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닷넷) 프로세스(EXE)에 디버거가 연결되어 있는지 아는 방법 닷넷의 경우 BCL에 Debugger.IsAttached 속성을 통해 디버거 연결 여부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Debugger.IsAttached Property ; https://docs.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diagnostics.debugger.isattached?view=netframework-4.8 그런데 "Debug Diagnostic Tool"로 프로세스를 연결한 경우에는,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시 "Debug Diagnostic Tool"를 이용해 덤프를 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786 Debugger.IsAttached가 false를 반환합니다. 이유를 찾아보니 다음의 글에 나오는 군요. ^^ #if (DEBUG) VS System.Diagnostics.Debugger.IsAttached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073266/if-debug-vs-system-diagnostics-debugger-isattached C# Detect if Debugger is Attached ; https://www.codeproject.com/articles/670193/csharp-detect-if-debugger-is-attached 즉, Debugger.IsAttached는 'managed debugger'가 연결되었을 때만 True이고, 'native debugger'가 연결된 경우에는 false를 반환한다고 합니다. 따라서 이런 경우에는 IsDebuggerPresent Win32 API를 P/Invoke 호출로 사용하면 됩니다. IsDebuggerPresent function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debugapi/nf-debugapi-isdebuggerpresent 이 함수는 managed/native 상관없이 디버거 연결 여부를 반환합니다. 이 외에 이름이 약간 혼란스러운 API도 있습니다. CheckRemoteDebuggerPresent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api/debugapi/nf-debugapi-checkremotedebuggerpresent BOOL WINAPI CheckRemoteDebuggerPresent( _In_ HANDLE hProcess, _Inout_ PBOOL pbDebuggerPresent ); 함수 이름만 보면, 왠지 "원격 디버깅"으로 연결된 것인지를 알려주는 API인 듯싶은데 그게 아니라 디버거 연결 여부를 알고 싶은 프로세스가 다를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가령, 자신이 만든 디버거로 다른 프로세스를 연결하고 싶을 때 해당 프로세스가 이미 다른 디버거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면 이를 사용자에게 알려줘야 할 것입니다. 바로 이럴 때 CheckRemoteDebuggerPresent의 첫 번째 인자에 해당 프로세스의 핸들 값을 전달하면 되는 것입니다. 결국 IsDebuggerPresent API는 CheckRemoteDebuggerPresent로 다음과 같이 동일하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BOOL pbIsPresent = FALSE; CheckRemoteDebuggerPresent(GetCurrentProcess(), &pbIsPresent); // == IsDebuggerPresen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VC++: 120. std::copy 등의 함수 사용 시 _SCL_SECURE_NO_WARNINGS 에러 발생[이전 글] 기타: 68.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구매하신 분들을 위한 C# 7.0/7.1 추가 문법 PDF [최초 등록일: 9/30/2017] [최종 수정일: 7/9/2020]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10-12 05시34분 [윤현수] 제가 프로젝트를 하면서 디버깅에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헌데 아무것도 모르고 그냥 VS툴에서 사용하는 간단한 디버깅만 할줄 아는 상태여서 공부좀하려고 합니다.서적을 보고 공부를 하려고 하는데 추천해주실만한 책이 있는지요. [guest] 2017-10-12 08시43분 아래의 책을 추천하고 싶은데 현재는 절판 상태군요.DEBUGGING APPLICATIONS FOR .NET AND WINDOWS존 로빈스 저 / 서우석 역또는 아래의 책도 괜찮겠습니다.IT EXPERT 리버스 엔지니어링 2권 디버거 편 윈도우 실행 파일 구조와 원리로 배우는 ; http://www.yes24.com/24/Goods/36151547 정성태 2017-10-12 01시36분 [책] 감사합니다. 