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07. OpenCV 응용 프로그램을 C#으로 구현 - OpenCvSharp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3719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707. OpenCV 응용 프로그램을 C#으로 구현 - OpenCvSharp
; https://www.sysnet.pe.kr/2/0/11402

.NET Framework: 708.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1403

.NET Framework: 709.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 Direct2D
; https://www.sysnet.pe.kr/2/0/11404

.NET Framework: 710. C# - OpenCvSharp을 이용한 Webcam 영상 처리 + Direct2D
; https://www.sysnet.pe.kr/2/0/11405

.NET Framework: 711. C# - OpenCvSharp의 Mat 데이터 조작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06

.NET Framework: 723. C# - OpenCvSharp 사용 시 C/C++을 이용한 속도 향상 (for 루프 연산)
; https://www.sysnet.pe.kr/2/0/11422

VC++: 123. 내가 만든 코드보다 OpenCV의 속도가 월등히 빠른 이유
; https://www.sysnet.pe.kr/2/0/11423

.NET Framework: 781. C# - OpenCvSharp 사용 시 포인터를 이용한 속도 향상
; https://www.sysnet.pe.kr/2/0/11567

개발 환경 구성: 447. Visual Studio Code에서 OpenCvSharp 개발 환경 구성
; https://www.sysnet.pe.kr/2/0/11971

Graphics: 38.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485




OpenCV 응용 프로그램을 C#으로 구현 - OpenCvSharp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시겠지만, ^^ C#을 위한 OpenCVSharp 라이브러리가 github/Nuget을 통해 배포중이므로,

shimat/opencvsharp 
; https://github.com/shimat/opencvsharp

OpenCvSharp3-AnyCPU
; https://www.nuget.org/packages/OpenCvSharp3-AnyCPU/

Visual Studio에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참조 추가를 할 수 있습니다.

Install-Package OpenCvSharp3-AnyCPU -Version 3.3.1.20171117 

그 이후로는 C# 구문의 편리함을 누리며 코딩하시면 됩니다.

using OpenCvSharp;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 
    {
        Mat src = new Mat("lenna.png", ImreadModes.GrayScale); // ver 3 방식
        // Mat src = Cv2.ImRead("lenna.png", ImreadModes.GrayScale); // ver 2 방식
        Mat dst = new Mat();
        
        Cv2.Canny(src, dst, 50, 200);
        using (new Window("src image", src)) 
        using (new Window("dst image", dst)) 
        {
            Cv2.WaitKey();
        }
    }
}

Windows Forms로 작업하는 경우 OpenCvSharp.Window를 별도로 띄우지 않고 Form 내에 이미지 출력을 하고 싶을텐데요. 이를 위해,

[Cpp] Converting Image
; https://github.com/shimat/opencvsharp/wiki/%5BCpp%5D-Converting-Image

다음과 같이 Mat으로부터 Bitmap을 출력해 사용하면 됩니다.

Mat mat = new Mat("foobar.jpg", ImreadModes.Color);
Bitmap bitmap = OpenCvSharp.Extensions.BitmapConverter.ToBitmap(mat);

첨부 파일은 이미지를 gray scale로 로딩한 후 Canny 처리한 이미지를 각각의 PictureBox에 출력하는 예제입니다.

using OpenCvSharp;
using System;
using System.Windows.Forms;

namespace WindowsFormsApp1
{
    public partial class Form1 : Form
    {
        public Form1()
        {
            InitializeComponent();
        }

        private void Form1_Load(object sender, EventArgs e)
        {
            using (Mat src = new Mat("portal_start.png", ImreadModes.GrayScale))
            using (Mat dst = src.Canny(50, 200))
            {
                this.pictureBox1.Image = OpenCvSharp.Extensions.BitmapConverter.ToBitmap(src);
                this.pictureBox2.Image = OpenCvSharp.Extensions.BitmapConverter.ToBitmap(dst);
            }
        }
    }
}

