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0개 있습니다.)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부팅 시 자동으로 (로그인이 없는 상태에서도) 시작하는 프로그램은 "/etc/systemd/system"에 등록하면 됩니다.

가령 shell script인 경우 my_script.service와 같은 이름으로 파일을 만들어,

$ cd /etc/systemd/system/
$ sudo nano my_script.service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채워주면 됩니다.

[Unit]
Description=My Shell Script

[Service]
Type=oneshot
ExecStart=/share/myshell.sh
RemainAfterExit=yes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위의 my_script.service 파일은 "ExecStart"를 통해 /share/myshell.sh 쉘 스크립트를 실행하는 역할을 합니다.




또는 fork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은 이렇게 설정하면 됩니다.

[Unit]
Description=native exec
After=my_script.service

[Service]
Type=forking
ExecStart=/share/test.out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게다가 위의 설정은 my_script.service에 대한 의존성을 가지기 때문에 해당 서비스가 실행한 이후에 /share/test.out 프로그램을 수행하게 됩니다.

이렇게 보면, 윈도우의 NT 서비스보다 개발 및 관리가 꽤나 쉽습니다. ^^




"/etc/systemd/system"에 서비스 파일을 등록했으면 이제 변경 사항을 반영 후,

$ sudo systemctl daemon-reload

새롭게 등록한 서비스를 다음과 같이 "start" 옵션으로 시작할 수 있습니다.

$ sudo systemctl start my_script

# 위와 같이 실행하면 ExecStart에 지정한 프로그램이 실행
# 반면 ExceStop 설정을 추가하면 systemctl stop 명령 시 실행됩니다.

또는 부팅 시 활성화는 "enable" 옵션으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 sudo systemctl enable my_script

# 반대로 부팅 시 활성화를 제거하고 싶다면 enable을 disable로 변경해서 실행

# 필요 없어진 서비스는 rm 명령어를 이용해 삭제
# sudo rm /etc/systemd/system/my_script.service

부팅 시 실행하라고 지정한 경우 오류 발생 유무를 알기 어려운데 이럴 때는 "systemctl status" 명령어를 이용해 부팅 당시의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udo systemctl status my_script

프로그램이 실행 중인지는 대략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고,

$ ps -aux | grep "test"
root       490  0.0  0.5  39304  2312 ?        Ssl  12:05   0:00 /share/test.out
pi         821  0.0  0.4   4768  1884 pts/0    S+   12:08   0:00 grep --color=auto test

두 번째 칼럼의 값이 process id이므로 kill 명령어에 전달해 강제로 종료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sudo kill -9 490

$ ps -aux | grep "test"
pi         834  0.0  0.4   4768  1936 pts/0    S+   12:10   0:00 grep --color=auto test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7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3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4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 https://www.sysnet.pe.kr/2/0/11364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 https://www.sysnet.pe.kr/2/0/11369

라즈베리 파이 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1411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 https://www.sysnet.pe.kr/2/0/11373

Linux 3: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374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9/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4-22 05시01분
Ubuntu 22.04 WSL 버전부터 /etc/wsl.conf에 다음의 설정으로 ssytemd 사용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

[boot]
command = /usr/libexec/wsl-systemd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58정성태6/24/201814465.NET Framework: 775. C# 7.3 - unmanaged(blittable) 제네릭 제약파일 다운로드1
11557정성태6/22/201814673.NET Framework: 774. C# - blittable 타입이란?파일 다운로드1
11556정성태6/19/201821053.NET Framework: 773. C# 7.3 - 구조체의 고정 크기를 갖는 fixed 배열 필드에 대한 직접 접근 가능 [1]파일 다운로드1
11555정성태6/18/201813510.NET Framework: 772. C# 7.3 - 사용자 정의 타입에 fixed 적용 가능(Custom fixed)파일 다운로드1
11554정성태6/17/201814568.NET Framework: 771. C# 7.3 - 자동 구현 속성에 특성 적용 가능(Attribute on backing field)
11553정성태6/15/201814952.NET Framework: 770. C# 7.3 - 개선된 메서드 선택 규칙 3가지(Improved overload candidates)파일 다운로드1
11552정성태6/15/201815975.NET Framework: 769. C# 7.3에서 개선된 문법 4개(Support == and != for tuples, Ref Reassignment, Constraints, Stackalloc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1정성태6/14/201813095개발 환경 구성: 383. BenchmarkDotNet 사용 시 주의 사항
11550정성태6/13/201813984.NET Framework: 768. BenchmarkDotNet으로 Span<T> 성능 측정 [2]
11549정성태6/13/201814300개발 환경 구성: 382. BenchmarkDotNet에서 생성한 BuildPlots.R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
11548정성태6/13/201812260오류 유형: 470. .NET Core + BenchmarkDotNet 실행 시 프레임워크를 찾지 못하는 문제
11547정성태6/13/201816426.NET Framework: 767. BenchmarkDotNet 라이브러리 소개파일 다운로드1
11546정성태6/12/201817081.NET Framework: 766. C# 7.2의 특징 - GC 및 메모리 복사 방지를 위한 struct 타입 개선 [9]파일 다운로드1
11545정성태6/11/201815326오류 유형: 469. .NET Core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에서 실행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발생하는 경우 [1]
11544정성태6/10/201814783.NET Framework: 765. C# 7.2 - 숫자 리터럴의 선행 밑줄과 뒤에 오지 않는 명명된 인수
11543정성태6/9/201814233.NET Framework: 764. C# 7.2 - private protected 접근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1542정성태6/9/201851210개발 환경 구성: 381. Azure Web App 확장 예제 - Remove Custom Headers
11541정성태6/9/201812067개발 환경 구성: 380. Azure Web App 확장 배포 방법 [1]
11540정성태6/9/201813452개발 환경 구성: 379. Azure Web App 확장 예제 제작 [2]
11539정성태6/8/201812623.NET Framework: 763. .NET Core 2.1 - Tiered Compilation 도입파일 다운로드1
11538정성태6/8/201811748.NET Framework: 762. .NET Core 2.1 - 확장 도구(Tools) 관리
11537정성태6/8/201815650.NET Framework: 761. C# - SmtpClient로 SMTP + SSL/TLS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5]
11536정성태6/7/201814563.NET Framework: 760. Microsoft Build 2018 - The future of C# 동영상 내용 정리 [1]파일 다운로드1
11535정성태6/7/201815621.NET Framework: 759. C# - System.Span<T> 성능 [1]
11534정성태6/6/201821149.NET Framework: 758. C# 7.2 - Span<T> [6]
11533정성태6/5/201823810.NET Framework: 757. 포인터 형 매개 변수를 갖는 C++ DLL의 함수를 C#에서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