword ptr [rax+28h]" 코드에 BP를 걸어 진행하면,

0:027> bp 000007fe`f431769c
0:027> g
Breakpoint 1 hit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0x6c:
000007fe`f431769c ff5028          call    qword ptr [rax+28h] ds:000007fe`f43462a0={iiscore!W3_CONTEXT::GetResponseHeadersSent (000007fe`f4312ea8)}

벌써부터 결과가 다르군요. 문제가 발생했을 때는 [rax + 0x28h]의 값이 "90909090909090c3"이었는데 이제는 정상적으로 000007fe`f4312ea8를 가리키고 그 함수가 GetResponseHeadersSent라는 것도 알려주고 있습니다.

그럼, 인자 상황을 한번 볼까요? 지난번 실습을 했으니, 이제 DoActualSendResponse의 prolog로부터,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
000007fe`f4317630 4c894c2420      mov     qword ptr [rsp+20h],r9 ss:00000000`08f4ec88=0000000000000000
000007fe`f4317635 4489442418      mov     dword ptr [rsp+18h],r8d
000007fe`f431763a 89542410        mov     dword ptr [rsp+10h],edx
000007fe`f431763e 53              push    rbx
000007fe`f431763f 55              push    rbp
...[생략]...

처음 3개의 인자 값이 kv의 결과로 나온다는 것을 압니다.

0:027> kv
Child-SP          RetAddr           : Args to Child                                                           : Call Site
00000000`08f4ebc0 000007fe`f43120fd : 00000000`01303b08 000007fe`00000001 000007fe`00000000 00000000`08f4ecb0 : iiscore!W3_RESPONSE::DoActualSendResponse+0x6c
00000000`08f4ec70 000007fe`f43175d6 : 00000000`09875b78 00000000`00000000 00000000`08f4edb4 00000000`00000000 : iiscore!NOTIFICATION_SEND_RESPONSE::DoWork+0xbd
...[생략]...
00000000`08f4fc50 00000000`76d1a561 :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 kernel32!BaseThreadInitThunk+0xd
00000000`08f4fc80 00000000`00000000 :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00000000`00000000 : ntdll!RtlUserThreadStart+0x1d


rdx == 000007fe`00000001
r8  == 000007fe`00000000
r9  == 00000000`08f4ecb0

rcx는 역시 지난번 글에서 설명한 x64 ABI 규칙에 따라 직접 구해야 합니다. 그럼 rcx == 0x1303a80이 나옵니다. 정리하면 대충 이렇습니다.

rcx == 00000000`01303c60 
rdx == 000007fe`00000001, edx = 1
r8  == 000007fe`00000000, r8d = 0
r9  == 00000000`08f4ecb0

여기까지 정리해 보면, 대략 다음과 같은 코드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class W3_RESPONSE
{
    // ... class 필드들...
    W3_CONTEXT *_pContext; // 이 필드는 W3_RESPONSE 클래스의 메모리 layout에서 +0x20 지점에 위치

    ... DoActualSendResponse(void *this, ...) // this == 01303c60
    {
        W3_CONTEXT *pContext = _pContext; // [this + 20h] 주소의 값 == 01303a80
        if (pContext->GetResponseHeadersSent() == TRUE)
        {
            //....
        }
    }
}




그럼, 도대체 지난번의 문제는 뭐였을까요?

GetResponseHeadersSent 함수가 아닌 엉뚱하게 90909090909090c3 값을 가리키고 있는데, 어쩌면 GetResponseHeadersSent 함수 호출 시 넘겨져온 this 포인터 값이 비정상적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crash가 발생했던) DoActualSendResponse의 (rbx에 보관된) rcx 값이 진짜 W3_RESPONSE였는지 dqs 명령어로 확인해야 합니다.

0:210> dqs 0000000003af2fe0
00000000`03af2fe0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2fe8  0020d0b7`00000000
00000000`03af2ff0  00000000`03af2e20
00000000`03af2ff8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3000  000007fe`fae7673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3af3008  000007fe`fae75f5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3af3010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3018  000007fe`fae75f9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3af3020  00000000`03af2e20
00000000`03af3028  00010001`00000000
00000000`03af3030  00560020`000200c8
00000000`03af3038  00000000`249643f0
00000000`03af3040  00000000`00000008
00000000`03af3048  00000000`03af32c0
00000000`03af3050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3058  00000000`00000000

보는 바와 같이 00000000`00000000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정상적인 상황의 DoActualSendResponse에 넘겨졌던 this 포인터(rcx)는 이렇게 나옵니다.

