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469

디버깅 기술: 11.1. (Managed) Main Method에 Break Point 걸기 - 내용 보강
; https://www.sysnet.pe.kr/2/0/470

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 https://www.sysnet.pe.kr/2/0/996

디버깅 기술: 3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021

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 https://www.sysnet.pe.kr/2/0/1586

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 https://www.sysnet.pe.kr/2/0/1587

디버깅 기술: 61. NT 서비스 시작 단계에서 닷넷 메서드에 BP를 걸어 디버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98

디버깅 기술: 100. windbg -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1322

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859




windbg -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메서드에 Breakpoint 걸기

지난 글에서 한번 설명했는데,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 https://www.sysnet.pe.kr/2/0/1021

약간 바뀌어서 다시 정리합니다. ^^

우선, Main 메서드에서 곧바로 예외를 발생하는 코드를 넣고 windbg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콜 스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00> k
 # Child-SP          RetAddr           Call Site
00 00000043`079be970 00007fff`225232ea KERNELBASE!RaiseException+0x68
01 00000043`079bea50 00007fff`2252311a clr!RaiseTheExceptionInternalOnly+0x2aa
02 00000043`079beb50 00007ffe`c2db04f9 clr!IL_Throw+0x10b
03 00000043`079bed00 00007fff`223c6793 0x00007ffe`c2db04f9
04 00000043`079beda0 00007fff`223c6665 clr!CallDescrWorkerInternal+0x83
05 00000043`079bede0 00007fff`223c736d clr!CallDescrWorkerWithHandler+0x4e
06 00000043`079bee20 00007fff`224c38b0 clr!MethodDescCallSite::CallTargetWorker+0xf8
07 00000043`079bef20 00007fff`224c40fa clr!RunMain+0x1e7
08 00000043`079bf100 00007fff`224c3fb7 clr!Assembly::ExecuteMainMethod+0xb6
09 00000043`079bf3f0 00007fff`224c394d clr!SystemDomain::ExecuteMainMethod+0x639
0a 00000043`079bfa10 00007fff`224c3732 clr!ExecuteEXE+0x3f
0b 00000043`079bfa80 00007fff`224c46a4 clr!_CorExeMainInternal+0xb2
0c 00000043`079bfb10 00007fff`2449a56d clr!CorExeMain+0x14
0d 00000043`079bfb50 00007fff`25a2a44c mscoreei!CorExeMain+0x112
0e 00000043`079bfbb0 00007fff`33aa2774 MSCOREE!CorExeMain_Exported+0x6c
0f 00000043`079bfbe0 00007fff`34200d51 KERNEL32!BaseThreadInitThunk+0x14
10 00000043`079bfc10 00000000`00000000 ntdll!RtlUserThreadStart+0x21

그렇습니다. clr!RunMain 함수가 대상입니다. ^^




자, 그럼 다시 절차를 만들어 보면, 우선 clr.dll이 올라오는 순간을 잡아내도록 설정하고 진행합니다.

0:000> sxe ld clr.dll

0:000> g
ModLoad: 00007fff`316f0000 00007fff`31791000   C:\WINDOWS\System32\ADVAPI32.dll
ModLoad: 00007fff`335a0000 00007fff`3363d000   C:\WINDOWS\System32\msvcrt.dll
ModLoad: 00007fff`33b60000 00007fff`33bb9000   C:\WINDOWS\System32\sechost.dll
ModLoad: 00007fff`31ff0000 00007fff`32115000   C:\WINDOWS\System32\RPCRT4.dll
ModLoad: 00007fff`24490000 00007fff`2452d000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mscoreei.dll
ModLoad: 00007fff`33760000 00007fff`337b1000   C:\WINDOWS\System32\SHLWAPI.dll
ModLoad: 00007fff`31a30000 00007fff`31d29000   C:\WINDOWS\System32\combase.dll
ModLoad: 00007fff`30750000 00007fff`30846000   C:\WINDOWS\System32\ucrtbase.dll
ModLoad: 00007fff`31220000 00007fff`3128a000   C:\WINDOWS\System32\bcryptPrimitives.dll
ModLoad: 00007fff`33560000 00007fff`33587000   C:\WINDOWS\System32\GDI32.dll
ModLoad: 00007fff`31460000 00007fff`315e8000   C:\WINDOWS\System32\gdi32full.dll
ModLoad: 00007fff`306b0000 00007fff`3074a000   C:\WINDOWS\System32\msvcp_win.dll
ModLoad: 00007fff`31ea0000 00007fff`31fea000   C:\WINDOWS\System32\USER32.dll
ModLoad: 00007fff`31200000 00007fff`3121e000   C:\WINDOWS\System32\win32u.dll
ModLoad: 00007fff`33a60000 00007fff`33a8d000   C:\WINDOWS\System32\IMM32.DLL
ModLoad: 00007fff`30640000 00007fff`30651000   C:\WINDOWS\System32\kernel.appcore.dll
ModLoad: 00007fff`2a280000 00007fff`2a28a000   C:\WINDOWS\SYSTEM32\VERSION.dll
ModLoad: 00007fff`223c0000 00007fff`22d9f000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lr.dll
ntdll!NtMapViewOfSection+0x14:
00007fff`342358a4 c3              ret

