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7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3

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4

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5

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6

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363

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 https://www.sysnet.pe.kr/2/0/11364

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 https://www.sysnet.pe.kr/2/0/11369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지난 글에서 Raspberry Pi Zero의 OTG 기능을 이용해 "유선 USB 이더넷 카드"로 사용하는 방법을 설명했는데요. ^^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3

이번에는 그보다 더 재미있는 "가상 키보드(또는 마우스)"로 동작시키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

(참고로 지난 글의 이더넷 실습을 했다면 cmdline.txt의 "modules-load=dwc2,g_ether" 내용을 삭제합니다.)




(지난번과 마찬가지로) 먼저 "/boot" 디렉터리의 "config.txt" 파일을 열어 다음의 라인을 추가해줍니다.

dtoverlay=dwc2

그다음 /etc/modules 파일에 다음의 2가지 설정을 추가하고,

dwc2
g_hid

파이를 키보드로써 동작시키는 스크립트를 실행합니다. 이 스크립트 파일의 내용은 다음의 글에서 구할 수 있는데,

Setting up RPi Zero as a g_hid keyboard
; https://www.raspberrypi.org/forums/viewtopic.php?t=151645&f=28

아래에 포함시켜놨으니 사용하시면 됩니다.

#!/bin/bash
# From the README at https://github.com/girst/hardpass

dtoverlay dwc2
modprobe dwc2
modprobe libcomposite
cd /sys/kernel/config/usb_gadget/
mkdir -p g1
cd g1
echo 0x1d6b > idVendor # Linux Foundation
echo 0x0104 > idProduct # Multifunction Composite Gadget
echo 0x0100 > bcdDevice # v1.0.0
echo 0x0200 > bcdUSB # USB2
mkdir -p strings/0x409
echo "fedcba9876543210" > strings/0x409/serialnumber
echo "girst" > strings/0x409/manufacturer
echo "Hardpass" > strings/0x409/product
N="usb0"
mkdir -p functions/hid.$N
echo 1 > functions/hid.usb0/protocol
echo 1 > functions/hid.usb0/subclass
echo 8 > functions/hid.usb0/report_length
echo -ne \\x05\\x01\\x09\\x06\\xa1\\x01\\x05\\x07\\x19\\xe0\\x29\\xe7\\x15\\x00\\x25\\x01\\x75\\x01\\x95\\x08\\x81\\x02\\x95\\x01\\x75\\x08\\x81\\x03\\x95\\x05\\x75\\x01\\x05\\x08\\x19\\x01\\x29\\x05\\x91\\x02\\x95\\x01\\x75\\x03\\x91\\x03\\x95\\x06\\x75\\x08\\x15\\x00\\x25\\x65\\x05\\x07\\x19\\x00\\x29\\x65\\x81\\x00\\xc0 > functions/hid.usb0/report_desc
C=1
mkdir -p configs/c.$C/strings/0x409
echo "Config $C: ECM network" > configs/c.$C/strings/0x409/configuration
echo 250 > configs/c.$C/MaxPower
ln -s functions/hid.$N configs/c.$C/
ls /sys/class/udc > UDC

위의 내용을 virt_key.sh 파일명으로 만들어 저장하고,

$ nano virt_key.sh

실행 권한을 부여한 후 실행합니다.

$ chmod +x ./virt_key.sh
$ sudo ./virt_key.sh

(재부팅하면 스크립트로 설정된 환경이 초기화되므로 .bashrc 등의 파일에 virt_key.sh 명령을 추가하는 것도 좋습니다.)

이렇게 하고 USB to Micro B 케이블로 컴퓨터에 연결하면 다음과 같이 "HID Keyboard Device"라는 장치로 인식됩니다.

raspberry_otg_keyboard_1.PNG

키보드로 인식되었으니 당연히 대상 컴퓨터에 키보드 입력을 보내야 할 텐데요, 이를 위해 테스트 용으로 다음의 소스 코드를 이용합니다.

