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기존 "Version 1703 (OS Build 15063.674)" 빌드에서 오늘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버전으로 업그레이드를 했습니다. 이 버전부터, 드디어 "Windows Subsystem for Linux"가 베타 딱지를 떼게 되는데, 덕분에 Linux 관련 응용 프로그램 개발이 좀 더 자연스럽게 통합이 됩니다. 이에 대해서는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

Windows 10으로 시작하는 Java 개발
; https://medium.com/@rkttu/start-java-dev-with-win-10-402cb91126fd

그런데, 업그레이드 후 2가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하나는, NVIDIA GTX960 그래픽 카드가 인식은 되는데 정상적으로 드라이버가 설치되지 않습니다. NVidia 측에서 최신 드라이버를 설치하려 해도 다음과 같은 오류 창이 떨어질 뿐입니다.

[그림 출처: https://www.custompcguide.net/2-methods-to-fix-nvidia-installer-failed-issue-for-geforce-video-cards/]
winupdate_16299_0.png

NVIDIA Installer failed

윈도우의 장치 관리자를 보면 다음과 같이 "Video Controller (VGA Compatible)"라고 나오는데,

winupdate_16299_1.png

저 항목을 우 클릭해 "Update driver" 메뉴를 통해 다운로드 한 NVidia display driver를 지정해도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와 함께 진행이 안됩니다.

NVIDIA Display settings are not available.
You are not currently using a display attached to an NVIDIA GPU.

재미있는 것은, 다음의 페이지를 이용해 확인을 하면 분명히 GTX960으로 인식은 된다는 점입니다.

http://www.nvidia.com/Download/Scan.aspx

Product Current
Installed Driver Recommended
Update 
GeForce GTX 960 -- GeForce Game Ready Driver
Version: 388.31  WHQL
Release Date: 15.11.2017 

실패한 드라이버 설치 시의 오류 로그를 보면 다음과 같은 항목이 있는데, 딱히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지 알 수가 없습니다.

C:\NvidiaLogging\LOG.setup.exe.log

     15.982 |    ERROR: [NVI2.InstallThread] 54@CInstallThread::ThreadProc : Install failed - Exception {0x80070002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File: InstallationStepper.cpp; Line: 769; Extension failed during call toAnalyze} - going to fail state. 

     20.758 |    ERROR: [NVI2.NVInstaller] 240@CNVInstaller::PerformSteps : Installation failed with error Exception {0x80070002 -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File: SimpleThread.h; Line: 228}. 

웹 상에서 여러 개를 검색했는데, 모두 실패했고 유일하게 다음의 글에 있는 도구를 이용해 해결할 수 있었습니다.

Wagnard Tools (DDU,GMP,TDR Manipulator, *new* CPU Core Analyzer)-(Updated 11/01/2017) 
; https://forums.geforce.com/default/topic/550192/geforce-drivers/wagnard-tools-ddu-gmp-tdr-manupulator-updated-02-19-2015-/post/3846165/#3846165

제가 원래 ^^; 신뢰할 수 없는 사이트에서 뭔가 다운로드하는 것을 싫어하지만... 이번 경우는 어쩔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DDU 프로그램을 다운로드하고,

Display Driver Uninstaller (DDU) / Cleaner made for Display Drivers.(NVIDIA/AMD/INTEL)
; https://www.wagnardsoft.com/forums/viewtopic.php?f=5&t=925
; https://www.wagnardsoft.com/DDU/download/DDU%20v17.0.7.9.exe

윈도우를 안전 모드로 부팅한 후, DDU를 실행해 "Clean and restart" 메뉴를 실행했습니다. 그런 다음 다시 재부팅되고 이후 NVidia 설치 파일을 실행했더니 이번에는 "NVIDIA Installer failed" 메시지 없이 잘 설치가 진행되었습니다.




두 번째 문제는 윈도우 업그레이드 이후 새롭게 적용된 Hyper-V가 무조건 생성한 "Default Switch"로 인한 네트워크 오작동입니다.

아래의 그림에서 기존에 설정했던 Hyper-V의 인터넷 가능한 네트워크 스위치 이름은 vpc-switch였습니다. 그리고 그 아래에 강제로 생성된 "Default Switch"가 있는데 재미있는 것은 네트워크 어댑터 설정 화면에서 "vpc-switch"는 삭제되었고 "Default Switch"가 대신 자리 잡고 있다는 것입니다.

winupdate_16299_2.png

즉, vpc-switch가 살아 있었다면 아무런 문제가 없었을 텐데 그것이 삭제되면서 인터넷이 안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또는, "Default Switch"가 인터넷 가능하도록 설정되었다면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는데 이상하게도 IP가 다음과 같은 식으로 잡혀 있었습니다.

IP: 172.21.172.33
Subnet: 255.255.255.240

(IP를 변경하면 되겠지만) 그대로 두고 Hyper-V의 switch 관리자에서 기존 vpc-switch를 삭제 후 다시 생성하는 것으로 해결을 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7/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53정성태1/29/200922018.NET Framework: 122.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성능은 어떨까!파일 다운로드1
652정성태1/22/200922789.NET Framework: 121. WPF - PrintTicket provider failed to bind to printer.
651정성태1/20/200920097.NET Framework: 120. 타입이 다른 배열끼리의 변환
650정성태1/19/200931910COM 개체 관련: 21. C/C++ 프로젝트에 /clr 옵션 적용으로 인한 COM 개체 사용 오류
649정성태1/18/200929437Windows: 38. Q1U UMPC에 Windows 7 베타 설치하기
648정성태1/18/200928123Windows: 37. Windows PE를 USB 메모리에 적용
647정성태1/18/200938273Windows: 36. Windows PE ISO 이미지 만들기 [1]
646정성태1/18/200931256디버깅 기술: 23. COMPLUS_ZapDisable -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1]
645정성태1/11/200930061Windows: 35.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로딩 방법
644정성태1/11/200921148Windows: 34. VPC 설치 후기 [2]
643정성태1/10/200926524Windows: 33. Windows 7 베타와 VMA 충돌 [1]
642정성태1/8/200925253개발 환경 구성: 34. Sysinternals의 모든 툴을 한번에 업데이트 하는 방법 [1]
641정성태1/7/200922394기타: 27. D820 - A09 바이오스 업데이트 프로그램 패치 [2]
640정성태1/4/200924121Team Foundation Server: 29.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 배포를 Team Build에 추가.
639정성태1/4/200922072Team Foundation Server: 28. PFX 코드 서명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팀 빌드 실패 - MSB4018
638정성태1/3/200925104.NET Framework: 119. WPF - 의존 속성 정의에서 XamlParseException 발생하는 예 [2]
637정성태1/1/200927324기타: 26. 2008년 인기 순위 정리
636정성태12/31/200822433.NET Framework: 118. 2진 검색을 이용한 리스트 정렬 삽입파일 다운로드1
635정성태12/29/200825099오류 유형: 66. 파일 암호화 오류 - Recovery policy configured for this system contains invalid recovery certificate
634정성태12/29/200839423기타: 25. 가상 키보드 관련 정리 [4]
633정성태12/20/200824874기타: 24. RMClock for x64 [2]
632정성태12/19/200833487기타: 23. D820 - 배터리 없이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631정성태12/10/200842178VC++: 36.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3]
630정성태12/9/200823004.NET Framework: 117. WPF - TreeView에서 항목이 펼쳐질 때 Cursors.Wait 사용파일 다운로드1
629정성태12/7/200832186.NET Framework: 116. 소켓 연결 시간 제한
628정성태12/6/200821066.NET Framework: 115. Marshal 타입 관련 2가지 자원 해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