중고로도 있어서 아쉬운데로 중고로 구매했습니다. [guest] 2020-08-30 09시13분 Windows User Mode Debugging Internals; http://www.openrce.org/articles/full_view/24Windows Native Debugging Internals; http://www.openrce.org/articles/full_view/25Kernel User-Mode Debugging Support (Dbgk); http://www.openrce.org/articles/full_view/26; 위의 3가지 링크에 대한 번역본http://hisjournal.net/doc/Windows_Debugging_Intrenals_A_to_Z_by_6l4ck3y3.pdf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30정성태11/5/201327471기타: 38. 오픈소스로 풀린 하드 디스크 관리 도구 - WindowSMART1529정성태11/5/201323355오류 유형: 192. SQL 서버 - The transaction log for database '...' is full due to 'LOG_BACKUP'.1528정성태11/5/201328943디버깅 기술: 58. windbg 분석 사례 - WPF 응용 프로그램의 UI가 반응하지 않는 문제 [5]1527정성태11/4/201326574VC++: 72. error MIDL2311 - mktyplib compatability mode 컴파일 오류1526정성태11/3/201323267디버깅 기술: 57. C# - double 값에 대한 windbg 확인1525정성태11/2/201329665.NET Framework: 391. C# - EXE/DLL로부터 추출한 이미지/아이콘의 배경색 투명 처리 [8]1524정성태11/2/201330497기타: 37. 프로그램에 보여지는 리소스(예: 아이콘) 추출하는 방법 [1]1523정성태11/2/201326879VS.NET IDE: 81. Visual Studio 확장 도구 AttachToW3WP - w3wp.exe에 대한 디버거 연결을 자동화하는 도구 [2]1522정성태11/1/201323457VS.NET IDE: 80. IIS 8.0/8.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1521정성태11/1/201329309VS.NET IDE: 79. IIS 7.5 - Global.asax.cs처럼 초기에 실행되는 코드에 Breakpoint를 잡는 방법1520정성태10/31/201323718오류 유형: 191. Visual Studio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The project type is not supported by this installation." 오류 발생 해결1519정성태10/31/201349244기타: 36. SYSTEM 또는 TrustedInstaller 소유로 되어 있는 폴더/파일을 삭제하는 방법 [5]1518정성태10/30/201326916VS.NET IDE: 78. Visual Studio 확장으로 XmlCodeGenerator 제작하는 방법1517정성태10/28/201326463디버깅 기술: 56. 덤프 파일에 핸들/스레드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1]1516정성태10/28/201331832.NET Framework: 390. FolderBrowserDialog보다 더 쓸만한 대화창이 필요하다면? [1]1515정성태10/24/201334475VS.NET IDE: 77. Visual Studio 확장(VSIX) 만드는 방법 [5]1514정성태10/24/201367810개발 환경 구성: 202. Internet Explorer 11을 7, 8, 9, 10 버전으로 인식시키는 방법 [9]11513정성태10/23/201324361개발 환경 구성: 201. Azure Blob Storage의 DNS 경로를 사용자 DNS로 바꾸는 방법 [1]1512정성태10/18/201327578개발 환경 구성: 200. IIS AppPool의 실행 계정을 변경하는 방법1511정성태10/12/201325727.NET Framework: 389. The 3n + 1 problem의 C#/Java 버전 풀이 [2]1510정성태10/8/201326631오류 유형: 190. 윈도우 서버 2012 R2 설치 후 인텔 NIC으로 인한 WMI 오류 발생1509정성태10/8/201331793오류 유형: 189. Windows Server 8.1/2012 R2 - IME 비정상 종료 현상 [1]1508정성태10/4/201326869.NET Framework: 388. 일반 닷넷 프로젝트에서 WinRT API를 호출하는 방법 [2]11507정성태9/30/201324741오류 유형: 188. The key 'LocalizedPerfCounter' does not exist in the appSettings configuration section.1506정성태9/30/201326924오류 유형: 187. Parameter "basePath" cannot be a relative path1505정성태9/26/201375404기타: 35. Microsoft Office 2007 인증 생략하는 방법 [10]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