Linux USB HID gadget driver
; https://www.kernel.org/doc/Documentation/usb/gadget_hid.txt

/* hid_gadget_test */

#include <pthread.h>
#include <string.h>
#include <stdio.h>
#include <ctype.h>
#include <fcntl.h>
#include <errno.h>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include <unistd.h>

#define BUF_LEN 512

struct options {
    const char    *opt;
    unsigned char val;
};

static struct options kmod[] = {
    {.opt = "--left-ctrl",      .val = 0x01},
    {.opt = "--right-ctrl",     .val = 0x10},
    {.opt = "--left-shift",     .val = 0x02},
    {.opt = "--right-shift",    .val = 0x20},
    {.opt = "--left-alt",       .val = 0x04},
    {.opt = "--right-alt",      .val = 0x40},
    {.opt = "--left-meta",      .val = 0x08},
    {.opt = "--right-meta",     .val = 0x80},
    {.opt = NULL}
};

static struct options kval[] = {
    {.opt = "--return", .val = 0x28},
    {.opt = "--esc",    .val = 0x29},
    {.opt = "--bckspc", .val = 0x2a},
    {.opt = "--tab",    .val = 0x2b},
    {.opt = "--spacebar",   .val = 0x2c},
    {.opt = "--caps-lock",  .val = 0x39},
    {.opt = "--f1",     .val = 0x3a},
    {.opt = "--f2",     .val = 0x3b},
    {.opt = "--f3",     .val = 0x3c},
    {.opt = "--f4",     .val = 0x3d},
    {.opt = "--f5",     .val = 0x3e},
    {.opt = "--f6",     .val = 0x3f},
    {.opt = "--f7",     .val = 0x40},
    {.opt = "--f8",     .val = 0x41},
    {.opt = "--f9",     .val = 0x42},
    {.opt = "--f10",    .val = 0x43},
    {.opt = "--f11",    .val = 0x44},
    {.opt = "--f12",    .val = 0x45},
    {.opt = "--insert", .val = 0x49},
    {.opt = "--home",   .val = 0x4a},
    {.opt = "--pageup", .val = 0x4b},
    {.opt = "--del",    .val = 0x4c},
    {.opt = "--end",    .val = 0x4d},
    {.opt = "--pagedown",   .val = 0x4e},
    {.opt = "--right",  .val = 0x4f},
    {.opt = "--left",   .val = 0x50},
    {.opt = "--down",   .val = 0x51},
    {.opt = "--kp-enter",   .val = 0x58},
    {.opt = "--up",     .val = 0x52},
    {.opt = "--num-lock",   .val = 0x53},
    {.opt = NULL}
};

int keyboard_fill_report(char report[8], char buf[BUF_LEN], int *hold)
{
    char *tok = strtok(buf, " ");
    int key = 0;
    int i = 0;

    for (; tok != NULL; tok = strtok(NULL, " ")) {

        if (strcmp(tok, "--quit") == 0)
            return -1;

        if (strcmp(tok, "--hold") == 0) {
            *hold = 1;
            continue;
        }

        if (key < 6) {
            for (i = 0; kval[i].opt != NULL; i++)
                if (strcmp(tok, kval[i].opt) == 0) {
                    report[2 + key++] = kval[i].val;
                    break;
                }
            if (kval[i].opt != NULL)
                continue;
        }

        if (key < 6)
            if (islower(tok[0])) {
                report[2 + key++] = (tok[0] - ('a' - 0x04));
                continue;
            }

        for (i = 0; kmod[i].opt != NULL; i++)
            if (strcmp(tok, kmod[i].opt) == 0) {
                report[0] = report[0] | kmod[i].val;
                break;
            }
        if (kmod[i].opt != NULL)
            continue;

        if (key < 6)
            fprintf(stderr, "unknown option: %s\n", tok);
    }
    return 8;
}

static struct options mmod[] = {
    {.opt = "--b1", .val = 0x01},
    {.opt = "--b2", .val = 0x02},
    {.opt = "--b3", .val = 0x04},
    {.opt = NULL}
};

int mouse_fill_report(char report[8], char buf[BUF_LEN], int *hold)
{
    char *tok = strtok(buf, " ");
    int mvt = 0;
    int i = 0;
    for (; tok != NULL; tok = strtok(NULL, " ")) {

        if (strcmp(tok, "--quit") == 0)
            return -1;

        if (strcmp(tok, "--hold") == 0) {
            *hold = 1;
            continue;
        }

        for (i = 0; mmod[i].opt != NULL; i++)
            if (strcmp(tok, mmod[i].opt) == 0) {
                report[0] = report[0] | mmod[i].val;
                break;
            }
        if (mmod[i].opt != NULL)
            continue;