0:027> dqs 1303c60
00000000`01303c60  000007fe`f434673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1303c68  000007fe`f4345f5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1303c70  00000000`00000000
00000000`01303c78  000007fe`f4345f9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1303c80  00000000`01303a80
00000000`01303c88  00010001`00000000
00000000`01303c90  00000000`000200c8
00000000`01303c98  000007fe`f4346c40 iiscore!`string'
00000000`01303ca0  00000000`00000003
00000000`01303ca8  00000000`01303f20
00000000`01303cb0  00000000`00000000
00000000`01303cb8  00000000`00000000
00000000`01303cc0  00000000`00000007
00000000`01303cc8  00000000`013059b8
00000000`01303cd0  00000000`00000000
00000000`01303cd8  00000000`00000000

위의 DoActualSendResponse는 W3_CONTEXT::GetResponseHeadersSent를 호출하기 위해 DoActualSendResponse this 포인터에 +20h 오프셋의 값을 전달하고 있습니다.

mov     rcx,qword ptr [rbx+20h]

정상적인 경우 00000000`01303c60 + 0x20 == 00000000`01303c80인데, dqs 결과를 보면 이 주소는 00000000`01303a80 값이고 이를 확인하면,

0:027> dqs 00000000`01303a80
00000000`01303a80  000007fe`f4346278 iiscore!W3_MAIN_CONTEXT::`vftable'
00000000`01303a88  000007fe`f4345468 iiscore!W3_MAIN_CONTEXT::`vftable'
00000000`01303a90  00000000`00001000
00000000`01303a98  00000000`ffffffff
00000000`01303aa0  04222bc8`04222bc8
...[생략]...

0:027> dqs 000007fe`f4346278
000007fe`f4346278  000007fe`f4311800 iiscore!W3_CONTEXT::GetSite                ; +0
000007fe`f4346280  000007fe`f43121ac iiscore!W3_CONTEXT::GetApplication         ; +8
000007fe`f4346288  000007fe`f433ab90 iiscore!W3_CONTEXT::GetConnection          ; +10
000007fe`f4346290  000007fe`f431acd0 iiscore!W3_CONTEXT::GetRequest             ; +18
000007fe`f4346298  000007fe`f4312e98 iiscore!W3_CONTEXT::GetResponse            ; +20
000007fe`f43462a0  000007fe`f4312ea8 iiscore!W3_CONTEXT::GetResponseHeadersSent ; +28h에 위치한 바로 그 함수
000007fe`f43462a8  000007fe`f43125c0 iiscore!W3_CONTEXT::GetUser
000007fe`f43462b0  000007fe`f43141c0 iiscore!W3_CONTEXT::GetModuleContextContainer
...[생략]...

vtable에 위치한 GetResponseHeadersSent 함수를 구하게 됩니다. 하지만 crash가 발생했던 경우를 다시 보면,

0:210> dqs 0000000003af2fe0
00000000`03af2fe0  00000000`00000000 ; 비정상적으로 쌓인 스택
00000000`03af2fe8  0020d0b7`00000000 ; 비정상적으로 쌓인 스택
00000000`03af2ff0  00000000`03af2e20 ; 비정상적으로 쌓인 스택
00000000`03af2ff8  00000000`00000000 ; 비정상적으로 쌓인 스택
00000000`03af3000  000007fe`fae76738 iiscore!W3_RESPONSE::`vftable' ; 원래 DoActualSendResponse를 호출했을 당시에 가리키고 있어야 할 this 포인터 값
00000000`03af3008  000007fe`fae75f5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3af3010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3018  000007fe`fae75f98 iiscore!W3_RESPONSE::`vftable'
00000000`03af3020  00000000`03af2e20                                ; 정상적인 경우였다면 이 값(this + 0x20h)이 "call qword ptr [rax+28h]" 호출의 this(rcx) 포인터 역할을 했어야 함.
00000000`03af3028  00010001`00000000
00000000`03af3030  00560020`000200c8
00000000`03af3038  00000000`249643f0
00000000`03af3040  00000000`00000008
00000000`03af3048  00000000`03af32c0
00000000`03af3050  00000000`00000000
00000000`03af3058  00000000`00000000

원래 00000000`03af3000 값이 DoActualSendResponse의 this 포인터(rcx)로 넘어왔다고 가정해 00000000`03af2e20를 crash 덤프 상에서 분석해 보니,

0:210> dqs 00000000`03af2e20
00000000`03af2e20  000007fe`fae76278 iiscore!W3_MAIN_CONTEXT::`vftable'
00000000`03af2e28  000007fe`fae75468 iiscore!W3_MAIN_CONTEXT::`vftable'
00000000`03af2e30  00000000`00000080
...[생략]...
00000000`03af2e90  00000000`0166c4ec
00000000`03af2e98  0020b97c`00000031