그럼 위와 같이 clr.dll 로드 시점에 windbg가 대상 프로세스의 실행을 중지합니다. 이제 clr!RunMain 함수에 대해 BP를 걸어주면 됩니다.

0:000> bp clr!RunMain

0:000> bl
     0 e Disable Clear  00007fff`224c5cf0     0001 (0001)  0:**** clr!RunMain

물론 clr.dll이 로드되었으니 .loadby 명령어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0:000> .loadby sos clr

이후 g로 진행하면 clr!RunMain에서 멈추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00> g
ModLoad: 00007fff`21610000 00007fff`21707000   C:\WINDOWS\SYSTEM32\MSVCR120_CLR0400.dll
(94c4.4370): Unknown exception - code 04242420 (first chance)
ModLoad: 00007fff`34180000 00007fff`34188000   C:\WINDOWS\System32\psapi.dll
ModLoad: 00007ffe`f7d60000 00007ffe`f92de000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4.0.30319_64\mscorlib\9aaf4ea9ded0a99b899b7bf4c971092d\mscorlib.ni.dll
ModLoad: 00007fff`31820000 00007fff`31965000   C:\WINDOWS\System32\ole32.dll
Breakpoint 0 hit
clr!RunMain:
00007fff`224c5cf0 488bc4          mov     rax,rsp

여기까지 왔으면 이제 Main 함수에 sos.dll의 BP 설정 명령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0:000> !bpmd SetPEChecksum SetPEChecksum.Program.Main
Found 1 methods in module 00007ffec2cc5108...
MethodDesc = 00007ffec2cc59c0
Adding pending breakpoints...

이후 g를 한 번 눌러주면 끝!

0:000> g
ModLoad: 0000028f`c99e0000 0000028f`c9a0a000   pe.dll  
ModLoad: 0000028f`c9a10000 0000028f`c9a3a000   pe.dll  
ModLoad: 00007fff`300b0000 00007fff`300c7000   C:\WINDOWS\SYSTEM32\CRYPTSP.dll
ModLoad: 00007fff`2fb30000 00007fff`2fb64000   C:\WINDOWS\system32\rsaenh.dll
ModLoad: 00007fff`301c0000 00007fff`301e5000   C:\WINDOWS\SYSTEM32\bcrypt.dll
ModLoad: 00007fff`300d0000 00007fff`300db000   C:\WINDOWS\SYSTEM32\CRYPTBASE.dll
(559c.2bc0): CLR notification exception - code e0444143 (first chance)
JITTED SetPEChecksum!SetPEChecksum.Program.Main(System.String[])
Setting breakpoint: bp 00007FFEC2DD04C1 [SetPEChecksum.Program.Main(System.String[])]
Breakpoint 1 hit
00007ffe`c2dd04c1 90              nop

이후 원하는 데로 t, p 명령어를 이용해 Main 메서드의 코드를 차례대로 실행할 수 있습니다.




검색해 보니 다음과 같은 절차도 있습니다.

Set a Breakpoint in Managed Code (C#) Using WinDBG
; http://kiewic.com/2015-10-11/set-a-breakpoint-in-managed-code-cs-using-windbg

위의 방법에 따라 간단하게 clrjit.dll 로딩 시점을 잡아내고,

0:000> sxe ld clrjit

0:000> g

sos를 로드한 다음 Main 메서드의 MethodDesc를 알아냅니다.

0:000> .loadby sos clr

0:000> !name2ee SetPEChecksum SetPEChecksum.Program.Main
Module:      00007ffec2ca5108
Assembly:    SetPEChecksum.exe
Token:       0000000006000001
MethodDesc:  00007ffec2ca59c0
Name:        SetPEChecksum.Program.Main(System.String[])
Not JITTED yet. Use !bpmd -md 00007ffec2ca59c0 to break on run.

보는 바와 같이 name2ee의 출력에는 !bpmd를 사용하려면 -md(MethodDesc) 옵션을 이용하라고도 해줍니다. ^^ 그대로 해주고, g를 하면 끝!