        if (!(tok[0] == '-' && tok[1] == '-') && mvt < 2) {
            errno = 0;
            report[1 + mvt++] = (char)strtol(tok, NULL, 0);
            if (errno != 0) {
                fprintf(stderr, "Bad value:'%s'\n", tok);
                report[1 + mvt--] = 0;
            }
            continue;
        }

        fprintf(stderr, "unknown option: %s\n", tok);
    }
    return 3;
}

static struct options jmod[] = {
    {.opt = "--b1",     .val = 0x10},
    {.opt = "--b2",     .val = 0x20},
    {.opt = "--b3",     .val = 0x40},
    {.opt = "--b4",     .val = 0x80},
    {.opt = "--hat1",   .val = 0x00},
    {.opt = "--hat2",   .val = 0x01},
    {.opt = "--hat3",   .val = 0x02},
    {.opt = "--hat4",   .val = 0x03},
    {.opt = "--hatneutral", .val = 0x04},
    {.opt = NULL}
};

int joystick_fill_report(char report[8], char buf[BUF_LEN], int *hold)
{
    char *tok = strtok(buf, " ");
    int mvt = 0;
    int i = 0;

    *hold = 1;

    /* set default hat position: neutral */
    report[3] = 0x04;

    for (; tok != NULL; tok = strtok(NULL, " ")) {

        if (strcmp(tok, "--quit") == 0)
            return -1;

        for (i = 0; jmod[i].opt != NULL; i++)
            if (strcmp(tok, jmod[i].opt) == 0) {
                report[3] = (report[3] & 0xF0) | jmod[i].val;
                break;
            }
        if (jmod[i].opt != NULL)
            continue;

        if (!(tok[0] == '-' && tok[1] == '-') && mvt < 3) {
            errno = 0;
            report[mvt++] = (char)strtol(tok, NULL, 0);
            if (errno != 0) {
                fprintf(stderr, "Bad value:'%s'\n", tok);
                report[mvt--] = 0;
            }
            continue;
        }

        fprintf(stderr, "unknown option: %s\n", tok);
    }
    return 4;
}

void print_options(char c)
{
    int i = 0;

    if (c == 'k') {
        printf("    keyboard options:\n"
               "        --hold\n");
        for (i = 0; kmod[i].opt != NULL; i++)
            printf("\t\t%s\n", kmod[i].opt);
        printf("\n  keyboard values:\n"
               "        [a-z] or\n");
        for (i = 0; kval[i].opt != NULL; i++)
            printf("\t\t%-8s%s", kval[i].opt, i % 2 ? "\n" : "");
        printf("\n");
    } else if (c == 'm') {
        printf("    mouse options:\n"
               "        --hold\n");
        for (i = 0; mmod[i].opt != NULL; i++)
            printf("\t\t%s\n", mmod[i].opt);
        printf("\n  mouse values:\n"
               "        Two signed numbers\n"
               "--quit to close\n");
    } else {
        printf("    joystick options:\n");
        for (i = 0; jmod[i].opt != NULL; i++)
            printf("\t\t%s\n", jmod[i].opt);
        printf("\n  joystick values:\n"
               "        three signed numbers\n"
               "--quit to close\n");
    }
}

int main(int argc, const char *argv[])
{
    const char *filename = NULL;
    int fd = 0;
    char buf[BUF_LEN];
    int cmd_len;
    char report[8];
    int to_send = 8;
    int hold = 0;
    fd_set rfds;
    int retval, i;

    if (argc < 3) {
        fprintf(stderr, "Usage: %s devname mouse|keyboard|joystick\n",
            argv[0]);
        return 1;
    }

    if (argv[2][0] != 'k' && argv[2][0] != 'm' && argv[2][0] != 'j')
      return 2;

    filename = argv[1];

    if ((fd = open(filename, O_RDWR, 0666)) == -1) {
        perror(filename);
        return 3;
    }

    print_options(argv[2][0]);

    while (42) {

        FD_ZERO(&rfds);
        FD_SET(STDIN_FILENO, &rfds);
        FD_SET(fd, &rfds);

        retval = select(fd + 1, &rfds, NULL, NULL, NULL);
        if (retval == -1 && errno == EINTR)
            continue;
        if (retval < 0) {
            perror("select()");
            return 4;
        }

