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5개 있습니다.)

WPF의 Window 객체를 생성했는데 GC 수집 대상이 안 되는 이유

질문이 하나 있군요.

안녕하세요 WPF 에서 Window객체가 가비지 콜렉션에 의해 수집되지 않는거 같아서 문의드립니다.
; https://www.sysnet.pe.kr/3/0/4896

실제로 WPF에서 다음과 같은 간단한 소스 코드로,

using System.Linq;
using System.Windows;

namespace WpfApp1
{
    public partial class MainWindow : Window
    {
        public MainWindow()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Button_Click(object sender, RoutedEventArgs e)
        {
            foreach (int n in Enumerable.Range(1, 100000))
            {
                Window win = new Window();
            }
        }
    }
}

버튼 클릭 몇 번을 하면 OOM 예외가 발생하도록 만들 수 있습니다. 얼핏 보면 new Window만 했으니 GC 대상이 되어야 하지만 그렇지 않은 현상을 보이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생각할 여지가 별로 없으니 다행입니다. 수행된 코드는 어차피 생성자 뿐이 없으니 그 안에서 아마도 다른 루트 객체에 자신의 참조를 추가했을 것입니다. 확인을 위해 .NET Reflector 등으로 소스 코드를 확인하면 답이 나오겠지요.

실제로 PresentationFramework 어셈블리의 System.Windows.Window 타입의 생성자를 찾아보면,

[SecurityCritical]
public Window()
{
    this._ownerHandle = IntPtr.Zero;
    this._updateHwndSize = true;
    this._updateHwndLocation = true;
    this._trackMaxWidthDeviceUnits = double.PositiveInfinity;
    this._trackMaxHeightDeviceUnits = double.PositiveInfinity;
    this._windowMaxWidthDeviceUnits = double.PositiveInfinity;
    this._windowMaxHeightDeviceUnits = double.PositiveInfinity;
    this._actualTop = double.NaN;
    this._actualLeft = double.NaN;
    this._dialogOwnerHandle = IntPtr.Zero;
    this._prePanningLocation = new Point(double.NaN, double.NaN);
    SecurityHelper.DemandUnmanagedCode();
    this._inTrustedSubWindow = false;
    this.Initialize();
}

다른 코드는 상관이 없으니 이젠 Initialize를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private void Initialize()
{
    base.BypassLayoutPolicies = true;
    if (this.IsInsideApp)
    {
        if (Application.Current.Dispatcher.Thread == Dispatcher.CurrentDispatcher.Thread)
        {
            this.App.WindowsInternal.Add(this);
            if (this.App.MainWindow == null)
            {
                this.App.MainWindow = this;
            }
        }
        else
        {
            this.App.NonAppWindowsInternal.Add(this);
        }
    }
}

아하... 여기 있군요. WindowsInternal이든 NonAppWindowsInternal이든 자신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this.App 객체가 참조를 잡아 두고 있으니 GC 해제가 안된 것입니다.

만약 참조 해제를 하고 싶다면 명시적으로 Close 메서드를 호출해 주면 됩니다.

foreach (int n in Enumerable.Range(1, 100000))
{
    Window win = new Window();
    win.Close();   
}

그런데, 조금 궁금한 부분이 있군요. 왜 WPF 개발팀은 Window 객체에 명시적으로 자원 해제를 위한 IDispos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지 않았을까요?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19/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09-20 12시25분
[장진국]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덕분에 궁금중이 해결되었습니다.


[guest]
2017-09-20 02시12분
[이성환] 안녕하세요.

이미 본문에서 잘 설명이 되어 있지만 약간의 사족을 달아봅니다.

WPF 에서는 WindowBase 를 이용한 Window 생성 시 생성되는 모든 Window를
Application 클래스의 WindowsInternal 이라는 WindowsCollection 타입의 컬렉션 프로퍼티에 보관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본문에 나오는 App 프로퍼티 역시 Window 클래스에서 Application.Current 형태로 보관하는 Application 객체입니다.)

