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56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이 글은 다음의 내용을 정리한 것입니다.

Samba: Set up a Raspberry Pi as a File Server for your local network
; https://www.raspberrypi.org/magpi/samba-file-server/

간단합니다. ^^ 파이에서 다음과 같이 samba를 설치하고,

$sudo apt-get install samba samba-common-bin

공유할 디렉터리를 만들어 줍니다. (이 글에서는 공유 디렉터리 이름을 share로 정합니다.)

$sudo mkdir -m 1666 /share

(다들 아시겠지만 ^^) 숫자 1666의 의미는 다음과 같습니다.

1 = dir
666의 개별 값 = execute/write/read의 권한 조합으로 각각 1, 2, 4를 의미

6 = (owner) user에 대한 권한 write/read
6 = group에 대한 권한 write/read
6 = everyone-else에 대한 권한  write/read

만약 실행 권한을 추가하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됩니다.

$ sudo chmod +x /share

혹은 다른 디렉터리의 권한 설정을 따르고 싶다면 stat 명령어를 이용해 그 디렉터리의 권한을 구해 사용하면 됩니다.

$ stat -c %a /sbin
755

남은 작업은, 이제 samba로 하여금 해당 폴더를 공유하라고 지정하면 끝입니다. 따라서 smb.conf 파일을 열고,

$ sudo nano /etc/samba/smb.conf

다음의 내용을 추가합니다.

[share]
comment = Pi shared folder
path = /share
browseable = yes
writeable = yes
only guest = no
create mask = 0777
directory mask = 0777

마지막으로 보안을 위해 pi의 samba 접근 시 암호를 다음과 같이 바꿔주고,

$ sudo smbpasswd -a pi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됩니다.

$ sudo /etc/init.d/samba restart

이후 윈도우 PC 등에서 "\\..ip...\share"와 같은 경로로 접근하면 됩니다.




참고로, samba의 공유 폴더로 연결이 안 되고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192.168.10.120\share is not accessible. You might not have permission to use this network resource. Contact the administrator of this server to find out if you have access permissions.

Multiple connections to a server or shared resource by the same user, using more than one user name, are not allowed. Disconnect all previous connections to the server or shared resource and try again.

이럴 때는 net use 명령어로 기존 cache된 연결 정보를 확인합니다.

C:\>net use
New connections will be remembered.


Status       Local     Remote                    Network

-------------------------------------------------------------------------------
OK           T:        \\192.168.10.2\my          Microsoft Windows Network
Disconnected           \\192.168.10.120\IPC$      Microsoft Windows Network
The command completed successfully.

위에서 192.168.10.120 연결이 바로 "Multiple connections..." 오류의 원인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삭제해 주거나,

C:\>net use \\192.168.10.120\IPC$ /delete
\\192.168.10.120\IPC$ was deleted successfully.

C:\>net use
New connections will be remembered.


Status       Local     Remote                    Network

-------------------------------------------------------------------------------
OK           T:        \\192.168.10.2\my         Microsoft Windows Network
The command completed successfully.

만약 연결이 하나밖에 없다면 간단하게 모두 삭제하라고 명령을 내릴 수 있습니다.

net use * /delete

이후 다시 "\\..ip...\share" 경로로 연결하면 잘 될 것입니다. ^^




참고로, ls 명령을 내렸는데 다음과 같이 읽히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 ls
ls: cannot open directory '.': Permission denied

이런 경우 해당 폴더에 대한 read 권한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이 read 권한을 주면 됩니다.

$ sudo chmod +r /shar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0/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11-28 12시01분
samba로 공유한 폴더는 다음과 같은 .editorconfig 파일을 두면 좋을 듯! (참고: http://www.sysnet.pe.kr/2/0/11376)

=======================================
root = true

[*]
indent_style = space
charset = utf-8
end_of_line = lf
insert_final_newline = true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96정성태3/18/201523122VC++: 90. Visual Studio 2013에서 Visual Basic 6용 ATL Control 제작
2895정성태3/18/201526893VC++: 89. Visual Studio 2015 - auto 반환 타입 및 thread_local 예약어 지원(C++ 11 표준) [2]
2894정성태3/18/201523877.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2893정성태3/18/201525508오류 유형: 277. command line error MIDL1004: cannot execute C preprocessor cl.exe
2892정성태3/17/201530659오류 유형: 276. robocopy - Logon failure: unknown user name or bad password.
2891정성태3/17/201546499개발 환경 구성: 262. Visual Basic 6 (Enterprise Edition)을 Windows 7 x86에 설치하는 방법 [1]
2890정성태3/17/201527745오류 유형: 275. Internet Explorer - This page can't be displayed
2889정성태3/17/201529525Windows: 107. (2015-03-12) 업데이트 이후 작업 표시줄 또는 탐색기의 반응이 느려지는 문제 [1]
2888정성태3/17/201527439.NET Framework: 508. Visual Studio 빌드 - fatal error C1033: cannot open program database ''
2887정성태3/13/201524826.NET Framework: 507. CoreFx 빌드하는 방법
2886정성태3/13/201526692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
2885정성태3/13/201537252VS.NET IDE: 99. Visual Studio는 2019는 32비트, 2022부터 64비트 버전입니다. [2]
2884정성태3/12/201531355.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5]
2883정성태3/10/201528011.NET Framework: 505. OpenCover 소스 코드 분석을 Visual Studio 2013에서 하는 방법 [1]
2882정성태3/10/201526806.NET Framework: 504. OpenCover 코드 커버리지 도구의 동작 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Calli IL 코드 사용법
2881정성태3/9/201527584개발 환경 구성: 261. OpenCover 오픈 소스를 이용한 .NET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2880정성태3/7/201525481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30701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2878정성태2/28/201531604.NET Framework: 503. == 연산자보다는 Equals 메서드의 호출이 더 권장됩니다. [3]파일 다운로드1
2877정성태2/28/201524758.NET Framework: 502. 연산자 재정의(operator overloading)와 메서드 재정의(method overriding)의 다른 점 - 가상 함수 호출 여부 [3]파일 다운로드1
2876정성태2/27/201527397VS.NET IDE: 98. IntegraStudio - Visual Studio에서 Java 프로그램 개발
2875정성태2/26/201527229디버깅 기술: 72.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2874정성태2/26/201523021디버깅 기술: 71. windbg + 닷넷 디버깅 (2) - null 체크 패턴
2873정성태2/25/201541383.NET Framework: 501. FtpWebRequest 타입을 이용해 FTP 파일 업로드 [4]파일 다운로드1
2872정성태2/25/201525236디버깅 기술: 70. windbg + 닷넷 디버깅 (1) - 배열 인덱스 사용 패턴
2871정성태2/24/201528712개발 환경 구성: 258.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하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