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3

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4

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5

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6

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363

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 https://www.sysnet.pe.kr/2/0/11364

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 https://www.sysnet.pe.kr/2/0/11369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지난 글에서,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6

Raspberry Pi Zero를 마우스 + 키보드 장치로 컴퓨터에 인식시키는 방법을 살펴봤는데요. 거기서 사용했던 방법은, 파이에서 2개의 USB 장치를 구현하는 것으로 했었습니다. 그런데, 1개의 USB 장치로 2개의 내부 HID 장치를 구현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이에 대한 내용을 다음의 글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Tutorial about USB HID Report Descriptors
; http://eleccelerator.com/tutorial-about-usb-hid-report-descriptors/

위의 글을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장치에 적용해 보면, 마우스와 키보드에 대해 각각의 report descriptors를 이어붙인 다음 개별 장치에 대해 REPORT_ID를 부여하면 되는 것입니다.

다음은 이에 대한 구현입니다.

05, 01, USAGE_PAGE (Generic Desktop)
09, 06, USAGE (Keyboard)
a1, 01, COLLECTION (Application)
85, 01,     REPORT_ID (1)
05, 07      USAGE_PAGE (Keyboard)
19, e0      USAGE_MINIMUM (Keyboard LeftControl)
29, e7      USAGE_MINIMUM (Keyboard Right GUI)
15, 00      LOGICAL_MINIMUM (0)
25, 01      LOGICAL_MAXIMUM (1)
75, 01      REPORT_SIZE (1)
95, 08      REPORT_COUNT (8)
81, 02      INPUT (Data, Var, Abs)
95, 01      REPORT_COUNT (1)
75, 08      REPORT_SIZE (8)
81, 03      INPUT (Cnst, Var, Abs)
95, 05      REPORT_COUNT (5)
75, 01      REPORT_SIZE (1)
05, 08      USAGE_PAGE (LEDs)
19, 01      USAGE_MINIMUM (Num Lock)
29, 05      USAGE_MAXIMUM (Kana)
91, 02      OUTPUT (Data, Var, Abs)
95, 01      REPORT_COUNT (1)
75, 03      REPORT_SIZE (3)
91, 03      OUTPUT (Cnst, Var, Abs)
95, 06      REPORT_COUNT (6)
75, 08      REPORT_SIZE (8)
15, 00      LOGICAL_MINIMUM (0)
25, 65      LOGICAL_MAXIMUM (101)
05, 07      USAGE_PAGE (Keyboard)
19, 00      USAGE_MINIMUM (Reserved (no event indicated))
29, 65      USAGE_MAXIMUM (Keyboard Application)
81, 00      INPUT (Data, Ary, Abs)
C0      END_COLLECTION

05, 01  USAGE_PAGE (Generic Desktop)
09, 02  USAGE (Mouse)
a1, 01  COLLECTION (Application)
09, 01      USAGE (Pointer)
a1, 00      COLLECTION (Physical)
85, 02          REPORT_ID (2)
05, 09          USAGE_PAGE (Button)
19, 01          USAGE_MINIMUM (Button 1)
29, 03          USAGE_MAXIMUM (Button 3)
15, 00          LOGICAL_MINIMUM (0)
25, 01          LOGICAL_MAXIMUM (1)
95, 03          REPORT_COUNT (3)
75, 01          REPORT_SIZE (1)
81, 02          INPUT (Data, Var, Abs)
95, 01          REPORT_COUNT (1)
75, 05          REPORT_SIZE (5)
81, 03          INPUT (Cnst, Var, Abs)
05, 01          USAGE_PAGE (Generic Desktop)
09, 30          USAGE (X)
09, 31          USAGE (Y)
15, 81          LOGICAL_MINIMUM (-127)
25, 7f          LOGICAL_MAXIMUM (127)
75, 08          REPORT_SIZE (8)
95, 02          REPORT_COUNT (2)
81, 06          INPUT (Data, Var, Rel)
C0          END_COLLECTION
C0      END_COLLECTION

위와 같이 적용하면, 키보드와 마우스 장치로 write 해야 할 바이트의 구조가 "Tutorial about USB HID Report Descriptors" 글에 나온 대로 다음과 같이 바뀝니다.

struct keyboard_report_t
{
    uint8_t report_id;
    uint8_t modifier;
    uint8_t reserved;
    uint8_t keycode[6];
}
 
struct mouse_report_t
{
    uint8_t report_id;
    uint8_t buttons;
    int8_t x;
    int8_t y;
}

하지만 실제로 위의 구조로 테스트해보면 키보드의 경우 write 함수 호출에서 실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int size = sizeof(keyboard_report_t); // size == 9

int result = write(fd, keyPress, size); // result == 8
if (result != size)
{
    perror("failed to key press");
    return;
} 

