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windbg의 lm 명령으로 보이지 않는 .NET 4.0 ClassLibrary를 명시적으로 로드하는 방법

재현을 간단하게 해볼 수 있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은 코드를 가진 라이브러리를 생성하고,

// ClassLibrary1.dll 프로젝트
using System;

namespace ClassLibrary1
{
    public class Class1
    {
        public void Do()
        {
            Console.WriteLine("TEST IS GOOD");
        }
    }
}

콘솔 EXE에서 이렇게 사용한 후,

// .NET 4.0 이상의 ConsoleApp1.exe 프로젝트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lassLibrary1.Class1 cl = new ClassLibrary1.Class1();
            cl.Do();

            Console.WriteLine("Press...");
            Console.ReadLine();
        }
    }
}

실행해서 Full Dump 파일을 받습니다. 이를 windbg에서 열어 lm 명령으로 확인하면,

0:000> lm
start    end        module name
00a60000 00a68000   ConsoleApp1   (deferred)             
601d0000 6155d000   mscorlib_ni   (deferred)             
72290000 722bf000   rsaenh     (deferred)             
...[생략]...
77270000 77363000   ole32      (deferred)             
77370000 77430000   rpcrt4     (deferred)             
774c0000 7764e000   ntdll      (pdb symbols)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86\sym\wntdll.pdb\3E6B95F10656482A735FBE90515F548E1\wntdll.pdb

Unloaded modules:
75530000 75536000   psapi.dll

EXE 파일이었던 ConsoleApp1은 목록에 있는 반면, ClassLibrary1.dll은 보이질 않습니다. 찾아 보니 다음의 Q&A에 답이 나옵니다.

WinDbg lm command does not show all loaded modules.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windowsdesktop/en-US/263a3d84-8256-4f03-a70e-47d482a24cfb/windbg-lm-command-does-not-show-all-loaded-modules?forum=windbg

Solving .net source code lines problem in windbg with SOSEX
; https://debugandconquer.blogspot.kr/2016/08/solving-net-source-code-lines-problem.html

위의 글에서는 Process Explorer를 이용해 ClassLibrary1.dll의 실제 로딩 주소를 파악하는 방법이 나오는데요. 대개의 경우 full dump 파일을 얻는 상황은 실제 프로세스가 살아있지 않은 다른 PC에서 사용되는 것이 보통이므로 다른 방법이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sos의 도움이 필요한데요, 다음과 같이 원하는 DLL에 포함된 심벌을 조회해 보면,

0:000> .loadby sos clr

0:000> !name2ee *!ClassLibrary1.Class1
Module:      601d1000
Assembly:    mscorlib.dll
--------------------------------------
Module:      00fe3ffc
Assembly:    ConsoleApp1.exe
--------------------------------------
Module:      00fe4e04
Assembly:    ClassLibrary1.dll
Token:       02000002
MethodTable: 00fe51f0
EEClass:     00fe295c
Name:        ClassLibrary1.Class1

ClassLibrary1.dll의 Module 주소를 구할 수 있고 이를 다음과 같이 .reload 명령어의 이미지 주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형식: .reload /f image_name=image_base_address

0:000> .reload /f ClassLibrary1.dll=00fe4e04

이후 다시 lm 명령을 내리면 다음과 같이 해당 DLL이 목록에 나타납니다.

0:000> lm
start    end        module name
00a60000 00a68000   ConsoleApp1   (deferred)             
00fe4e04 00fe4e04   ClassLibrary1   (no symbols)           
601d0000 6155d000   mscorlib_ni   (deferred)             
72290000 722bf000   rsaenh     (deferred)             
722c0000 722d3000   cryptsp    (deferred)             
722e0000 72360000   clrjit     (deferred)             
...[생략]...
77030000 77268000   combase    (deferred)             
77270000 77363000   ole32      (deferred)             
77370000 77430000   rpcrt4     (deferred)             
774c0000 7764e000   ntdll      (pdb symbols)          C:\Program Files (x86)\Windows Kits\10\Debuggers\x86\sym\wntdll.pdb\3E6B95F10656482A735FBE90515F548E1\wntdll.pdb

Unloaded modules:
75530000 75536000   psapi.dll

그런데, 가만 보면 ConsoleApp1.exe의 Name2EE로 출력된 Module 주소가 00fe3ffc로 나오는 반면 lm의 ConsoleApp1.exe start 주소는 00a60000입니다. 이렇게 다른데도 정상적으로 이미지 로딩이 된 걸까요?