0:000> !bpmd -md 00007ffec2ca59c0
MethodDesc = 00007ffec2ca59c0
Adding pending breakpoints...

0:000> g
ModLoad: 0000012f`d6b80000 0000012f`d6baa000   pe.dll  
ModLoad: 0000012f`d6be0000 0000012f`d6c0a000   pe.dll  
ModLoad: 00007fff`300b0000 00007fff`300c7000   C:\WINDOWS\SYSTEM32\CRYPTSP.dll
ModLoad: 00007fff`2fb30000 00007fff`2fb64000   C:\WINDOWS\system32\rsaenh.dll
ModLoad: 00007fff`301c0000 00007fff`301e5000   C:\WINDOWS\SYSTEM32\bcrypt.dll
ModLoad: 00007fff`300d0000 00007fff`300db000   C:\WINDOWS\SYSTEM32\CRYPTBASE.dll
(616c.8a5c): CLR notification exception - code e0444143 (first chance)
JITTED SetPEChecksum!SetPEChecksum.Program.Main(System.String[])
Setting breakpoint: bp 00007FFEC2DB04C1 [SetPEChecksum.Program.Main(System.String[])]
Breakpoint 0 hit
00007ffe`c2db04c1 90              nop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8/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73정성태1/7/201126281.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972정성태1/7/201124288개발 환경 구성: 95. SQL Server 2008 R2 이하 버전 정보 확인
971정성태1/5/201133849.NET Framework: 199. .NET 코드 - Named Pipe 닷넷 서버와 VC++ 클라이언트 제작 [2]파일 다운로드1
970정성태1/4/201134364.NET Framework: 198. 윈도우 응용 프로그램에 Facebook 로그인 연동 [1]파일 다운로드1
969정성태12/31/201040479VC++: 45. Winsock 2 Layered Service Provider - Visual Studio 2010용 프로젝트 [1]파일 다운로드1
968정성태12/30/201026717개발 환경 구성: 94. 개발자가 선택할 수 있는 윈도우에서의 네트워크 프로그래밍 기술 [2]
967정성태12/27/201028474.NET Framework: 197. .NET 코드 - 단일 Process 실행파일 다운로드1
966정성태12/26/201026388.NET Framework: 196. .NET 코드 - 창 흔드는 효과파일 다운로드1
965정성태12/25/201027917개발 환경 구성: 93.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다중 어셈블리 출력 빌드파일 다운로드1
964정성태12/21/2010143108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14]
963정성태12/13/201027976개발 환경 구성: 91. MSBuild를 이용한 닷넷 응용프로그램의 플랫폼(x86/x64)별 빌드 [2]파일 다운로드1
962정성태12/10/201022788오류 유형: 110. GAC 등록 - Failure adding assembly to the cache: Invalid file or assembly name.
961정성태12/10/201099887개발 환경 구성: 90. 닷넷에서 접근해보는 PostgreSQL DB [5]
960정성태12/8/201045221.NET Framework: 195. .NET에서 코어(Core) 관련 CPU 정보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959정성태12/8/201032005.NET Framework: 194. Facebook 연동 - API Error Description: Invalid OAuth 2.0 Access Token
958정성태12/7/201028988개발 환경 구성: 89. 배치(batch) 파일에서 또 다른 배치 파일을 동기 방식으로 실행 및 반환값 얻기 [2]
957정성태12/6/201031758디버깅 기술: 31. Windbg - Visual Studio 디버그 상태에서 종료해 버리는 응용 프로그램 [3]
953정성태11/28/201037011.NET Framework: 193. 페이스북(Facebook)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5]
952정성태11/25/201025430.NET Framework: 192. GC의 부하는 상대적인 것! [4]
950정성태11/18/201076813.NET Framework: 191. ClickOnce - 관리자 권한 상승하는 방법 [17]파일 다운로드2
954정성태11/29/201048801    답변글 .NET Framework: 191.1. [답변] 클릭원스 - 요청한 작업을 수행하려면 권한 상승이 필요합니다. (Exception from HRESULT: 0x800702E4) [2]
949정성태11/16/201027332오류 유형: 109. System.ServiceModel.Security.SecurityNegotiationException
948정성태11/16/201036169.NET Framework: 190. 트위터 계정으로 로그인하는 C# 웹 사이트 제작 [7]파일 다운로드1
947정성태11/14/201041760.NET Framework: 189. Mono Cecil로 만들어 보는 .NET Decompiler [1]파일 다운로드1
946정성태11/11/201041637.NET Framework: 188. .NET 64비트 응용 프로그램에서 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1]파일 다운로드1
945정성태11/11/201025110VC++: 44.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4368: mixed types are not supported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