0:210> dqs 000007fe`fae76278 
000007fe`fae76278  000007fe`fae41800 iiscore!W3_CONTEXT::GetSite                ; +0
000007fe`fae76280  000007fe`fae421ac iiscore!W3_CONTEXT::GetApplication         ; +8
000007fe`fae76288  000007fe`fae6ab90 iiscore!W3_CONTEXT::GetConnection          ; +10
000007fe`fae76290  000007fe`fae4acd0 iiscore!W3_CONTEXT::GetRequest             ; +18
000007fe`fae76298  000007fe`fae42e98 iiscore!W3_CONTEXT::GetResponse            ; +20
000007fe`fae762a0  000007fe`fae42ea8 iiscore!W3_CONTEXT::GetResponseHeadersSent ; +28 바로 그 함수의 위치
000007fe`fae762a8  000007fe`fae425c0 iiscore!W3_CONTEXT::GetUser
...[생략]...
000007fe`fae762f0  000007fe`fae46230 iiscore!W3_CONTEXT::GetServerVariable

정상적인 GetResponseHeadersSent 함수의 위치를 구할 수 있었습니다. 그렇다면 결국 스택을 가리키는 RSP의 값이 정상적인 상황보다 +20h의 위치를 가리키고 있어서 DoActualSendResponse의 this 포인터 값이 틀어졌고 결국 crash로 이어졌던 것으로 결론을 내릴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과연 어떤 코드가 스택의 비정상을 초래한 것일까요? 일단 IIS 쪽 소스 코드도 없고, 단순히 덤프 파일 하나만 가지고는 분석이 여간 힘든 것이 아닙니다. 그나마 이런 상황에서 쉬운 방법이 있다면 이렇게 유사한 상황을 만들어서 콜 스택을 확인 후 개별 호출 프레임마다 Child-SP의 값을 기준으로 dqs 출력의 값을 비교해 보고 스택의 비정상적인 동작이 있었던 함수를 찾아내 어셈블리 코드까지 보면서 검사하는 것이 최선입니다.

물론 그런 경우에는 동일한 콜 스택을 보이도록 유사 응용 프로그램을 만들어야 하는데, 아쉽게도 위의 사례에서는 해당 웹 애플리케이션의 콜 스택과 같은 상황을 재현할 수 없었습니다. (ASP.NET 분야도 프레임워크가 다양한데다 개발사 나름 확장하는 것도 있다 보니!)

실력 있는 분들이라면, 이런 상황에서도 순수하게 호출 스택에 나온 함수들의 어셈블리 코드를 파헤쳐 가며 보겠지만 제가 아직 그 수준까지는 안되는군요.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4/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53정성태2/23/202024287.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파일 다운로드1
12152정성태2/23/202021315.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51정성태2/22/202023968.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150정성태2/21/202024060.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49정성태2/20/202020965.NET Framework: 894. eBEST C# XingAPI 래퍼 - 연속 조회 처리 방법 [1]
12148정성태2/19/202025603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1]
12147정성태2/19/202020958디버깅 기술: 162. x86/x64의 기계어 코드 최대 길이
12146정성태2/18/202022162.NET Framework: 893. eBEST C# XingAPI 래퍼 - 로그인 처리파일 다운로드1
12145정성태2/18/202023779.NET Framework: 892. eBEST C# XingAPI 래퍼 - Sqlite 지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2144정성태2/13/202023968.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143정성태2/13/202018371.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파일 다운로드1
12142정성태2/12/202022288.NET Framework: 889. C# 코드로 접근하는 MethodDesc, MethodTable파일 다운로드1
12141정성태2/10/202021253.NET Framework: 888. C# -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 [2]파일 다운로드1
12140정성태2/10/202022635.NET Framework: 887. C#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2139정성태2/9/202022297.NET Framework: 886.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
12138정성태2/9/202028547.NET Framework: 88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6]파일 다운로드1
12137정성태2/9/202020188오류 유형: 592. [AhnLab] 경고 - 디버거 실행을 탐지했습니다.
12136정성태2/6/202021856Windows: 168.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135정성태2/6/202027644개발 환경 구성: 468. Nuget 패키지의 로컬 보관 폴더를 옮기는 방법 [2]
12134정성태2/5/202024913.NET Framework: 884. eBEST XingAPI의 C# 래퍼 버전 - XingAPINet Nuget 패키지 [5]파일 다운로드1
12133정성태2/5/202022661디버깅 기술: 161.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 두 번째 이야기
12132정성태1/28/202025688.NET Framework: 883.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 [1]파일 다운로드1
12131정성태1/27/202024391개발 환경 구성: 467. LocaleEmulator를 이용해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한글이 깨지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
12130정성태1/26/202022015VS.NET IDE: 142. Visual Studio에서 windbg의 "Open Executable..."처럼 EXE를 직접 열어 디버깅을 시작하는 방법
12129정성태1/26/202028979.NET Framework: 882. C# - 키움 Open API+ 사용 시 Registry 등록 없이 KHOpenAPI.ocx 사용하는 방법 [3]
12128정성태1/26/202023119오류 유형: 591. The code execution cannot proceed because mfc100.dll was not found. Reinstalling the program may fix this problem.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