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Windows: 145. 윈도우 10 빌드 17046부터 WSL에서 백그라운드 작업 지원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515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윈도우 10 빌드 17046부터 WSL에서 백그라운드 작업 지원

페이스북 지인으로부터 다음과 같은 소식을 들었습니다. ^^

Background Task Support in WSL
; https://devblogs.microsoft.com/commandline/background-task-support-in-wsl/

Insider 빌드 17046부터 백그라운드 작업을 지원한다는 건데 그에 대한 테스트로 tmux 프로그램을 예로 듭니다. 사실 tmux 자체도 처음부터 WSL에서 지원되었던 것은 아닌데,

Tmux support arrives for Bash on Ubuntu on Windows
; https://devblogs.microsoft.com/commandline/tmux-support-arrives-for-bash-on-ubuntu-on-windows/

점점 더 윈도우에 리눅스가 통합되어 가는 것을 보니 마이크로소프트의 변화도 함께 체감이 되는 듯합니다. ^^




그런데 저 글에 보면 다음과 같은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WSL supports background tasks (including daemons)

데몬이 지원된다니 반가운 소식입니다. 왜냐하면 비주얼 스튜디오로 리눅스 연결 환경을 구성할 때 기존에는 반드시 우분투 창을 실행시키고 ssh 데몬을 실행시켜야 했기 때문입니다. 말로만 설명하면 재미없으니 ^^ 이해를 돕기 위해 차이점을 테스트해 보겠습니다. 현재(2017-12-07)의 윈도우 10 1709 버전에서 다음과 같이 ssh 데몬을 실행한 후,

$ sudo service ssh start
* Starting OpenBSD Secure Shell server sshd               [ OK ];

윈도우의 cmd 창에서 22번 포트 열린 것을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WSL 1인 경우
C:\Windows\System32> netstat -ano | findstr :22
  TCP    0.0.0.0:22             0.0.0.0:0              LISTENING       8576
  TCP    [::]:22                [::]:0                 LISTENING       8576

// WSL 2인 경우 (참고: https://www.sysnet.pe.kr/2/0/13256)
C:\Windows\System32> netstat -ano | findstr :22
  TCP    127.0.0.1:22           0.0.0.0:0              LISTENING       35500
  TCP    [::1]:22               [::]:0                 LISTENING       35500

작업관리자에서 8576 프로세스를 보면 sshd로 나옵니다. (WSL 2의 경우 35500 프로세스를 보면 wslhost.exe로 나옵니다.) 자, 그럼 우분투 창을 닫고 cmd에서 다시 22번 포트를 확인하면 없어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분투 창을 띄우고 ssh 연결을 하려면 다시 데몬을 시작해야 합니다.)

반면, 위와 같은 테스트를 Insider 빌드 17046부터 하면 데몬을 실행한 우분투 창이 닫혀도 데몬은 여전히 살아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리눅스에서의 "Background Task"에 대한 정의가 뭘까요? 본문을 보면 daemon은 당연히 지원이 되는데 그 영역을 포함해 "background tasks"가 지원이 된다는 것입니다.

WSL supports background tasks (including daemons)

에서 설명한 tmux 예제는 분명히 잘 됩니다. tmux 세션을 하나 새롭게 생성하고,

$ tmux new -s test1

전체 화면으로 뜬 tmux 내에서 htop을 실행시켜 둔 후,

$ htop

ubuntu 창을 닫아버리고 다시 ubuntu 앱을 실행시켜 tmux 세션이 살아 있는지 확인했을 때,

$ tmux ls
no server running on /tmp/tmux-1000/default

// WSL 2의 경우
$ tmux ls
0: 1 windows (created Sun Mar 12 11:57:38 2023)

// 다시 attach하고 싶다면?
$ tmux attach -t 0

현재(2017-12-07)의 윈도우 10 1709 버전에서는 위와 같이 tmux 세션이 사라졌지만, Insider 빌드 17046에서는 정상적으로 세션이 살아 있습니다.

하지만, 제가 일반적으로 알고 있는 &로 처리하는 백그라운드 작업은 Insider 빌드 17046에서도 지속되지 않습니다. 사내에 리눅스를 좀 아는 동료와 이야기를 했더니 부모 프로세스를 init으로 둔 프로세스라면 위의 혜택을 받는 것이 아니냐는 의견이 나와서 한번 테스트를 해봤습니다. 우선, 다음과 같이 C++ 코드를 빌드하고,

#include <cstdio>
#include <unistd.h>

int main()
{
    printf("hello from app4!\n");

    while (true)
    {
        sleep(1);
    }

    return 0;
}

nohup + &로 실행한 후,

$ nohup ./projects/app1/bin/x64/Debug/app1.out &
[1] 19351
$ nohup: ignoring input and appending output to 'nohup.out'

우분투 창을 닫았습니다. 일반적으로 리눅스 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가 종료되면 자식 프로세스들도 함께 종료가 되는데, 이때 자식 프로세스들은 HUP(hangup) 시그널을 받게 됩니다. nohup은 그 시그널을 무시하도록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우분투 창이 닫혀도 app1.out 프로세스는 종료되지 않지만, 부모 프로세스가 없어졌으므로 (윈도우 운영체제와는 달리) 부모 프로세스를 init으로 정하게 됩니다. (init 프로세스의 id는 언제나 1입니다.)

