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90. windbg의 lm 명령으로 보이지 않는 .NET 4.0 ClassLibrary를 명시적으로 로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256

.NET Framework: 689. CLR 4.0 환경에서 DLL 모듈의 로드 주소(Base address) 알아내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25

.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 https://www.sysnet.pe.kr/2/0/11326

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30




CLR 4.0 환경에서 DLL 모듈의 로드 주소(Base address) 알아내는 방법

(예전에도 잠깐 언급했지만) CLR 4부터, 그러니까 .NET Framework 4부터 DLL 로딩을 Win32 API의 LoadLibrary를 이용하지 않도록 바뀌었기 때문에 네이티브 모듈 열거에서는 .NET 모듈이 누락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가령 다음의 코드를,

// 이 코드를 실행하는 콘솔 프로그램은 ClassLibrary1.dll을 참조해 사용하고 있음

foreach (ProcessModule item in Process.GetCurrentProcess().Modules)
{
    Console.WriteLine(item.FileName + ": 0x" +  item.BaseAddress.ToString("x"));
}

.NET 2.0 ~ 3.5에서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ClassLibrary1.dll이 목록에 나오지만,

F:\ConsoleApp1\ConsoleApp1\bin\Debug\ConsoleApp1.exe: 0x630000
C:\Windows\SYSTEM32\ntdll.dll: 0x7ff97e420000
C:\Windows\SYSTEM32\MSCOREE.DLL: 0x7ff963510000
...[생략: native module]...
C:\Windows\System32\powrprof.dll: 0x7ff97a8b0000
C:\Windows\System32\profapi.dll: 0x7ff97a900000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2.0.50727_64\mscorlib\4e0bf2aed484475a500c73b16dd54e3a\mscorlib.ni.dll: 0x7ff95cd60000
C:\Windows\System32\ole32.dll: 0x7ff97c340000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2.0.50727\mscorjit.dll: 0x7ff95c5e0000
F:\ConsoleApp1\ConsoleApp1\bin\Debug\ClassLibrary1.dll: 0xfa0000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2.0.50727_64\System\4bf531fbd3a73bf62d20ff592522c30b\System.ni.dll: 0x7ff9310a0000
C:\Windows\System32\psapi.dll: 0x7ff97def0000

.NET 4.0 이상에서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ClassLibrary1.dll을 찾아볼 수 없습니다.

F:\ConsoleApp1\ConsoleApp1\bin\Debug\ConsoleApp1.exe: 0x1ebf8130000
C:\Windows\SYSTEM32\ntdll.dll: 0x7ff97e420000
C:\Windows\SYSTEM32\MSCOREE.DLL: 0x7ff963510000
...[생략: native module]...
C:\Windows\SYSTEM32\VERSION.dll: 0x7ff9754f0000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lr.dll: 0x7ff9636b0000
C:\Windows\SYSTEM32\MSVCR120_CLR0400.dll: 0x7ff963410000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4.0.30319_64\mscorlib\9aaf4ea9ded0a99b899b7bf4c971092d\mscorlib.ni.dll: 0x7ff961df0000
C:\Windows\System32\ole32.dll: 0x7ff97c340000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lrjit.dll: 0x7ff961cd0000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4.0.30319_64\System\b6563094687cd99e0db057bdda2a8b90\System.ni.dll: 0x7ff930460000
C:\Windows\System32\psapi.dll: 0x7ff97def0000

그래도 혹시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지 않을까요? 검색해 보니 다음과 같은 글이 나옵니다. ^^

Finding the correct baseaddress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8263135/finding-the-correct-baseaddress

결국 managed module 목록은 AppDomain에서 구하고, 그 DLL들의 로딩 주소를 Marshal.GetHINSTANCE 메서드를 이용하면 됩니다.

foreach (Assembly asm in AppDomain.CurrentDomain.GetAssemblies())
{
    Console.WriteLine("[" + asm.FullName + "]");
    {
        IntPtr ptr = Marshal.GetHINSTANCE(asm.ManifestModule);
        Console.WriteLine("0x" + ptr.ToInt64().ToString("x"));
    }

    Console.WriteLine();
}

다음은 이에 대한 출력 결과입니다.

