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F5 키로 실행하면 기본적으로 iisexpress 위에서 호스팅이 됩니다. 그리고 이때의 명령행을 Process Explorer와 같은 도구로 이용해 보면 다음과 같은 구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령어: "C:\Program Files\IIS Express\iisexpress.exe"  /config:"D:\core_web_app\.vs\config\applicationhost.config" /site:"fullnet_mvc_core" /apppool:"Clr4IntegratedAppPool"

기본 디렉터리: C:\Program Files\IIS Express\

그럼, 명령행에서도 저렇게 실행하면 될까요? 실제로 해보면 웹 페이지 방문 시 "HTTP Error 502.5 - Process Failure" 오류가 발생하면서 웹 브라우저에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출력됩니다.

Common causes of this issue:

    The application process failed to start
    The application process started but then stopped
    The application process started but failed to listen on the configured port

Troubleshooting steps:

    Check the system event log for error messages
    Enable logging the application process' stdout messages
    Attach a debugger to the application process and inspect

이와 함께 이벤트 로그에는 다음의 항목이 남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IIS Express AspNetCore Module
Date:          2017-12-08 오후 1:52:04
Event ID:      1000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Application 'MACHINE/WEBROOT/APPHOST/FULLNET_MVC_CORE' with physical root 'D:\core_web_app\fullnet_mvc_core\' failed to start process with commandline '%LAUNCHER_PATH% %LAUNCHER_ARGS%', ErrorCode = '0x80070002 : 0.

LAUNCHER_ARGS -argFile "%LOCALAPPDATA%\Temp\tmpD26f.tmp"
LAUNCHER_PATH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IDE\Extensions\Microsoft\Web Tools\ProjectSystem\VSIISExeLauncher.exe"

위의 내용인즉, iisexpress.exe는 단순히 중계 프로세스일 뿐 별도로 iisexpress의 자식 프로세스로 VSIISExeLauncher.exe를 다음과 같은 인자 구성으로 실행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7\Enterprise\Common7\IDE\Extensions\Microsoft\Web Tools\ProjectSystem\VSIISExeLauncher.exe" -argFile "%LOCALAPPDATA%\Temp\tmpD26f.tmp"


이때 전달된 "%LOCALAPPDATA%\Temp\tmpD26f.tmp" 파일의 내용을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 tmpD26f.tmp 파일 내용

-p D:\core_web_app\fullnet_mvc_core\bin\Debug\net47\fullnet_mvc_core.exe
-pidFile %LOCALAPPDATA%\Temp\tmpD26E.tmp
-wd D:\core_web_app\fullnet_mvc_core
-a
-pipe 66c2131a-6df7-4835-a3cc-241eacba2f27
-pr fullnet_mvc_core
-owningPid 30008
-env ASPNETCORE_CONTENTROOT=D:\core_web_app\fullnet_mvc_core|ASPNETCORE_ENVIRONMENT=Development|COMPLUS_ForceENC=1|

그리고 다시 전달되는 -pidFile 파일은 그 안에 "pid:31564"와 같은 식의 Process ID를 포함합니다. 즉, VSIISExeLauncher.exe 역시 중계 프로세스일 뿐 사실상 ASP.NET Core를 호스팅하는 프로세스는 bin\Debug\net47\fullnet_mvc_core.exe인 것입니다.

따라서... 결과가 좀 허무하지만, 그냥 명령행에서 fullnet_mvc_core.exe라고 실행하면 잘 동작하는 것입니다. ^^

명령어: "D:\core_web_app\fullnet_mvc_core\bin\Debug\net47\fullnet_mvc_core.exe" 
기본 디렉터리: D:\core_web_app\fullnet_mvc_cor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8/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정성태3/21/200520224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18965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22189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18722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8542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7677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20009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6224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7093.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19787.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20252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19419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113정성태3/13/200520332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
110정성태11/14/200519242.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
111정성태3/7/200517788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19109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7137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21306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20577.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20703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106정성태2/28/200520180COM 개체 관련: 14. 탐색기 "처럼" 파일 열기
105정성태2/28/200519124.NET Framework: 26. VS.NET 2005 : 설치 프로젝트 - .NET Framework 설치 강제화
139정성태11/14/200517476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4정성태2/27/200519998VS.NET IDE: 23. MSI 설치 중에 GetLocalTime / GetSystemTime API 사용
132정성태3/30/200519649    답변글 VS.NET IDE: 23.1. [추가]: MSI 설치 동작 원리
102정성태2/16/200522525.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