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03. 양자 컴퓨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Q# 언어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42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양자 컴퓨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Q# 언어

오늘 자 트위터에 재미있는 소식이 있는데, 바로 마이크로소프트가 내놓은 양자 컴퓨팅을 위한 Q# 언어입니다. 현재 시뮬레이터를 통해 Visual Studio 2017 상에서 직접 컴파일하고 실행해 볼 수 있는데, 한국 마이크로소프트 직원에 의하면 시뮬레이터는 30 qubit을 지원하고 Azure에서 40 qubit까지 지원할 예정이라고 합니다.

시뮬레이터이긴 하지만 원한다면 Quantum Development Kit을 설치해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Installing and Validating the Q# Development Environment
; https://docs.microsoft.com/ko-kr/quantum/quantum-installconfig?view=qsharp-preview

Get started with quantum development
; https://www.microsoft.com/en-us/quantum/development-kit

QDK라고 해서 엄청난 것은 아니고 단순한 Visual Studio 2017의 확장 패키지(vsix)일 뿐입니다. 설치 후 Visual Studio 2017 C# 프로젝트 템플릿에서 "Q# Application"을 선택해 프로젝트를 생성하면 다음과 같은 코드를 갖는 Q# 소스 코드 파일이 포함됩니다.

namespace Quantum.QSharpApplication1
{
    open Microsoft.Quantum.Primitive;
    open Microsoft.Quantum.Canon;

    operation Operation () : ()
    {
        body
        {
            
        }
    }
}

아직 preview 버전임에도 인텔리센스도, 키워드 색상 표시도, 디버깅도 모두 지원합니다. 게다가 언어 자체에서 C#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어 왠지 친근함마저 듭니다. ^^

간단한 실습은 다음의 글에 따라 할 수 있습니다.

Writing a Quantum Program
; https://docs.microsoft.com/ko-kr/quantum/quantum-writeaquantumprogram?view=qsharp-preview

[파일명].qs 소스 코드를 변경하면 .\obj\qsharp\src 경로에 [파일명].g.cs 파일이 자동 생성됩니다. 덕분에 C# 소스 코드에서 Q#의 기능을 접근할 때에도 인텔리센스의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나저나 이렇게 보면, 양자 컴퓨팅이 꽤나 우리 생활에 가까워진 것으로 착각할 수 있는데 아쉽게도 이 언어를 C#만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꽤나 시간이 필요할 듯합니다. 기술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긴 하지만 최근에 제가 본 책에서도 양자 수준의 제어가 절대 온도에서나 가능하고 상온에서의 활용을 위한 연구가 진행되는 정도라고 하니 어쩌면 현 시대의 개발자들은 만져보지도 못하고 정년을 맞이할지도 모릅니다. ^^

(참고로, 이런 글 썼다고 제가 양자 컴퓨팅을 알 거라고 오해하시면 안 됩니다. ^^; 말 그대로 1도 모릅니다.)




빌드 중에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rror CS8179 Predefined type 'System.ValueTuple`2' is not defined or imported, or is declared in multiple referenced assemblies

원래 .NET Framework 4.7의 경우 System.ValueTuple을 BCL 차원에서 지원하는데 QDK 기반의 C# 프로젝트가 기본적으로 System.ValueTuple.dll을 자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충돌이 난 것입니다. 즉, 다음과 같은 Reference 노드를 .csproj에 포함하고 있으며 QDK도 이 DLL 기반으로 빌드가 되어 있습니다.

<Reference Include="System.ValueTuple, Version=4.0.2.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cc7b13ffcd2ddd51, processorArchitecture=MSIL">
    <HintPath>..\packages\System.ValueTuple.4.4.0\lib\net461\System.ValueTuple.dll</HintPath>
</Reference>

따라서, .NET Framework 버전을 4.6.2 이하로 내리면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2/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44정성태11/11/201031641VC++: 43. C++/CLI 컴파일 오류 - error C2872: 'IServiceProvider' : ambiguous symbol could be ...
943정성태11/8/201030762디버깅 기술: 30. windbg ".loadby sos" 명령어 [2]
942정성태11/7/201042337.NET Framework: 187.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7]파일 다운로드3
941정성태11/6/201025251.NET Framework: 186. windbg로 확인하는 .NET CLR LCG 메서드(DynamicMethod) [1]파일 다운로드1
940정성태11/6/201026113.NET Framework: 185. windbg로 확인하는 .NET CLR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939정성태10/24/201033070Windows: 51. RDP로 접속한 Windows Server 2008 R2 환경에서 Aero Glass 활성화 [1]
938정성태10/23/201024829디버깅 기술: 29. Windbg - Hyper-V 윈도우 7 원격 디버깅 구성 [1]
937정성태10/22/201030964DDK: 5. NT Legacy 드라이버: 프로세스(EXE) 생성/제거 모니터링 [3]파일 다운로드1
936정성태10/21/201029996DDK: 4. Device Driver 응용 프로그램의 빌드 스크립트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935정성태10/17/201030608디버깅 기술: 28. Windbg - 윈도우 핸들 테이블 [3]
934정성태10/11/201033596디버깅 기술: 27. Windbg - Local Kernel Debug 모드 [2]
933정성태10/10/201025792.NET Framework: 184. 닷넷에서 호출 스택의 메서드에 대한 인자 값 확인이 가능할까? [2]파일 다운로드1
932정성태10/10/201029026DDK: 3. NT Legacy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C#에서 Port 입출력파일 다운로드1
931정성태9/30/201023598오류 유형: 108. Net.Tcp Listener Adapter 서비스 시작 실패
930정성태9/30/201022907웹: 16. 윈도우 미디어 플레이어 - 일시 정지/시작을 스크립트에서 감지
929정성태9/17/201024136웹: 15. IE 9 - 작업 표시줄의 웹 사이트 바로가기 사용자 정의 - JumpLists [3]파일 다운로드1
928정성태9/16/201028308VC++: 42. 쓰기 전용 파일(예: 로그 파일)의 동기화 방법파일 다운로드1
927정성태9/14/201038164VC++: 41. UTF-8 포맷의 INI 파일에 대한 GetPrivateProfile... API 사용 불가 [2]
926정성태9/9/201027441Team Foundation Server: 41. 빌드 스크립트에 Code Coverage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925정성태9/8/201031339Team Foundation Server: 40. Visual Studio 2010 - Code Coverage 결과를 외부 XML 파일로 출력하는 명령행 도구 제작 [1]파일 다운로드1
924정성태9/6/201021602개발 환경 구성: 88. SCVMM이 설치된 도메인에 참여하지 않은 Hyper-V 호스트 추가
923정성태9/5/201027585오류 유형: 107. SCVMM Agent 설치 오류 - Failed to configure the WS-Management service.
922정성태9/4/201036257오류 유형: 106. Hyper-V 가상 머신의 네트워크 끊김 현상
921정성태9/2/201030287DDK: 2. Device Driver 응용 프로그램의 빌드 스크립트 [2]파일 다운로드1
920정성태9/1/201034726오류 유형: 105. WMI - 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2]
919정성태8/30/201040847DDK: 1. Visual Studio 2010 - Device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