확인을 위해 각각의 모듈을 lm 출력 결과로 보이는 start 주소를 이용해 파일로 저장해 봤습니다.

0:000> !savemodule 00a60000 c:\temp\ConsoleApp1.exe
3 sections in file
section 0 - VA=2000, VASize=87c, FileAddr=200, FileSize=a00
section 1 - VA=4000, VASize=5bc, FileAddr=c00, FileSize=600
section 2 - VA=6000, VASize=c, FileAddr=1200, FileSize=200

0:000> !savemodule 00fe4e04 c:\temp\ClassLibrary1.dll
3 sections in file
section 0 - VA=2000, VASize=8dc, FileAddr=200, FileSize=a00
section 1 - VA=4000, VASize=398, FileAddr=c00, FileSize=400
section 2 - VA=6000, VASize=c, FileAddr=1000, FileSize=200

잘 저장이 되는군요. ^^ 게다가 .NET Reflector 등의 디컴파일러 도구를 이용해 ClassLibrary1.dll을 조사해 보면 정상적으로 코드가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NET 3.5 대상으로 이 글의 예제를 빌드하면 lm 명령어의 출력에 정상적으로 나옵니다.

또한, !Name2EE로 심벌을 조사하는데 이때 원하는 DLL에 구현된 클래스를 알지 못해도 상관없습니다. 그냥 다음과 같이 아무 이름이나 넣으면,

!name2ee *!NOT_CARE

모든 닷넷 어셈블리들의 목록이 출력되고 그중 원하는 DLL의 Module 주소만 이용하면 됩니다. 그러니까, 한 가지 팁일 수 있는데요. 해당 프로세스에 로드된 모듈 목록은 lm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지만, 그 프로세스에 로드된 닷넷 모듈을 확인하는 명시적인 명령어는 없습니다. 하지만, "!name2ee *!ANYTHING"과 같은 식으로 명령을 주면 아쉬운 대로 닷넷 모듈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3/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10-17 01시08분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 http://www.sysnet.pe.kr/2/0/11330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 http://www.sysnet.pe.kr/2/0/11331

windbg - 풀 덤프에 포함된 모든 닷넷 모듈을 파일로 저장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97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66정성태4/9/201915615Windows: 159. 네트워크 공유 폴더(net use)에 대한 인증 정보는 언제까지 유효할까요?
11865정성태4/9/201911355오류 유형: 529. 제어판 - C:\Program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Administrative Tools is not accessible.
11864정성태4/9/201910559오류 유형: 528. '...' could be '0': this does not adhere to the specification for the function '...'
11863정성태4/9/201910368디버깅 기술: 127. windbg - .NET x64 EXE의 EntryPoint
11862정성태4/7/201912449개발 환경 구성: 437. .NET EXE의 ASLR 기능을 끄는 방법
11861정성태4/6/201912201디버깅 기술: 126. windbg - .NET x86 CLR2/CLR4 EXE의 EntryPoint
11860정성태4/5/201915490오류 유형: 527.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20: warning treated as error - no 'object' file generated
11859정성태4/4/201912856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11858정성태3/27/201913296VC++: 129. EXE를 LoadLibrary로 로딩해 PE 헤더에 있는 EntryPoint를 직접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57정성태3/26/201912198VC++: 128. strncpy 사용 시 주의 사항(Linux / Windows)
11856정성태3/25/201912183VS.NET IDE: 134.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55정성태3/25/201914194개발 환경 구성: 436. 페이스북 HTTPS 인증을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11854정성태3/25/201910154VS.NET IDE: 133. IIS Express로 호스팅하는 사이트를 https로 접근하는 방법
11853정성태3/24/201912304개발 환경 구성: 435.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
11852정성태3/20/201912561개발 환경 구성: 434.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파일 다운로드1
11851정성태3/19/201915441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2]
11850정성태3/18/201914011.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11849정성태3/18/201913809.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11222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15119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13507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14231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15028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10808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10227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10205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