실제로 다시 우분투 창을 띄워 확인해 보니,

$ ps -Af | grep app1
user1    19351     1  0 00:30 ?        00:00:00 ./projects/app1/bin/x64/Debug/app1.out
user1    19398 19377  0 00:34 tty2     00:00:00 grep --color=auto app1

^^ 살아 있습니다. 그러니까, 적어도 &로 처리되는 백그라운드 작업은 아니지만 부모 프로세스와 함께 종료되지 않은 프로세스들까지도 유지하도록 WSL에서 지원이 추가된 것입니다. 사실, WSL이 아닌 진짜 우분투 등의 리눅스에서도 & 백그라운드 작업은 터미널을 종료하면 함께 사라집니다.

그런 면에서 봤을 때, "Background Task Support in WSL" 글의 제목이 차라리 "Task under init Support in WSL"이라고 하는 것이 더 나았지 않았을까 합니다. ^^ 저처럼 리눅스 초보들이 헷갈릴 수 있으니.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2/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12-09 07시10분
[이태화] 저는 그냥 블로그만 읽어 보았는데 이렇게 자세하게 정리를 하셨군요 역쉬!!
잘 정리된 내용으로 팍팍 이해가 되었습니다.
[guest]
2017-12-10 11시46분
^^ 덕분에 정리해 봤습니다.
정성태
2018-11-15 11시15분
정성태
2021-05-09 02시13분
kill
    - 종료 시도
        - -9 옵션을 지정하면 강제 종료
        - -s 옵션을 지정했으면 그 Signal로 종료 시도
        - -s 옵션이 없으면 SIGTERM Signal 전송
    - 종료되지 않으면 Kill(9) Signal로 강제 종료

터미널 창에서 실행 중인 프로그램
    - 터미널 창을 부모로 하는 모든 프로그램 종료
        - 터미널 창을 닫으면 HUP(hangup) signal 받고 종료
        - 백그라운드도 터미널 창을 닫으면 HUP(hangup) signal 받고 종료
    - 만약 종료하기를 원하지 않는다면 nohup으로 실행
정성태
2021-05-14 08시18분
[shell] 원격 접속해서 시간 오래 걸리는 작업, 접속 끊어도 계속 진행되게 하기 nohup, disown, screen
; https://mytory.net/archives/2340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54정성태2/25/20208702오류 유형: 593. warning LNK4070: /OUT:... directive in .EXP differs from output filename
12153정성태2/23/202011385.NET Framework: 898. Trampoline을 이용한 후킹의 한계파일 다운로드1
12152정성태2/23/202011145.NET Framework: 89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세 번째 이야기(Trampoline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51정성태2/22/202011687.NET Framework: 896.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원본 함수 호출)파일 다운로드1
12150정성태2/21/202011547.NET Framework: 895. C# - Win32 API를 Trampoline 기법을 이용해 C# 메서드로 가로채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149정성태2/20/202011322.NET Framework: 894. eBEST C# XingAPI 래퍼 - 연속 조회 처리 방법 [1]
12148정성태2/19/202012546디버깅 기술: 163. x64 환경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Trampoline 기법 [1]
12147정성태2/19/202011175디버깅 기술: 162. x86/x64의 기계어 코드 최대 길이
12146정성태2/18/202011410.NET Framework: 893. eBEST C# XingAPI 래퍼 - 로그인 처리파일 다운로드1
12145정성태2/18/202010632.NET Framework: 892. eBEST C# XingAPI 래퍼 - Sqlite 지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2144정성태2/13/202010626.NET Framework: 891.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143정성태2/13/20208702.NET Framework: 89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64파일 다운로드1
12142정성태2/12/202010454.NET Framework: 889. C# 코드로 접근하는 MethodDesc, MethodTable파일 다운로드1
12141정성태2/10/202010026.NET Framework: 888. C# -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 [2]파일 다운로드1
12140정성태2/10/20209888.NET Framework: 887. C# - ASP.NET 웹 응용 프로그램의 출력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2139정성태2/9/202011263.NET Framework: 886.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
12138정성태2/9/202014034.NET Framework: 885.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SQLite 사용 [6]파일 다운로드1
12137정성태2/9/20209230오류 유형: 592. [AhnLab] 경고 - 디버거 실행을 탐지했습니다.
12136정성태2/6/20209623Windows: 168.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135정성태2/6/202013252개발 환경 구성: 468. Nuget 패키지의 로컬 보관 폴더를 옮기는 방법 [2]
12134정성태2/5/202013406.NET Framework: 884. eBEST XingAPI의 C# 래퍼 버전 - XingAPINet Nuget 패키지 [5]파일 다운로드1
12133정성태2/5/202010658디버깅 기술: 161.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 두 번째 이야기
12132정성태1/28/202012224.NET Framework: 883. C#으로 구현하는 Win32 API 후킹(예: Sleep 호출 가로채기)파일 다운로드1
12131정성태1/27/202012270개발 환경 구성: 467. LocaleEmulator를 이용해 유니코드를 지원하지 않는(한글이 깨지는)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
12130정성태1/26/20209743VS.NET IDE: 142. Visual Studio에서 windbg의 "Open Executable..."처럼 EXE를 직접 열어 디버깅을 시작하는 방법
12129정성태1/26/202015310.NET Framework: 882. C# - 키움 Open API+ 사용 시 Registry 등록 없이 KHOpenAPI.ocx 사용하는 방법 [3]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