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RTVS 또는 PTVS 실행 시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VisualStudio.InteractiveWindow.Shell.IVsInteractiveWindowFactory2'

"RTVS(R Tools for Visual Studio)" 또는 "PTVS(Python Tools for Visual Studio)"의 Interactive Shell을 실행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The project system has encountered an error.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VisualStudio.InteractiveWindow.Shell.IVsInteractiveWindowFactory2' from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VsInteractiveWindow, Version=2.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A diagnostic log has been written to the following location: "%LOCALAPPDATA%\Temp\VsProjectFault_e5d95e5e-d16f-4742-b034-150d3abcad4a.failure.txt".

로그 파일을 보면 이런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2017-06-19 오전 11:10:02
Recoverable
System.TypeLoadException: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VisualStudio.InteractiveWindow.Shell.IVsInteractiveWindowFactory2' from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VsInteractiveWindow, Version=2.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31bf3856ad364e35'.
   at Microsoft.VisualStudio.R.Package.Repl.VsRInteractiveWindowComponentContainerFactory.Create(Int32 instanceId, IInteractiveEvaluator evaluator, IRSessionProvider sessionProvider)
   at Microsoft.R.Components.InteractiveWorkflow.Implementation.RInteractiveWorkflow.<CreateVisualComponentAsync>d__48.MoveNext()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Microsoft.Common.Core.TaskExtensions.ReThrowTaskException(Object state)
   at Microsoft.Common.Core.TaskExtensions.DoNotWait(Task task)
   at Microsoft.R.Components.InteractiveWorkflow.Implementation.RInteractiveWorkflow.GetOrCreateVisualComponentAsync(Int32 instanceId)
   at Microsoft.VisualStudio.R.Package.ProjectSystem.RProjectLoadHooks.<InitializeProjectFromDiskAsync>d__20.MoveNext()
--- End of stack trace from previous location where exception was thrown ---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ThrowForNonSuccess(Task task)
   at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TaskAwaiter.HandleNonSuccessAndDebuggerNotification(Task task)
   at Microsoft.VisualStudio.ProjectSystem.UnconfiguredProjectImpl.AutoLoadMethodStateMachine.<<StartExecution>b__8_0>d.MoveNext()

관련해서 검색해 보면 이런 글이 나옵니다.

open interactive window error #2534 
; https://github.com/Microsoft/PTVS/issues/2534

상황을 보니, 이건 진짜로 Microsoft.VisualStudio.VsInteractiveWindow 파일이 등록되어 있지 않아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따라서, 저 파일이 있는 위치로 이동해 gacutil.exe를 이용해 등록해 주면 됩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IDE\CommonExtensions\Microsoft\InteractiveWindow>gacutil /i Microsoft.VisualStudio.VsInteractiveWindow.dll
Microsoft (R) .NET Global Assembly Cache Utility.  Version 4.0.30319.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y successfully added to the cach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4/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2정성태10/8/201139275.NET Framework: 244. 윈도우 폼을 열고 닫는 것만으로 메모리 leak이 발생할까? [2]파일 다운로드1
1141정성태10/7/201137618.NET Framework: 243. DataTable에 대해서 Dispose 메서드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까? [4]파일 다운로드1
1140정성태10/6/201131120.NET Framework: 242. 닷넷 개발자 입장에서 이해해 보는 자바의 서블릿, JSP
1138정성태10/1/201150244Java: 11. 웹 로직에서 MS-SQL 서버 연결 [2]
1137정성태9/30/201133933Java: 10. 닷넷 개발자가 설치해 본 Oracle WebLogic Server - 설치 및 기본 도메인 구성
1136정성태9/29/201129728개발 환경 구성: 131. Visual Studio - ASP.NET의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매크로 함수 [2]파일 다운로드1
1135정성태9/29/201126713오류 유형: 138. TF10216: Team Foundation services are currently unavailable
1134정성태9/27/201134272.NET Framework: 241. C# 5.0에 새로 추가된 Caller Info 특성 [5]
1133정성태9/25/201138034VC++: 54. C++로 만든 WinRT 프로그램 [2]
1132정성태9/24/201177649Java: 9. 자바의 keytool.exe 사용법과 Tomcat의 SSL 통신 설정
1131정성태9/23/201133440Java: 8. 닷넷 개발자가 구현해 본 자바 웹 서비스 (2)
1130정성태9/23/201141833Java: 7. 닷넷 개발자가 구현해 본 자바 웹 서비스 (1)파일 다운로드2
1129정성태9/22/201133434개발 환경 구성: 130. Hyper-V에 MS-DOS VM 만드는 방법 - MSDN 구독자 대상 [3]
1128정성태9/20/201133701오류 유형: 137. KB2449742 보안 업데이트로 인한 충돌 문제 해결 - 두 번째 이야기
1127정성태9/19/201137122Java: 6. Java에서 MySQL 사용 [2]
1126정성태9/18/201132319Math: 3. "유클리드 호제법"과 "Bezout's identity" 구현 코드(C#)파일 다운로드1
1125정성태9/17/201130118Windows: 54. Windows 8 개발자 Preview를 사용해 보고... [2]
1124정성태9/17/201130315.NET Framework: 240. System.Collections.ArrayList가 .NET 4.5에서 지원이 안된다??? [2]
1123정성태9/17/201169801Windows: 53. 2가지 모드의 Internet Explorer 10과 ActiveX [6]
1122정성태9/16/201137060Windows: 52. 새롭게 지원되는 WinRT 응용 프로그램 [7]
1121정성태9/12/201132326Java: 5. WTP 내에서 서블릿을 실행하는 환경
1120정성태9/11/201132089.NET Framework: 239. IHttpHandler.IsReusable 속성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119정성태9/11/201130450Java: 4. 이클립스에 WTP SDK가 설치되지 않는다면? [2]
1118정성태9/11/201143092Java: 3. 이클립스에서 서블릿 디버깅하는 방법 [4]
1117정성태9/9/201129958제니퍼 .NET: 17.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2) - 웹 애플리케이션 hang의 원인을 알려주다.
1116정성태9/8/201161151Java: 2. 자바에서 "Microsoft SQL Server JDBC Driver" 사용하는 방법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