[mscorlib,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0x1ac60000

[ConsoleApp1,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null]
0x60000

[ClassLibrary1, Version=1.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null]
0x690000

[System,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77a5c561934e089]
0x1b19000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4/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797정성태5/23/201521604VC++: 91. 자식 스레드에 자동 상속되는 TEB의 SubProcessTag 필드파일 다운로드1
10796정성태5/23/201532432오류 유형: 293.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실행 시 "Cannot find one or more components" 오류
10795정성태5/23/201530565오류 유형: 292. InstallUtil로 .NET 서비스 등록 시 오류 - Operation is not supported. (Exception from HRESULT: 0x80131515). [3]
10794정성태5/22/201525520개발 환경 구성: 267.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네트워킹 기초 [1]
2925정성태5/14/201525119디버깅 기술: 73. PDB 기호 파일의 경로 구성 방식파일 다운로드1
2924정성태5/14/201528426VS.NET IDE: 100. 비주얼 스튜디오 원격 디버깅 시 'Unknown function' 콜스택이 나온다면?
2923정성태5/12/201587769기타: 52. 도서: 시작하세요! C# 6.0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17]
2922정성태5/12/201524630오류 유형: 291. ssindex.cmd 실행 시 '...[tfs_collection_url]...' not found in srcsrv.ini 오류 발생
2921정성태5/9/201530976개발 환경 구성: 266. 인텔에서 구현한 최대 절전 모드 기능 - Intel® Rapid Start Technology
2920정성태5/9/201522118오류 유형: 290. 디스크 관리자의 파티션 축소 시, There is not enough space available on the disk(s) to complete this operation.
2919정성태5/9/201521988오류 유형: 289. Error: this template attempted to load component assembly 'NuGet.VisualStudio.Interop, ...'
2918정성태5/9/201540534Windows: 111. 복구(Recovery) 파티션 삭제하는 방법 [3]
2917정성태5/9/201530962오류 유형: 288. .NET Framework 4.6이 설치된 경우 "Intel® Rapid Storage Technology (Intel® RST) RAID Driver"가 설치 안 되는 문제 [5]
2916정성태5/9/201532018오류 유형: 287. 레지스트리 권한 오류 - Cannot edit [Registry key name]: Error writing the value's new contents.
2915정성태5/9/201531139개발 환경 구성: 265. TrustedInstaller 권한으로 프로그램 실행시키는 방법 [11]
2914정성태5/9/201528488DDK: 7.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2913정성태4/30/201526247.NET Framework: 511. Build 2015 행사에서 소개된 (맥/리눅스/윈도우 용 무료) Visual Studio Code 개발 도구 [8]
2912정성태4/29/201521979오류 유형: 286. VirtualBox에 Windows 8/2012 설치 시 "Error Code: 0x000000C4" 오류 발생
2911정성태4/29/201520595오류 유형: 285. Visual Studio 2015를 제거한 경우 Microsoft.VisualStudio.Web.PageInspector.Loader 어셈블리를 못 찾는 문제 [2]
2910정성태4/29/201524476오류 유형: 284. System.TypeLoadException: Could not load type 'System.Reflection.AssemblySignatureKeyAttribute' from assembly [1]
2909정성태4/29/201520609오류 유형: 283. WCF 연결 오류 - Expected record type 'PreambleAck'
2908정성태4/29/201528906오류 유형: 282. 원격에서 SQL 서버는 연결되지만, SQL Express는 연결되지 않는 경우
2907정성태4/29/201518966.NET Framework: 510. 제네릭(Generic) 인자에 대한 메타데이터 등록 확인
2906정성태4/28/201521589오류 유형: 281. DebugView로 인한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 멈춤(Hang) 현상
2905정성태4/27/201521946오류 유형: 280. HttpResponse.Headers.Add에서 "System.PlatformNotSupportedException: This operation requires IIS integrated pipeline mode." 예외 발생
2904정성태4/27/201527197DDK: 6.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2]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