따라서 Window 를 생성하면 Application의 WindowsInternal 에 추가되었다가 Close 되면 제거됩니다.
(본문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Show() 호출이 아니라 new 로 생성하여 Initialize() 가 호출되면 바로 등록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생성된 Window는 Close() 호출 전까지 Application에서 참조됩니다.)

Internal 이라는 접미로 알 수 있듯이 이 프로퍼티의 접근제한자는 internal 이며 이 프로퍼티를 public으로 노출하는 것이
Application 클래스의 Windows 라는 프로퍼티 입니다.
이 Windows 프로퍼티는 WindowsInternal을 clone 하여 반환하긴 하지만 Deep copy 가 아니라 컬렉션 객체를 옮겨 담는 형태로 copy됩니다.

사용자는 public으로 노출된 Windows 프로퍼티에 접근해 현재 생성된 Window 들의 정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WindowsManager 같은 것을 만들 때 유용합니다.)
이 때 가장 먼저 만들어지는 Window 객체를 Application 클래스의 MainWindow라는 별도의 프로퍼티에 따로 할당하여 사용하는데
이 MainWindow 는 특별한 타입이 아니라 그냥 Window 타입이며 ShutdownMode 같은 영역에 기준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MainWindow는 수동으로 재할당이 가능합니다.)

WPF의 Window 관리를 인지하지 못하고 Window 를 생성하여 처리하면 메모리 누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합니다.

여기까지 알아두면 그럭저럭 쓸모있는 사족이었습니다.
[guest]
2017-09-20 09시12분
좋은 내용의 덧글 감사드립니다. ^^
정성태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17정성태1/15/202010805디버깅 기술: 159. C# - 디버깅 중인 프로세스를 강제로 다른 디버거에서 연결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16정성태1/15/202011287디버깅 기술: 158. Visual Studio로 디버깅 시 sos.dll 확장 명령어를 (비롯한 windbg의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는 방법
12115정성태1/14/202011054디버깅 기술: 157. C# - PEB.ProcessHeap을 이용해 디버깅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114정성태1/13/202012907디버깅 기술: 156. C# - PDB 파일로부터 심벌(Symbol) 및 타입(Type) 정보 열거 [1]파일 다운로드3
12113정성태1/12/202013534오류 유형: 590. Visual C++ 빌드 오류 - fatal error LNK1104: cannot open file 'atls.lib' [1]
12112정성태1/12/202010079오류 유형: 589. PowerShell - 원격 Invoke-Command 실행 시 "WinRM cannot complete the operation" 오류 발생
12111정성태1/12/202013381디버깅 기술: 155. C# - KernelMemoryIO 드라이버를 이용해 실행 프로그램을 숨기는 방법(DKOM: Direct Kernel Object Modification) [16]파일 다운로드1
12110정성태1/11/202011975디버깅 기술: 154. Patch Guard로 인해 블루 스크린(BSOD)가 발생하는 사례 [5]파일 다운로드1
12109정성태1/10/20209878오류 유형: 588. Driver 프로젝트 빌드 오류 - Inf2Cat error -2: "Inf2Cat, signability test failed."
12108정성태1/10/20209937오류 유형: 587. Kernel Driver 시작 시 127(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오류 메시지 발생
12107정성태1/10/202010871.NET Framework: 877.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 두 번째 이야기
12106정성태1/8/202012253VC++: 136. C++ - OSR Driver Loader와 같은 Legacy 커널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제작 [1]
12105정성태1/8/202010952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4정성태1/7/202011627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4]
12103정성태1/7/202014365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파일 다운로드2
12102정성태1/6/202011953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101정성태1/5/202011291.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12100정성태1/3/20209325.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
12099정성태1/3/202011635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8정성태1/2/202011208.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
12097정성태1/2/20209765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12096정성태12/30/201911727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
12095정성태12/27/201913158VC++: 135. C++ - string_view의 동작 방식
12094정성태12/26/201911332.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12093정성태12/26/201911359.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092정성태12/25/201910803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