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199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rtual PC 또는 Virtual Server를 운영해 보시면, 해당 Guest OS의 시간 변경이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변경 시도는 되지만, 잠깐 동안 변경된 듯 보이다가 원래의 시간(Host OS의 시간)으로 돌아가 버립니다.

가끔은, 시간에 따른 application 테스트를 할 일도 있기 때문에 그러한 동작이 달갑지 않은 때가 있는데요. 현재로서는 해당 VPC의 "Configuration"에서 그러한 설정에 대한 제어는 지원하지 않고, 대신에 다음과 같은 2가지 방법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1. VMC 파일 편집
해당 파일이 XML 파일이므로 메모장 등에서 열어서 다음과 같은 부분을 편집하면 됩니다.
아래에서 /host_time_sync/enabled의 값을 기존값 true에서 false로 바꿔주면 되지요.
그 외에, VMC 파일의 여러 가지 설정값들을 한 번쯤 눈여겨 보는 것도 좋을 듯 싶습니다.

    <integration>
        <microsoft>
            <folder_sharing>
                <enabled type="boolean">false</enabled>
                <load_allowed type="boolean">false</load_allowed>
            </folder_sharing>
            <heartbeat>
                <failure_attempts type="integer">12</failure_attempts>
                <failure_interval type="integer">10</failure_interval>
                <rate type="integer">10</rate>
                <time type="integer">60</time>
            </heartbeat>
            <host_time_sync>
                <enabled type="boolean">false</enabled>
                <frequency type="integer">15</frequency>
                <threshold type="integer">10</threshold>
            </host_time_sync>
            <mouse>
                <allow type="boolean">true</allow>
            </mouse>
            <version>
                <guest_os>
                    <build_number type="string">5.02.3790</build_number>
                    <long_name type="string">Windows Server™ 2003, Enterprise Edition</long_name>
                    <short_name type="string">Windows Server™ 2003, Enterprise Edition</short_name>
                </guest_os>
                <additions_number type="string">013206</additions_number>
            </version>
        </microsoft>
    </integration>

2. Virtual Server의 경우, 제공되는 COM Interface를 이용해서 변경할 수 있습니다. IVMGuestOS 인터페이스를 얻은 후에, IVMGuestOS::put_IsHostTimeSyncEnabled 메서드에 VARIANT_FALSE 값을 전달해 주는 것이지요. 인터페이스를 통한 프로그램적으로 접근하는 것의 장점이라면, 향후 VMC 파일의 내부 구조가 변경된다 해도 해당 기능이 정상적으로 적용된다는 것을 보증할 수 있는 정도일 것입니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5/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22정성태7/25/201424885오류 유형: 232. IIS 500 Internal Server Error - NTFS 암호화된 폴더에 웹 애플리케이션이 위치한 경우
1721정성태7/24/201428660.NET Framework: 451. 함수형 프로그래밍 개념 - 리스트 해석(List Comprehension)과 순수 함수 [2]
1720정성태7/23/201425761개발 환경 구성: 232. C:\WINDOWS\system32\LogFiles\HTTPERR 폴더에 로그 파일을 남기지 않는 설정
1719정성태7/22/201430174Math: 13. 동전을 여러 더미로 나누는 경우의 수 세기(Partition Number)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718정성태7/19/201439826Math: 12. HTML에서 수학 관련 기호/수식을 표현하기 위한 방법 - MathJax.js [4]
1716정성태7/17/201439774개발 환경 구성: 231. PC 용 무료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 - genymotion
1715정성태7/13/201433777기타: 47. 운영체제 종료 후에도 USB 외장 하드의 전원이 꺼지지 않는 경우 [3]
1714정성태7/11/201423583VS.NET IDE: 92. Visual Studio 2013을 지원하는 IL Support 확장 도구
1713정성태7/11/201447452Windows: 98.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ckage Cache" 폴더 이동 [1]
1712정성태7/10/201436382.NET Framework: 450. 영문 윈도우에서 C# 콘솔 프로그램의 유니코드 출력 방법 [3]
1711정성태7/10/201440874Windows: 97. cmd.exe 창에서 사용할 폰트를 추가하는 방법 [1]
1710정성태7/8/201433810개발 환경 구성: 230. 유니코드의 Surrogate Pair, Supplementary Characters가 뭘까요?파일 다운로드2
1709정성태7/8/201430304VS.NET IDE: 91. Visual Studio에서 32/64비트 IIS Express 실행하는 방법
1708정성태7/7/201427600VS.NET IDE: 90. Visual Studio - 사용자 정의 정적 분석 규칙 만드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707정성태7/4/201425820.NET Framework: 449. C#에서 C++로 VARIANT 넘겨주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6정성태7/3/201423986.NET Framework: 448. .NET SmartClient 컨트롤을 윈도우 8/2012에서 활성화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705정성태7/2/201439252VC++: 78. 보이어-무어(Boyer-Moore) 알고리즘이 정말 빠를까? [6]파일 다운로드1
1704정성태7/2/201425291.NET Framework: 447. w3wp.exe AppPool 재생(recycle)하는 방법 정리
1703정성태7/2/201426428.NET Framework: 446. Assembly.Load를 이용해 GAC에 등록된 어셈블리를 로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02정성태6/23/201426347Phone: 11. Xamarin.Forms - 2. XAML을 이용한 페이지 개발파일 다운로드1
1701정성태6/23/201438766개발 환경 구성: 229. .NET Reflector + Reflexil 도구를 이용해 DLL 코드 변경 [4]
1700정성태6/23/201425281VS.NET IDE: 89. Visual Studio에서 기본 제공되는 성능 프로파일 [2]
1699정성태6/22/201426585Phone: 10. Xamarin.Forms - 1. Forms 시작하기 [2]파일 다운로드1
1698정성태6/22/201428615.NET Framework: 445. [부연 설명] 쉬운 C# 코드를 어럽게 이해하기 [2]
1697정성태6/22/201424571VS.NET IDE: 88. Visual Studio에서 직접 컴파일하는 IL 언어 확장 도구 - IL Support
1696정성태6/22/201423808.NET Framework: 444. clojure와 C#을 통해 이해하는 Sequence와 Vector 형식의 차이점 [1]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