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닷넷) 프로세스(EXE)에 디버거가 연결되어 있는지 아는 방법

닷넷의 경우 BCL에 Debugger.IsAttached 속성을 통해 디버거 연결 여부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Debugger.IsAttached Property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diagnostics.debugger.isattached?view=netframework-4.8

그런데 "Debug Diagnostic Tool"로 프로세스를 연결한 경우에는,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시 "Debug Diagnostic Tool"를 이용해 덤프를 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86

Debugger.IsAttached가 false를 반환합니다. 이유를 찾아보니 다음의 글에 나오는 군요. ^^

#if (DEBUG) VS System.Diagnostics.Debugger.IsAttached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073266/if-debug-vs-system-diagnostics-debugger-isattached

C# Detect if Debugger is Attached
; https://www.codeproject.com/articles/670193/csharp-detect-if-debugger-is-attached

즉, Debugger.IsAttached는 'managed debugger'가 연결되었을 때만 True이고, 'native debugger'가 연결된 경우에는 false를 반환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IsDebuggerPresent Win32 API를 P/Invoke 호출로 사용하면 됩니다.

IsDebuggerPresent function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debugapi/nf-debugapi-isdebuggerpresent

이 함수는 managed/native 상관없이 디버거 연결 여부를 반환합니다.




이 외에 이름이 약간 혼란스러운 API도 있습니다.

CheckRemoteDebuggerPresent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debugapi/nf-debugapi-checkremotedebuggerpresent

BOOL WINAPI CheckRemoteDebuggerPresent(
  _In_ HANDLE hProcess,
  _Inout_ PBOOL pbDebuggerPresent
);

함수 이름만 보면, 왠지 "원격 디버깅"으로 연결된 것인지를 알려주는 API인 듯싶은데 그게 아니라 디버거 연결 여부를 알고 싶은 프로세스가 다를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가령, 자신이 만든 디버거로 다른 프로세스를 연결하고 싶을 때 해당 프로세스가 이미 다른 디버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줘야 할 것입니다. 바로 이럴 때 CheckRemoteDebuggerPresent의 첫 번째 인자에 해당 프로세스의 핸들 값을 전달하면 되는 것입니다.

결국 IsDebuggerPresent API는 CheckRemoteDebuggerPresent로 다음과 같이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BOOL pbIsPresent = FALSE;
CheckRemoteDebuggerPresent(GetCurrentProcess(), &pbIsPresent); // == IsDebuggerPresen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9/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10-12 05시34분
[윤현수] 제가 프로젝트를 하면서 디버깅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헌데 아무것도 모르고 그냥 VS툴에서 사용하는 간단한 디버깅만 할줄 아는 상태여서 공부좀하려고 합니다.
서적을 보고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추천해주실만한 책이 있는지요.
[guest]
2017-10-12 08시43분
아래의 책을 추천하고 싶은데 현재는 절판 상태군요.

DEBUGGING APPLICATIONS FOR .NET AND WINDOWS
존 로빈스 저 / 서우석 역

또는 아래의 책도 괜찮겠습니다.

IT EXPERT 리버스 엔지니어링 2권 디버거 편 윈도우 실행 파일 구조와 원리로 배우는
; http://www.yes24.com/24/Goods/36151547
정성태
2017-10-12 01시36분
[책] 감사합니다. 중고로도 있어서 아쉬운데로 중고로 구매했습니다.
[guest]
2020-08-30 09시13분
Windows User Mode Debugging Internals
; http://www.openrce.org/articles/full_view/24

Windows Native Debugging Internals
; http://www.openrce.org/articles/full_view/25

Kernel User-Mode Debugging Support (Dbgk)
; http://www.openrce.org/articles/full_view/26

; 위의 3가지 링크에 대한 번역본
http://hisjournal.net/doc/Windows_Debugging_Intrenals_A_to_Z_by_6l4ck3y3.pdf
정성태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00정성태5/16/201719390오류 유형: 385. WPF - 폰트가 없어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11199정성태5/16/201721195.NET Framework: 657. CultureInfo.GetCultures가 반환하는 값
11198정성태5/10/201722681.NET Framework: 656. Windows Forms의 오류(Exception) 처리 방법에 대한 차이점 설명
11197정성태5/8/201719603개발 환경 구성: 315. VHD 파일의 최소 크기파일 다운로드1
11196정성태5/4/201720803오류 유형: 384. Msvm_ImageManagementService WMI 객체를 사용할 때 오류 상황 정리 [1]
11195정성태5/3/201721116.NET Framework: 655. .NET Framework 4.7 릴리스
11194정성태5/3/201723274오류 유형: 383. net use 명령어로 네트워크 드라이브 연결 시 "System error 67 has occurred." 오류 발생
11193정성태5/3/201721592Windows: 141. 설치된 Windows로부터 설치 이미지를 만드는 방법
11192정성태5/2/201722156Windows: 140. unattended.xml/autounattend.xml 파일을 마련하는 방법
11191정성태5/2/201722885Windows: 139. Dell Venue 8 Pro 태블릿에 USB를 이용한 윈도우 운영체제 설치 방법
11190정성태5/2/201728232Windows: 138. Windows 운영체제의 ISO 설치 파일에 미리 Device driver를 준비하는 방법
11189정성태5/2/201720239Windows: 137. Windows 7 USB/DVD DOWNLOAD TOOL로 98%에서 실패하는 경우
11188정성태4/27/201722708VC++: 118. Win32 HANDLE 자료형의 이모저모 [1]
11187정성태4/26/201723275개발 환경 구성: 314. C# - PowerPoint 확장 Add-in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86정성태4/24/201721056VS.NET IDE: 117.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매크로를 추가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185정성태4/22/201718986VS.NET IDE: 116.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메뉴 추가하는 방법 (2) - 동적 메뉴 구성파일 다운로드1
11184정성태4/21/201720629VS.NET IDE: 115. Visual Studio 확장(VSIX)을 이용해 사용자 메뉴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83정성태4/19/201719486.NET Framework: 654. UWP 앱에서 FolderPicker 사용 시 유의 사항파일 다운로드1
11182정성태4/19/201723491개발 환경 구성: 313. Nuget Facebook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ASP.NET 웹 폼과 로그인 연동하는 방법
11181정성태4/18/201720397개발 환경 구성: 312. Azure Web Role의 AppPool 실행 권한을 Local System으로 바꾸는 방법
11180정성태4/16/201723430Java: 18. Java의 Memory Mapped File 자원 반환이 안 되는 문제
11179정성태4/13/201716573기타: 64. SVG Converter 스토어 앱 개인정보 보호 정책 안내
11178정성태4/10/201718781개발 환경 구성: 311. COM+ 관리자의 DCOM 구성에 나오는 기준
11177정성태4/7/201719188.NET Framework: 653. C# 7 새로운 문법(1) - 더욱 편리해진 Out 변수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176정성태4/5/201716238VC++: 117. Visual Studio - ATL COM 개체를 단위 테스트 하는 방법
11175정성태4/5/201725921.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