        if (FD_ISSET(fd, &rfds)) {
            cmd_len = read(fd, buf, BUF_LEN - 1);
            printf("recv report:");
            for (i = 0; i < cmd_len; i++)
                printf(" %02x", buf[i]);
            printf("\n");
        }

        if (FD_ISSET(STDIN_FILENO, &rfds)) {
            memset(report, 0x0, sizeof(report));
            cmd_len = read(STDIN_FILENO, buf, BUF_LEN - 1);

            if (cmd_len == 0)
                break;

            buf[cmd_len - 1] = '\0';
            hold = 0;

            memset(report, 0x0, sizeof(report));
            if (argv[2][0] == 'k')
                to_send = keyboard_fill_report(report, buf, &hold);
            else if (argv[2][0] == 'm')
                to_send = mouse_fill_report(report, buf, &hold);
            else
                to_send = joystick_fill_report(report, buf, &hold);

            if (to_send == -1)
                break;

            if (write(fd, report, to_send) != to_send) {
                perror(filename);
                return 5;
            }
            if (!hold) {
                memset(report, 0x0, sizeof(report));
                if (write(fd, report, to_send) != to_send) {
                    perror(filename);
                    return 6;
                }
            }
        }
    }

    close(fd);
    return 0;
}

라즈베리 파이에 기본 설치되어 있는 gcc를 이용해 컴파일하고,

$ gcc hid_gadget_test.c -o hid_tester

키보드 장치로써 I/O 작업을 수행하도록 다음과 같이 파이에서 실행해 둡니다.

$ sudo ./hid_tester /dev/hidg0 keyboard

(여기서 hidg0 장치명은 "ls /dev" 명령어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상 키보드 입력 테스트를 위해 라즈베리 파이 제로를 연결한 컴퓨터에는 메모장을 띄워 놓고 입력 포커스를 유지합니다. 그다음, 라즈베리 파이의 hid_tester 입력 화면에서 다음의 내용을 타이핑합니다.

t
e
s
t
--return

그럼 라즈베리 파이 제로를 연결한 컴퓨터의 메모장에 "test" + Enter 키가 입력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오~~~ 멋지죠? ^^

이것을 이용하면 "keybd_event, mouse_event, 포트 I/O"를 통한 방법보다 훨씬 더 매끄러운 매크로 입력 프로그램도 가능합니다.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7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3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4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 https://www.sysnet.pe.kr/2/0/11364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 https://www.sysnet.pe.kr/2/0/11369

라즈베리 파이 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1411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 https://www.sysnet.pe.kr/2/0/11373

Linux 3: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374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11-14 01시58분
Using RPi Zero as a Keyboard Part 1: Setup and device definition
; https://www.rmedgar.com/blog/using-rpi-zero-as-keyboard-setup-and-device-definition
정성태
2017-11-14 02시27분
Tutorial about USB HID Report Descriptors
; http://eleccelerator.com/tutorial-about-usb-hid-report-descriptors/
정성태
2018-02-08 08시36분
[손소영] 정말 소중하고 유용한정보 감사합니다. 제가 따라하던중 /etc/modules-load.d/modules.conf에 dwc2 g_hid 설정을 추가한 후 저장하려고 했는데 쓰기용으로 열수없다고 경고가 떠서 시작을 못하고 있습니다. 혹시 /etc/modules-load.d/modules.conf와 다른 파일인가요??
[guest]
2018-02-09 05시29분
저도 리눅스를 잘 몰라 그러는데 /etc/modules 파일과 /etc/modules-load.d/modules.conf 파일이 같은 건가요? 같다고 해도, 그냥 /etc/modules 파일을 열어 편집하셔도 될 것 같은데요.
정성태
2020-08-24 12시08분
[초보] 혹시 파이썬으로도 가능한가요??ㅠ
[guest]
2020-08-24 12시37분
가능할 것 같은데요, 어차피 본문에서 다룬 gadget_hid.txt의 C 언어 소스 코드가 소켓 I/O에 파일 I/O만 있는 코드라서 그것만 파이썬으로 맞춰주면 될 것입니다.
정성태
2022-01-14 11시11분
[yse] 안녕하세요~
글 보고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질문이 하나 있는데요,
일반적으로 알파벳 'a' 의 keycode 는 65 로 할당되어 있는데
예제 프로그램으로 keyboard_fill_report 에서 리턴해주는 a 8byte 기준 0 0 4 0 0 0 0 0 으로 리턴하더라고요.
처음 생각으로는 a 를 쓰려면 0 0 65 0 0 0 0 0 이라고 생각했는데요, 다른 이유가 뭘까요..??
[guest]
2022-01-14 12시18분
키보드 장치의 코드와 ascii 코드는 다릅니다. 아래의 문서에,

