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F5 키로 실행하면 기본적으로 iisexpress 위에서 호스팅이 됩니다. 그리고 이때의 명령행을 Process Explorer와 같은 도구로 이용해 보면 다음과 같은 구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C:\Program Files\IIS Express\iisexpress.exe"  /config:"D:\core_web_app\.vs\config\applicationhost.config" /site:"fullnet_mvc_core" /apppool:"Clr4IntegratedAppPool"

기본 디렉터리: C:\Program Files\IIS Express\

그럼, 명령행에서도 저렇게 실행하면 될까요? 실제로 해보면 웹 페이지 방문 시 "HTTP Error 502.5 - Process Failure" 오류가 발생하면서 웹 브라우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출력됩니다.

Common causes of this issue:

    The application process failed to start
    The application process started but then stopped
    The application process started but failed to listen on the configured port

Troubleshooting steps:

    Check the system event log for error messages
    Enable logging the application process' stdout messages
    Attach a debugger to the application process and inspect

이와 함께 이벤트 로그에는 다음의 항목이 남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IIS Express AspNetCore Module
Date:          2017-12-08 오후 1:52:04
Event ID:      1000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Application 'MACHINE/WEBROOT/APPHOST/FULLNET_MVC_CORE' with physical root 'D:\core_web_app\fullnet_mvc_core\' failed to start process with commandline '%LAUNCHER_PATH% %LAUNCHER_ARGS%', ErrorCode = '0x80070002 : 0.

LAUNCHER_ARGS -argFile "%LOCALAPPDATA%\Temp\tmpD26f.tmp"
LAUNCHER_PATH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IDE\Extensions\Microsoft\Web Tools\ProjectSystem\VSIISExeLauncher.exe"

위의 내용인즉, iisexpress.exe는 단순히 중계 프로세스일 뿐 별도로 iisexpress의 자식 프로세스로 VSIISExeLauncher.exe를 다음과 같은 인자 구성으로 실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IDE\Extensions\Microsoft\Web Tools\ProjectSystem\VSIISExeLauncher.exe" -argFile "%LOCALAPPDATA%\Temp\tmpD26f.tmp"


이때 전달된 "%LOCALAPPDATA%\Temp\tmpD26f.tmp" 파일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tmpD26f.tmp 파일 내용

-p D:\core_web_app\fullnet_mvc_core\bin\Debug\net47\fullnet_mvc_core.exe
-pidFile %LOCALAPPDATA%\Temp\tmpD26E.tmp
-wd D:\core_web_app\fullnet_mvc_core
-a
-pipe 66c2131a-6df7-4835-a3cc-241eacba2f27
-pr fullnet_mvc_core
-owningPid 30008
-env ASPNETCORE_CONTENTROOT=D:\core_web_app\fullnet_mvc_core|ASPNETCORE_ENVIRONMENT=Development|COMPLUS_ForceENC=1|

그리고 다시 전달되는 -pidFile 파일은 그 안에 "pid:31564"와 같은 식의 Process ID를 포함합니다. 즉, VSIISExeLauncher.exe 역시 중계 프로세스일 뿐 사실상 ASP.NET Core를 호스팅하는 프로세스는 bin\Debug\net47\fullnet_mvc_core.exe인 것입니다.

따라서... 결과가 좀 허무하지만, 그냥 명령행에서 fullnet_mvc_core.exe라고 실행하면 잘 동작하는 것입니다. ^^

명령어: "D:\core_web_app\fullnet_mvc_core\bin\Debug\net47\fullnet_mvc_core.exe" 
기본 디렉터리: D:\core_web_app\fullnet_mvc_cor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8/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7정성태11/18/201130005.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1176정성태11/17/201129274.NET Framework: 271. C#에서 확인해 보는 관리 힙의 인스턴스 구조 [3]파일 다운로드1
1175정성태11/16/201127241.NET Framework: 270. .NET 참조 개체 인스턴스의 Object Header를 확인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74정성태11/15/201126627.NET Framework: 269. 일반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4]
1173정성태11/14/201122814.NET Framework: 268. .NET Array는 왜 12bytes의 기본 메모리를 점유할까? [1]
1172정성태11/13/201119831.NET Framework: 267. windbg - GC Heap에서 .NET 타입에 대한 배열을 찾는 방법
1171정성태11/12/201136507.NET Framework: 266. StringBuilder에서의 OutOfMemoryException 오류 원인 분석 [4]파일 다운로드1
1170정성태11/10/201125740.NET Framework: 265. Named 동기화 개체 생성 시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예외 발생하는 경우
1169정성태11/10/201129501.NET Framework: 264. 다중 LAN 카드 환경에서 Dns.GetHostAddresses(local)가 반환해 주는 IP의 우선순위는 어떻게 될까요? [4]
1168정성태11/6/201125347오류 유형: 139. TlbImp : error TI0000 : A single valid machine type compatible with the input type library must be specified
1167정성태11/5/201137146개발 환경 구성: 133. Registry 등록 과정 없이 COM 개체 사용 - 두 번째 이야기 [5]파일 다운로드4
1166정성태11/5/201123239.NET Framework: 263. byte[] pData = new byte[100000]로 인한 성능 차이? [1]파일 다운로드1
1165정성태11/3/201128116개발 환경 구성: 132. "Visual Studio Command Prompt (2010)" 명령행에서 2.0 버전의 MSBuild를 구동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64정성태11/1/201126327.NET Framework: 26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4) - .NET 4.0을 지원하지 않는 MSE 응용 프로그램 원인 분석
1163정성태10/31/201125826.NET Framework: 26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3) - MSE 소스 코드 개선파일 다운로드1
1162정성태10/30/201125905.NET Framework: 260.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2) - Managed Stack Explorer 소스 코드를 이용한 스택 덤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61정성태10/29/201122762.NET Framework: 259. Type.GetMethod - System.Reflection.AmbiguousMatchException파일 다운로드1
1159정성태10/28/201126202.NET Framework: 258. Roslyn 맛보기 - SyntaxTree 조작 [2]
1158정성태10/24/201125521.NET Framework: 257. Roslyn 맛보기 - Roslyn Symbol / Binding API파일 다운로드1
1157정성태10/23/201129917.NET Framework: 256. Roslyn 맛보기 - Syntax Analysis (Roslyn Syntax API) [2]
1156정성태10/23/201128448.NET Framework: 255. Roslyn 맛보기 - Roslyn Services APIs를 이용한 Code Issue 및 Code Action 기능 소개 [1]
1155정성태10/22/201126480.NET Framework: 254. Roslyn 맛보기 - C# Interactive (2)
1154정성태10/22/201133227.NET Framework: 253. Roslyn 맛보기 - C# Interactive (1)
1153정성태10/21/201142102.NET Framework: 252. Roslyn 맛보기 - C# 소스 코드를 스크립트처럼 다루는 방법 [7]파일 다운로드1
1152정성태10/20/201123753.NET Framework: 251. string.GetHashCode는 hash 값을 cache 할까?
1151정성태10/18/201122675Java: 13. 자바도 64비트에서 (2GB) OutOfMemoryException 예외가 발생할까?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