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Visual Studio 2017에서 .NET Core 2.0 프로젝트 환경 구성하는 방법 Visual Studio 2017의 경우 이후에 나온 .NET Framework 4.7에 대한 프로젝트를 생성할 수 없었는데요. .NET Framework 4.7 릴리스 ; https://www.sysnet.pe.kr/2/0/11195 이와 마찬가지로, .NET Core 2.0 역시 기본 설치 상태에서는 "Target Framework" 목록에 표시되지 않습니다. 위의 목록에 .NET Core 2.0을 보이게 하고 싶다면 ".NET Framework 4.7 릴리스" 글과 마찬가지로 개발자 팩을 설치해 줘야 하는데, 닷넷 코어의 경우 SDK를 설치해 주면 됩니다. 이는 다음의 사이트에서 제공해 줍니다. .NET Core 2.0 SDK 다운로드 ; https://www.microsoft.com/net/download/core .NET Core 2.0 SDK - Windows (x64) Installer ; https://download.microsoft.com/download/0/F/D/0FD852A4-7EA1-4E2A-983A-0484AC19B92C/dotnet-sdk-2.0.0-win-x64.exe .NET Core 2.0 SDK - Windows (x86) Installer ; https://download.microsoft.com/download/0/F/D/0FD852A4-7EA1-4E2A-983A-0484AC19B92C/dotnet-sdk-2.0.0-win-x86.exe 참고로, Visual Studio IDE가 x86 프로세스로 실행되기 때문에 프로젝트 설정에서 .NET Core 2.0 항목을 보려면 반드시 x86 버전도 설치해 줘야 합니다. (그냥 마음 편하게 x64와 x86을 모두 설치해 주세요. ^^) 설치 후부터는 새로운 닷넷 코어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경우 기본적으로 .NET Core 2.0 대상으로 지정되고, 기존 프로젝트의 경우에는 프로젝트 속성 창의 Target Framework 값을 .NET Core 2.0으로 바꾸는 것으로 마이그레이션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VS.NET IDE: 120. 비주얼 스튜디오 2017 버전 15.3.1 - C# 7.1 공개[이전 글] .NET Framework: 673.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최초 등록일: 8/19/2017] [최종 수정일: 8/19/2017]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39정성태4/18/201630517.NET Framework: 572. .NET APM 비동기 호출의 Begin...과 End... 조합 [3]110938정성태4/13/201627673오류 유형: 325. 파일 삭제 시 오류 - Error 0x80070091: The directory is not empty.10937정성태4/13/201636478Windows: 115. UEFI 모드로 윈도우 10 설치 가능한 USB 디스크 만드는 방법10936정성태4/8/201651226Windows: 114. 삼성 센스 크로노스 7 노트북의 운영체제를 USB 디스크로 새로 설치하는 방법 [3]10935정성태4/7/201633476웹: 32. Edge에서 Google Docs 문서 편집 시 한영 전환키가 동작 안하는 문제10934정성태4/5/201630461디버깅 기술: 77. windbg의 콜스택 함수 인자를 쉽게 확인하는 방법 [1]10933정성태4/5/201636838.NET Framework: 571. C# - 스레드 선호도(Thread Affinity) 지정하는 방법 [8]110932정성태4/4/201633479VC++: 96. C/C++ 식 평가 - printf("%d %d %d\n", a, a++, a); [1]10931정성태3/31/201629807개발 환경 구성: 283. Hyper-V 내에 구성한 Active Directory 환경의 시간 구성 방법 [3]10930정성태3/30/201626701.NET Framework: 570. .NET 4.5부터 추가된 CLR Profiler의 실행 시 Rejit 기능10929정성태3/29/201638338.NET Framework: 569. ServicePointManager.DefaultConnectionLimit의 역할110928정성태3/28/201644268.NET Framework: 568. ODP.NET의 완전한 닷넷 버전 Oracle ODP.NET, Managed Driver [2]110927정성태3/25/201631550.NET Framework: 567. System.Net.ServicePointManager의 DefaultConnectionLimit 속성 설명10926정성태3/24/201632360.NET Framework: 566. openssl의 PKCS#1 PEM 개인키 파일을 .NET RSACryptoServiceProvider에서 사용하는 방법 [10]110925정성태3/24/201624693.NET Framework: 565. C# - Rabin-Miller 소수 생성 방법을 이용하여 RSACryptoServiceProvider의 개인키를 직접 채워보자 - 두 번째 이야기110924정성태3/22/201627720오류 유형: 324. Visual Studio에서 Azure 클라우드 서비스 생성 시 Failed to initialize the PowerShell host 에러 발생10923정성태3/21/201626436.NET Framework: 564. C# - DGML로 바이너리 트리 출력하는 방법 [1]110922정성태3/21/201628635.NET Framework: 563. 디버깅 용도로 이진 트리의 내용을 출력하는 방법110921정성태3/17/201633841.NET Framework: 562. BBI 인터프리터 C/C++ 코드를 C#으로 변환 [3]210920정성태3/15/201632258.NET Framework: 561. null 처리된 객체가 왜 GC에 의해 수집되지 않을까요? [6]110919정성태3/12/201627743.NET Framework: 560. C#에서 return할 때 명시적으로 casting한 것과 안한 것의 차이 [2]110918정성태3/10/201626217.NET Framework: 559. WPF - ICommand.CanExecuteChanged가 해제되지 않는 문제 [2]110917정성태3/10/201645322.NET Framework: 558. WPF - ICommand 동작 방식 [9]110916정성태3/9/201634044.NET Framework: 557. 머신 바이트 배열로부터 역어셈블해주는 라이브러리 - Udis86 Assembler210915정성태3/9/201627899오류 유형: 323. FatalExecutionEngineError was detected10914정성태3/8/201630866오류 유형: 322. 정적 라이브러리 참조 시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 referenced in function" 오류 발생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