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676. C# Thread가 Running 상태인지 아는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365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Thread가 Running 상태인지 아는 방법

Thread가 실행 상태인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가령 Thread.IsAlive가 왠지 그럴 것 같습니다. 테스트를 해볼까요?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t = new Thread(threadFunc);
        t.Start();

        bool alive = t.IsAlive;
        Console.WriteLine(alive);
    }

    private static void threadFunc(object obj)
    {
        Console.WriteLine("TEST: " + obj);
    }
}

위의 코드에서 Console.WriteLine에 BP를 걸고 비주얼 스튜디오를 시작한 후 Ctrl+Alt+H 단축키를 눌러 Threads 창을 띄우면 결과를 알 수 있습니다. t.IsAlive는 true이지만 t 스레드는 생성조차 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즉 t.IsAlive는 Thread 객체가 생성된 후 Start 메서드가 불린 순간부터 무조건 true이고 그 이후 스레드 종료가 되어야 false로 바뀌는 것입니다.




다음 후보로 Thread.ThreadState는 어떨까요? ThreadState enum 값에는 분명히 Running이 있으니 다음과 같이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hread t = new Thread(threadFunc);
        t.Start();

        bool alive = t.IsAlive;
        bool running = t.ThreadState == ThreadState.Running;
        Console.WriteLine(alive);
    }

    private static void threadFunc(object obj)
    {
        Console.WriteLine("TEST: " + obj);
    }
}

그런데 이것 역시 BP를 걸어 테스트해보면 실제 스레드 생성 유무와 상관없이 Thread.Start 이후 Running 상태임을 알 수 있습니다. 설령 이 필드가 그 의미 그대로 Running이라고 해도 문제입니다. 왜냐하면 필드의 값이 0이기 때문입니다.

[ComVisible(true)]
[Flags]
public enum ThreadState
{
    Running = 0,
    StopRequested = 1,
    SuspendRequested = 2,
    Background = 4,
    Unstarted = 8,
    Stopped = 16,
    WaitSleepJoin = 32,
    Suspended = 64,
    AbortRequested = 128,
    Aborted = 256
}

따라서 Thread.IsBackground = true; 같은 식으로 설정해 버리면 Running을 알아낼 방법이 없습니다. 왜냐하면 다음의 조건도 false이고,

bool running = t.ThreadState == ThreadState.Running; // ThreadState == 4 (Background)이므로.

그렇다고 다음과 같이 해도 Running이 0이므로 항상/무조건 true가 나옵니다.

bool running = (t.ThreadState & ThreadState.Running) == ThreadState.Running;




결국 가장 적당한 방법은 스레드 함수가 실행하는 초기/후기에 EventWaitHandle 등을 이용해 그 사실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ventWaitHandle started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ManualReset);
    EventWaitHandle exited = new EventWaitHandle(false, EventResetMode.ManualReset);
    Thread t = new Thread(threadFunc);

    t.Start((started, exited));

    bool threadStarted = started.WaitOne(0);
    bool threadExited = exited.WaitOne(0);
}

private static void threadFunc(object obj)
{
    var events = (System.ValueTuple<EventWaitHandle, EventWaitHandle>)obj;
    {
        events.Item1.Set();

        Console.WriteLine("TEST: " + obj);

        events.Item2.Set();
    }
}

또는 DONT_USE_InternalThread 등의 내부 필드를 이용해,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244

그에 상응하는 스레드를 Process.GetCurrentProcess().Threads에서 찾는 방식을 비공식적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23/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81정성태10/26/202023741VC++: 137. C++ stl map의 사용자 정의 타입을 key로 사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80정성태10/26/202017807오류 유형: 670. Visual Studio - Squash_FailureCommitsReset
12379정성태10/21/202025545.NET Framework: 955. .NET 메서드의 Signature 바이트 코드 분석 [1]파일 다운로드2
12378정성태10/15/202023560.NET Framework: 954. C# - x86/x64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P/Invoke 함수의 export 이름 [1]파일 다운로드1
12377정성태10/15/202024548디버깅 기술: 172. windbg - 파일 열기 시점에 bp를 걸어 파일명 알아내는 방법(Managed/Unmanaged)
12376정성태10/15/202019136오류 유형: 669. windbg - sos의 name2ee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request module list." 오류
12375정성태10/15/202020292Windows: 177. 윈도우 탐색기에서 띄우는 cmd.exe 창의 디렉터리 구분 문자가 'Yen(&#0165;)' 기호로 나오는 경우 [1]
12374정성태10/14/202027513.NET Framework: 953. C# 9.0 - (6) 함수 포인터(Function pointers) [1]파일 다운로드2
12373정성태10/14/202019475.NET Framework: 952. OpCodes.Box와 관련해 IL 형식으로 직접 코딩 시 유의할 점
12372정성태10/13/202024501.NET Framework: 951. C# 9.0 - (5) 로컬 함수에 특성 지정 가능(Attributes on local functions)파일 다운로드1
12371정성태10/13/202023043개발 환경 구성: 519. Visual Studio의 Ctrl+Shift+U (Edit.MakeUppercase)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370정성태10/13/202021327Linux: 33. Linux - nmcli를 이용한 고정 IP 설정
12369정성태10/12/202025010Windows: 176. Raymond Chen이 한글날에 밝히는 윈도우의 한글 자모 분리 현상 [3]
12368정성태10/12/202023172오류 유형: 668. VSIX 확장 빌드 - The "GetDeploymentPathFromVsixManifest" task failed unexpectedly.
12367정성태10/12/202033880오류 유형: 667. Ubuntu - Temporary failure resolving 'kr.archive.ubuntu.com' [2]
12366정성태10/12/202024753.NET Framework: 950. C# 9.0 - (4) 원시 크기 정수(Native ints) [1]파일 다운로드1
12365정성태10/12/202023459.NET Framework: 949. C# 9.0 - (3) 람다 메서드의 매개 변수 무시(Lambda discard parameters)파일 다운로드1
12364정성태10/11/202023675.NET Framework: 948. C# 9.0 - (2) localsinit 플래그 내보내기 무시(Suppress emitting localsinit flag)파일 다운로드1
12363정성태10/11/202024751.NET Framework: 947. C# 9.0 - (1) 대상으로 형식화된 new 식(Target-typed new expressions) [2]파일 다운로드1
12362정성태10/11/202021707VS.NET IDE: 151. Visual Studio 2019에 .NET 5 rc/preview 적용하는 방법
12361정성태10/11/202024539.NET Framework: 946. C# 9.0을 위한 개발 환경 구성
12360정성태10/8/202017398오류 유형: 666. The type or namespace name '...'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 (are you missing an assembly reference?)
12359정성태10/7/202019852오류 유형: 665. Windows - 재부팅 후 iSCSI 연결이 끊기는 문제
12358정성태10/7/202022618오류 유형: 664. Web Deploy 설치 시 "A newer version of Microsoft Web Deploy 3.6 was found on this machine." 오류 [3]
12357정성태10/7/202020019오류 유형: 663. 이벤트 로그 - The storage optimizer couldn't complete retrim on New Volume
12356정성태10/7/202035588오류 유형: 662. ASP.NET Core와 500.19, 500.21 오류 (0x8007000d)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