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에뮬레이터를 "Android Studio"와 함께 쓰는 방법

이번 글의 내용은 다음의 글에 대한 한글 버전에 불과합니다. ^^

Using the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from Android Studio or Eclipse with ADT
; https://blogs.msdn.microsoft.com/devops/2015/07/20/using-the-visual-studio-emulator-for-android-from-android-studio-or-eclipse-with-adt/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전 글에서 설명한 대로 Visual Studio Emulator를 설치한 후,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1245

시작 메뉴를 통해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를 실행하고 다음과 같이 삼각형 모양의 'Launch' 버튼을 눌러 에뮬레이터를 띄웁니다.

vs_android_emul_0.PNG

이렇게 띄워놓는 것으로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측에서는 더 이상 할 일이 없습니다. 이제 "Android Studio"의 "Run" / "Edit Configurations..." 메뉴로 들어가, 다음과 같이 "Open Select Deployment Target Dialog" 값과 편의상 "Use same device for future launches"를 설정합니다.

vs_android_emul_1.PNG

그런 다음 Shift + F10(Run)으로 App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선택 대화상자가 뜹니다.

vs_android_emul_2.PNG

"Connected Devices" 목록에 있는 "VS Emulator 5-inch KitKat..." 항목을 선택 후 "OK" 버튼을 눌러주면 끝!




에뮬레이터를 미리 띄워놓지 않고 Android Studio에서 곧바로 앱을 실행하는 경우에는 "Connected Devices"에 포함되어 있지 않아 "Select Deployment Target" 대화 상자에서 선택이 안됩니다. 이런 경우 "시작" 메뉴를 통해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를 실행하는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요, "Using the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from Android Studio or Eclipse with ADT" 글에 보면 이런 번거로움을 "Android Studio"의 툴 바에 등록해 해결할 수 있는 간단한 팁을 함께 소개하고 있습니다.

"Android Studio"의 "File" / "Settings" 메뉴를 눌러 "ExternalTools"에서 다음 화면과 같이 emulatorcmd 실행을 위한 등록을 합니다.

vs_android_emul_3.PNG

이때, "/id:..."에 해당하는 GUID 형식의 인자 값은 다음과 같이 emulatorcmd를 실행해 보면 알 수 있습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Emulator Manager\1.0>emulatorcmd.exe list /sku:Android /type:device
Identifier                           | Name                         | Version
-------------------------------------+------------------------------+------------
226C76AC-9E9A-4EBD-A495-79E8C5C5292F | 7" KitKat (4.4) XHDPI Tablet | 1.0.60404.1
363F7AED-462C-46BD-9FEC-F1DD3B79916C | 5" KitKat (4.4) XXHDPI Phone | 1.0.60404.1

그다음, 이렇게 등록된 외부 실행 파일을 Android Studio의 툴바에서 마우스 우 클릭을 해 "Customize Menus and Toolbars..."를 선택해 임의의 메뉴 또는 툴바에 등록해 주면 됩니다.




참고로,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에뮬레이터에서 인터넷이 기본적으로 안됩니다. 가령, 에뮬레이터에 내장된 웹 브라우저를 켜면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를 볼 수 있습니다.

Webpage not available

The webpage at https://www.google.com/webhp?client=android-google&source=android-home could not be loaded because:

net::ERR_NAME_NOT_RESOLVED

이런 경우, Hyper-V 관리자를 열어 가상 스위치(Virtual Switch) 중에 "External" 유형이 없다면 새롭게 하나 등록해 줍니다. 그다음, "VS Emulator 5-inch KitKat (4.4) XXHDPI Phone.[계정명]" VM의 속성 창을 열어 "Add Hardware"를 통해 "Network Adapter"를 External 유형의 가상 스위치를 선택해 하나 더 추가합니다. (이때 동작 중이라면 중지해야 추가할 수 있는 메뉴가 활성화됩니다.)

여기서 한 가지 유의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웬일인지, External 유형의 "Network Adapter"가 기존에 있던 "Windows Phone Emulator Internal Switch"보다 위에 설정되거나, 아예 External 유형의 "Network Adapter" 하나만 추가된 경우에는 에뮬레이터 화면에 "OS is starting..."만 뜬 채로 "Launching emulator..." 단계에서 더 이상 진행을 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무조건 "Windows Phone Emulator Internal Switch"를 위에 놓고, external 유형을 아래에 놓아야 합니다. 이렇게!

vs_android_emul_4.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62정성태5/3/201020667제니퍼 .NET: 3. 제2회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뵙겠습니다. ^^
861정성태5/1/201021273.NET Framework: 177. .NET 2.0 Profiler에 .NET 4.0 지원 추가
860정성태4/30/201026357오류 유형: 95. .NET 4.0 설치 오류 - 0x800c0005 [1]
858정성태4/29/201030269제니퍼 .NET: 2.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2) - 설치 [3]
857정성태4/27/201028379제니퍼 .NET: 1. JENNIFER .NET을 이용한 .NET 웹 사이트 모니터링 (1) - 임시 라이선스 요청 및 다운로드
855정성태4/24/201025292.NET Framework: 176. DataContext가 thread-safe한 것인가?
854정성태4/22/201022162오류 유형: 94. 팀 프로젝트 생성 오류 - TF218017, TF250044
853정성태4/22/201022777오류 유형: 93. TFS 2010 오류: rsProcessingAborted, rsErrorExecutingCommand
852정성태4/21/201024035Team Foundation Server: 33. 단일 서버에 Team Foundation Server 2010 설치하는 방법
851정성태4/14/201034503오류 유형: 92. Task Scheduler 오류: 2147942667 (0x8007010B)
850정성태4/7/201023012.NET Framework: 175. WCF - webHttpBinding + PUT 메서드 구현파일 다운로드1
848정성태3/30/201036653개발 환경 구성: 73. 한 대의 PC에서 여러 개의 키입력 매크로 프로그램이 가능할까? [5]파일 다운로드5
846정성태3/29/201034576VC++: 39. C++에서 싱글톤 구현하기 [8]파일 다운로드1
844정성태3/19/201022000개발 환경 구성: 72. Adobe Creative Suite 3 Master Collection - 하드 디스크로부터 설치하는 방법
843정성태3/19/201031025Windows: 50. Windows Server 2008 R2 시스템에 Windows 7 멀티 부팅하는 방법
842정성태3/17/201026632Windows: 49. VHD 파일 지원
841정성태3/16/201027274.NET Framework: 174. 작업자 프로세스(w3wp.exe)가 재시작되는 시점을 알 수 있는 방법 [1]
840정성태3/4/201020681개발 환경 구성: 71. w3wp.exe에 환경 변수 전달하는 방법 [1]
836정성태2/13/201024091VS.NET IDE: 67. Visual Studio 2010: 베타 2에서 RC 마이그레이션
835정성태1/26/201025331.NET Framework: 173. WCF - webHttpBinding + IIS 6.0 윈도우 인증 구현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834정성태1/25/201025823.NET Framework: 172. WCF - webHttpBinding 윈도우 인증 구현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833정성태1/25/201025158.NET Framework: 171. WCF - webHttpBinding 구현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832정성태1/25/201029039.NET Framework: 170. PerformanceCounter의 RawValue/NextValue()에서 멈춤 현상
831정성태1/14/201018859개발 환경 구성: 70. WSS - check out 메뉴에서 오류나는 문제
830정성태1/10/201023315개발 환경 구성: 69. Windows Internal Database
829정성태1/7/201022738개발 환경 구성: 68. ODP.NET + OraMTS 사용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