왠지 키보드에 전송하는 데이터는 8바이트를 넘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혹시 이 부분에 대해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그래서, 키보드 데이터 중에서 keycode 6바이트를 다음과 같이 5바이트로 변경해야 합니다.

struct keyboard_report_t
{
    uint8_t report_id;
    uint8_t modifier;
    uint8_t reserved;
    uint8_t keycode[5];
}

그리고 이를 맞춰 주기 위해 report descriptors도 그 부분을 6에서 5로 바꿔야 합니다. 그래서 최종 report descriptors는 다음과 같이 구성됩니다.

05, 01, USAGE_PAGE (Generic Desktop)
09, 06, USAGE (Keyboard)
a1, 01, COLLECTION (Application)
85, 01,     REPORT_ID (1)
05, 07      USAGE_PAGE (Keyboard)
19, e0      USAGE_MINIMUM (Keyboard LeftControl)
29, e7      USAGE_MINIMUM (Keyboard Right GUI)
15, 00      LOGICAL_MINIMUM (0)
25, 01      LOGICAL_MAXIMUM (1)
75, 01      REPORT_SIZE (1)
95, 08      REPORT_COUNT (8)
81, 02      INPUT (Data, Var, Abs)
95, 01      REPORT_COUNT (1)
75, 08      REPORT_SIZE (8)
81, 03      INPUT (Cnst, Var, Abs)
95, 05      REPORT_COUNT (5)
75, 01      REPORT_SIZE (1)
05, 08      USAGE_PAGE (LEDs)
19, 01      USAGE_MINIMUM (Num Lock)
29, 05      USAGE_MAXIMUM (Kana)
91, 02      OUTPUT (Data, Var, Abs)
95, 01      REPORT_COUNT (1)
75, 03      REPORT_SIZE (3)
91, 03      OUTPUT (Cnst, Var, Abs)
95, 05      REPORT_COUNT (5)
75, 08      REPORT_SIZE (8)
15, 00      LOGICAL_MINIMUM (0)
25, 65      LOGICAL_MAXIMUM (101)
05, 07      USAGE_PAGE (Keyboard)
19, 00      USAGE_MINIMUM (Reserved (no event indicated))
29, 65      USAGE_MAXIMUM (Keyboard Application)
81, 00      INPUT (Data, Ary, Abs)
C0      END_COLLECTION

05, 01  USAGE_PAGE (Generic Desktop)
09, 02  USAGE (Mouse)
a1, 01  COLLECTION (Application)
09, 01      USAGE (Pointer)
a1, 00      COLLECTION (Physical)
85, 02          REPORT_ID (2)
05, 09          USAGE_PAGE (Button)
19, 01          USAGE_MINIMUM (Button 1)
29, 03          USAGE_MAXIMUM (Button 3)
15, 00          LOGICAL_MINIMUM (0)
25, 01          LOGICAL_MAXIMUM (1)
95, 03          REPORT_COUNT (3)
75, 01          REPORT_SIZE (1)
81, 02          INPUT (Data, Var, Abs)
95, 01          REPORT_COUNT (1)
75, 05          REPORT_SIZE (5)
81, 03          INPUT (Cnst, Var, Abs)
05, 01          USAGE_PAGE (Generic Desktop)
09, 30          USAGE (X)
09, 31          USAGE (Y)
15, 81          LOGICAL_MINIMUM (-127)
25, 7f          LOGICAL_MAXIMUM (127)
75, 08          REPORT_SIZE (8)
95, 02          REPORT_COUNT (2)
81, 06          INPUT (Data, Var, Rel)
C0          END_COLLECTION
C0      END_COLLECTION

이를 반영해 쉘 스크립트를 만들어 실행하면,

#!/bin/bash
# From the README at https://github.com/girst/hardpass

dtoverlay dwc2
modprobe dwc2
modprobe libcomposite
cd /sys/kernel/config/usb_gadget/
mkdir -p g1
cd g1
echo 0x1d6b > idVendor # Linux Foundation
echo 0x0104 > idProduct # Multifunction Composite Gadget
echo 0x0100 > bcdDevice # v1.0.0
echo 0x0200 > bcdUSB # USB2
mkdir -p strings/0x409
echo "fedcba9876543210" > strings/0x409/serialnumber
echo "girst" > strings/0x409/manufacturer
echo "Hardpass" > strings/0x409/product