그래서 이렇게 실행됩니다. ^^

opencv_sharp_1_1.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3/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9-07-03 05시24분
[MJLee] 안녕하세요. 프로그래밍 + open CV를 공부를 막 시작한 사람입니다. VS code에 openCV를 설치하려고 하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어서요, NuGet Package Manager Extension을 설치했습니다. NuGet Package Manager : Add Package 로 OpenCvSharp-AnyCPU (>= 2.4.10.20170306) 추가하니 "Success! Wrote OpenCvSharp-AnyCPU@2.4.10.20170306 to d:\CVCODE\HelloVSCode\HelloVSCode.csproj. Run dotnet restore to update your project." 라고 팝업창이 뜹니다.
PS D:\CVCODE\HelloVSCode> dotnet restore 을 실행하면 아래와 같이 나와서 설치를 못 하고 있는데, 도움 주실 수 있으신지요? 감사합니다.
D:\CVCODE\HelloVSCode\HelloVSCode.csproj : error NU1100: '.NETCoreApp,Version=v2.2'에 대해 'OpenCvSharp-AnyCPU (>= 2.4.10.20170306)'을(를) 확인할 수 없습니다.
  285.04 ms에서 D:\CVCODE\HelloVSCode\HelloVSCode.csproj에 대한 복원에 실패했습니다.
[guest]
2019-07-03 10시32분
다음의 글을 참고하세요.

Visual Studio Code에서 OpenCvSharp 개발 환경 구성
; http://www.sysnet.pe.kr/2/0/11971
정성태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3정성태3/1/201228043VS.NET IDE: 71. Visual Studio 11 Ultimate 베타 설치 [3]
1252정성태3/1/201225400Windows: 55. 윈도우 8 베타 설치 과정 [1]
1251정성태2/27/201229344VC++: 60. C/C++ Native 스레드 콜 스택 덤프를 얻는 공개 라이브러리 [2]파일 다운로드1
1250정성태2/27/201231483VC++: 59. C/C++ 프로젝트 빌드 속도 개선 - UnityBuild를 아세요? [3]
1249정성태2/26/201231135.NET Framework: 311.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5) - ICorDebug 인터페이스 사용법 [2]파일 다운로드3
1248정성태2/25/201242636.NET Framework: 310. C#의 Shift 비트 연산 정리파일 다운로드1
1247정성태2/25/201225342.NET Framework: 309. .NET 응용 프로그램에 기본 생성되는 스레드들에 대한 탐구 [1]파일 다운로드1
1246정성태2/25/201224883개발 환경 구성: 145. 한영 변환은 되지만, 정작 한글 입력이 안되는 경우
1245정성태2/25/201235601개발 환경 구성: 144. 윈도우에서도 유닉스처럼 명령행으로 원격 접속하는 방법
1244정성태2/24/201232791.NET Framework: 308. .NET System.Threading.Thread 개체에서 Native Thread Id를 구할 수 있을까? [1]파일 다운로드1
1243정성태2/23/201232746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1]
1242정성태2/20/201239605VC++: 58. API Hooking - 64비트를 고려해야 한다면? EasyHook! [7]파일 다운로드1
1241정성태2/20/201226423.NET Framework: 30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ILMerge
1240정성태2/19/201232717디버깅 기술: 48. C/C++ JNI DLL을 Visual Studio로 디버깅하는 방법 [2]
1239정성태2/19/201224363.NET Framework: 306. 컴퓨터에 실행된 프로세스 중에 닷넷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는 방법 - C# [1]파일 다운로드1
1238정성태2/19/201228225.NET Framework: 305. GetPrivateProfileSection / WritePrivateProfileSection의 C# 버전파일 다운로드1
1237정성태2/18/201232563개발 환경 구성: 142. Windows Embedded POSReady 7 설치 [1]
1236정성태2/17/201228398개발 환경 구성: 141. Windows 2008 R2 RDP 라이선스 서버 설치하는 방법
1235정성태2/16/201226803.NET Framework: 304. Hyper-V의 가상 머신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4정성태2/16/201227240.NET Framework: 303. 원본 파일의 공백/라인을 유지한 체 XML 파일을 저장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233정성태2/16/201233340.NET Framework: 302. supportedRuntime 옵션과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예외 [5]
1232정성태2/9/201229219VC++: 57. 웹 브라우저에서 Flash만 빼고 다른 ActiveX를 차단할 수 있을까? [3]파일 다운로드1
1231정성태2/8/201238737VC++: 56. Win32 API 후킹 - Trampoline API Hooking [5]파일 다운로드1
1230정성태2/6/201224077개발 환경 구성: 140.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1229정성태2/4/201229099.NET Framework: 301. P/Invoke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C++/CLI가 선택되려면? [5]파일 다운로드1
1228정성태2/4/201278420.NET Framework: 300. C#으로 만드는 음성인식/TTS 프로그램 [47]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