https://www.usb.org/sites/default/files/documents/hut1_12v2.pdf

"10. Keyboard/Keypad Page (0x07)" 절을 보시면, 각 키 패드에 대한 값을 확인할 수 있고, 거기 보시면 "Keyboard a and A"는 4에 해당합니다.

아래의 글을 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Using the Keyboard Driver
; https://tetherscript.com/kbhid/hidkb-using-the-keyboard-driver/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56정성태9/23/201427488기타: 48. NVidia 제품의 과다한 디스크 사용 [2]
1755정성태9/22/201434280오류 유형: 241. Unity Web Player를 설치해도 여전히 설치하라는 화면이 나오는 경우 [4]
1754정성태9/22/201424666VC++: 80. 내 컴퓨터에서 C++ AMP 코드가 실행이 될까요? [1]
1753정성태9/22/201420611오류 유형: 240. Lync로 세미나 참여 시 소리만 들리지 않는 경우 [1]
1752정성태9/21/201441071Windows: 100. 윈도우 8 - RDP 연결을 이용해 VNC처럼 사용자 로그온 화면을 공유하는 방법 [5]
1751정성태9/20/201438954.NET Framework: 464. 프로세스 간 통신 시 소켓 필요 없이 간단하게 Pipe를 열어 통신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50정성태9/20/201423833.NET Framework: 463. PInvoke 호출을 이용한 비동기 파일 작업파일 다운로드1
1749정성태9/20/201423733.NET Framework: 462. 커널 객체를 위한 null DACL 생성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48정성태9/19/201425386개발 환경 구성: 238. [Synergy] 여러 컴퓨터에서 키보드, 마우스 공유
1747정성태9/19/201428499오류 유형: 239. psexec 실행 오류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746정성태9/18/201426106.NET Framework: 46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 두 번째 이야기 [6]파일 다운로드1
1745정성태9/17/201423038개발 환경 구성: 237. 리눅스 Integration Services 버전 업그레이드 하는 방법 [1]
1744정성태9/17/201431064.NET Framework: 460. GetTickCount / GetTickCount64와 0x7FFE0000 주솟값 [4]파일 다운로드1
1743정성태9/16/201420985오류 유형: 238. 설치 오류 - Failed to get size of pseudo bundle
1742정성태8/27/201426976개발 환경 구성: 236.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2]
1741정성태8/26/201421334.NET Framework: 459. GetModuleHandleEx로 알아보는 .NET 메서드의 DLL 모듈 관계파일 다운로드1
1740정성태8/25/201432523.NET Framework: 458. 닷넷 GC가 순환 참조를 해제할 수 있을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739정성태8/24/201426559.NET Framework: 457. 교착상태(Dead-lock) 해결 방법 - Lock Leveling [2]파일 다운로드1
1738정성태8/23/201422052.NET Framework: 456. C# - CAS를 이용한 Lock 래퍼 클래스파일 다운로드1
1737정성태8/20/201419765VS.NET IDE: 93. Visual Studio 2013 동기화 문제
1736정성태8/19/201425580VC++: 79. [부연] CAS Lock 알고리즘은 과연 빠른가? [2]파일 다운로드1
1735정성태8/19/201418235.NET Framework: 455.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두 번째 이야기
1734정성태8/13/201419894오류 유형: 237. Windows Media Player cannot access the file. The file might be in use, you might not have access to the computer where the file is stored, or your proxy settings might not be correct.
1733정성태8/13/201426363.NET Framework: 454. EmptyWorkingSet Win32 API를 사용하는 C# 예제파일 다운로드1
1732정성태8/13/201434480Windows: 99. INetCache 폴더가 다르게 보이는 이유
1731정성태8/11/201427086개발 환경 구성: 235. 점(.)으로 시작하는 파일명을 탐색기에서 만드는 방법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