N="usb0"
mkdir -p functions/hid.$N
echo 1 > functions/hid.usb0/protocol
echo 1 > functions/hid.usb0/subclass
echo 8 > functions/hid.usb0/report_length

echo -ne \\x05\\x01\\x09\\x06\\xa1\\x01\\x85\\x01\\x05\\x07\\x19\\xe0\\x29\\xe7\\x15\\x00\\x25\\x01\\x75\\x01\\x95\\x08\\x81\\x02\\x95\\x01\\x75\\x08\\x81\\x03\\x95\\x05\\x75\\x01\\x05\\x08\\x19\\x01\\x29\\x05\\x91\\x02\\x95\\x01\\x75\\x03\\x91\\x03\\x95\\x05\\x75\\x08\\x15\\x00\\x25\\x65\\x05\\x07\\x19\\x00\\x29\\x65\\x81\\x00\\xc0\\x05\\x01\\x09\\x02\\xa1\\x01\\x09\\x01\\xa1\\x00\\x85\\x02\\x05\\x09\\x19\\x01\\x29\\x03\\x15\\x00\\x25\\x01\\x95\\x03\\x75\\x01\\x81\\x02\\x95\\x01\\x75\\x05\\x81\\x03\\x05\\x01\\x09\\x30\\x09\\x31\\x15\\x81\\x25\\x7f\\x75\\x08\\x95\\x02\\x81\\x06\\xC0\\xC0 > functions/hid.usb0/report_desc

C=1
mkdir -p configs/c.$C/strings/0x409
echo "Config $C: ECM network" > configs/c.$C/strings/0x409/configuration
echo 250 > configs/c.$C/MaxPower
ln -s functions/hid.usb0 configs/c.$C/

ls /sys/class/udc > UDC

다음과 같이 2개의 HID 구성 요소("HID Keyboard Device", "HID-compliant mouse")를 내장한 1개의 "USB Input Device"가 생성됩니다.

rd_1usb_2hid_1.png

참고로, 기존 실습을 한 경우 다음과 같이 서비스를 제거한 다음,

$ sudo systemctl disable create-dual-usb
$ sudo rm /etc/systemd/system/create-dual-usb.service
$ sudo systemctl daemon-reload

위의 USB 장치 등록 쉘 스크립트를 dual2.sh로 저장 후,

$ cd /share
$ sudo nano dual2.sh
$ chmod +x ./dual2.sh

/etc/systemd/system/ 디렉터리에 create-dual2-usb.service 파일을 만들어,

$ cd /etc/systemd/system/
$ sudo nano create-dual2-usb.service

내용을 채운 다음,

[Unit]
Description=Create Mouse/Keyboard USB gadgets

[Service]
Type=oneshot
ExecStart=/share/dual2.sh
RemainAfterExit=yes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다시 서비스로 등록해 주면 됩니다.

$ sudo systemctl daemon-reload
$ sudo systemctl enable create-dual2-usb
$ sudo reboot




장치가 인식되었으면 이제 driver 측의 코드도 변경해야 합니다.

Linux USB HID gadget driver
; https://www.kernel.org/doc/Documentation/usb/gadget_hid.txt

위의 코드에서 mouse와 keyboard의 첫 번째 바이트를 해당하는 report id로 채워야 합니다.

int keyboard_fill_report(char report[8], char buf[BUF_LEN], int *hold)
{
    char *tok = strtok(buf, " ");
    int key = 0;
    int i = 0;

    report[0] = 1;

    for (; tok != NULL; tok = strtok(NULL, " ")) {

        if (strcmp(tok, "--quit") == 0)
            return -1;

        if (strcmp(tok, "--hold") == 0) {
            *hold = 1;
            continue;
        }

        if (key < 5) {
            for (i = 0; kval[i].opt != NULL; i++)
                if (strcmp(tok, kval[i].opt) == 0) {
                    report[3 + key++] = kval[i].val;
                    break;
                }
            if (kval[i].opt != NULL)
                continue;
        }

        if (key < 5)
            if (islower(tok[0])) {
                report[3 + key++] = (tok[0] - ('a' - 0x04));
                continue;
            }

        for (i = 0; kmod[i].opt != NULL; i++)
            if (strcmp(tok, kmod[i].opt) == 0) {
                report[1] = report[1] | kmod[i].val;
                break;
            }
        if (kmod[i].opt != NULL)
            continue;

        if (key < 5)
            fprintf(stderr, "unknown option: %s\n", tok);
    }
    return 8;
}

int mouse_fill_report(char report[8], char buf[BUF_LEN], int *hold)
{
    char *tok = strtok(buf, " ");
    int mvt = 0;
    int i = 0;

    report[0] = 2;

    for (; tok != NULL; tok = strtok(NULL, " ")) {

        if (strcmp(tok, "--quit") == 0)
            return -1;

        if (strcmp(tok, "--hold") == 0) {
            *hold = 1;
            continue;
        }

        for (i = 0; mmod[i].opt != NULL; i++)
            if (strcmp(tok, mmod[i].opt) == 0) {
                report[1] = report[1] | mmod[i].val;
                break;
            }
        if (mmod[i].opt != NULL)
            continue;

        if (!(tok[0] == '-' && tok[1] == '-') && mvt < 2) {
            errno = 0;
            report[2 + mvt++] = (char)strtol(tok, NULL, 0);
            if (errno != 0) {
                fprintf(stderr, "Bad value:'%s'\n", tok);
                report[2 + mvt--] = 0;
            }
            continue;
        }

        fprintf(stderr, "unknown option: %s\n", tok);
    }
    return 4;
}

이후, 테스트는 이전 글과 동일하게 수행하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18정성태8/27/20247434오류 유형: 921. Visual C++ - error C1083: Cannot open include file: 'float.h': No such file or directory [2]
13717정성태8/26/20247028VS.NET IDE: 192. Visual Studio 2022 - Windows XP / 2003용 C/C++ 프로젝트 빌드
13716정성태8/21/20246767C/C++: 167. Visual C++ - 윈도우 환경에서 _execv 동작 [1]
13715정성태8/19/20247383Linux: 78. 리눅스 C/C++ - 특정 버전의 glibc 빌드 (docker-glibc-builder)
13714정성태8/19/20246761닷넷: 2295. C# 12 - 기본 생성자(Primary constructors) (책 오타 수정) [3]
13713정성태8/16/20247488개발 환경 구성: 721. WSL 2에서의 Hyper-V Socket 연동
13712정성태8/14/20247225개발 환경 구성: 720. Synology NAS - docker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13711정성태8/13/20248074Linux: 77. C# / Linux - zombie process (defunct process) [1]파일 다운로드1
13710정성태8/8/20248000닷넷: 2294. C# 13 - (6) iterator 또는 비동기 메서드에서 ref와 unsafe 사용을 부분적으로 허용파일 다운로드1
13709정성태8/7/20247766닷넷: 2293. C# - safe/unsafe 문맥에 대한 C# 13의 (하위 호환을 깨는) 변화파일 다운로드1
13708정성태8/7/20247550개발 환경 구성: 719. ffmpeg / YoutubeExplode - mp4 동영상 파일로부터 Audio 파일 추출
13707정성태8/6/20247791닷넷: 2292. C# - 자식 프로세스의 출력이 4,096보다 많은 경우 Process.WaitForExit 호출 시 hang 현상파일 다운로드1
13706정성태8/5/20247899개발 환경 구성: 718. Hyper-V - 리눅스 VM에 새로운 디스크 추가
13705정성태8/4/20248167닷넷: 2291. C# 13 - (5) params 인자 타입으로 컬렉션 허용 [2]파일 다운로드1
13704정성태8/2/20248126닷넷: 2290. C# - 간이 dotnet-dump 프로그램 만들기파일 다운로드1
13703정성태8/1/20247450닷넷: 2289. "dotnet-dump ps" 명령어가 닷넷 프로세스를 찾는 방법
13702정성태7/31/20247861닷넷: 2288. Collection 식을 지원하는 사용자 정의 타입을 CollectionBuilder 특성으로 성능 보완파일 다운로드1
13701정성태7/30/20248130닷넷: 2287. C# 13 - (4) Indexer를 이용한 개체 초기화 구문에서 System.Index 연산자 허용파일 다운로드1
13700정성태7/29/20247752디버깅 기술: 200. DLL Export/Import의 Hint 의미
13699정성태7/27/20248251닷넷: 2286. C# 13 - (3) Monitor를 대체할 Lock 타입파일 다운로드1
13698정성태7/27/20248209닷넷: 2285. C# - async 메서드에서의 System.Threading.Lock 잠금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97정성태7/26/20247932닷넷: 2284. C# - async 메서드에서의 lock/Monitor.Enter/Exit 잠금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96정성태7/26/20247469오류 유형: 920. dotnet publish - error NETSDK1047: Assets file '...\obj\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
13695정성태7/25/20247455닷넷: 2283. C# - Lock / Wait 상태에서도 STA COM 메서드 호출 처리파일 다운로드1
13694정성태7/25/20247920닷넷: 2282. C# - ASP.NET Core Web App의 Request 용량 상한값 (Kestrel, IIS)
13693정성태7/24/20247244개발 환경 구성: 717. Visual Studio - C# 프로젝트에서 레지스트리에 등록하지 않은 COM 개체 참조 및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