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VC++: 121.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Visual C++)
; https://www.sysnet.pe.kr/2/0/11385

.NET Framework: 705.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400

.NET Framework: 706.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1401

.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 https://www.sysnet.pe.kr/2/0/11407

.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
; https://www.sysnet.pe.kr/2/0/11408

.NET Framework: 9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라이브러리
; https://www.sysnet.pe.kr/2/0/12238

.NET Framework: 1123. C# - (SharpDX + DXGI)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빠르게 JPG로 변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9

.NET Framework: 1126. C# - snagit처럼 화면 캡처를 연속으로 수행해 동영상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895

.NET Framework: 1128.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2897

.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
; https://www.sysnet.pe.kr/2/0/1296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자, 그럼 OpenCV도 대강 연습했으니 ^^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 Direct2D
; https://www.sysnet.pe.kr/2/0/11404

이제 화면 캡처 영상을 OpenCV를 이용해 가공하고 Direct2D로 출력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사실, 그 동안의 글에 설명된 내용을 병합하는 과정에 불과하므로 특별한 것이 없습니다. 우선, 소스 코드의 시작은 다음의 글에 첨부한 프로젝트로 합니다.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1401

당연히 OpenCVSharp을 참조 추가하고,

Install-Package OpenCvSharp3-AnyCPU -Version 3.3.1.20171117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소스 코드에서 Capture 데이터를 조정하면 끝입니다.

그런데, 순수 RGB 데이터만 포함하고 있는 byte 배열로부터 Mat을 생성하는 방법이 없습니다. [Cpp] Converting Image 글에 보면 byte [] to Mat이 있지만 그것은 byte 배열에 이미지 헤더 정보까지 모두 포함된 경우에 한해 적용됩니다. 즉, RGB 배열 값만 있는 것을 다음과 같이 하면,

Mat mat = Cv2.ImDecode(buffer, ImreadModes.Color);

mat 인스턴스에는 0 * 0 * CV_8UC1 규격으로 초기화되고 이는 분명 잘못된 이미지입니다. (이상하게도 예외가 발생하지 않고 그냥 잘못된 Mat 인스턴스가 반환됩니다.)

이럴 때는, byte [] 타입의 RGB 데이터로부터 초기화할 것이 아니라, 적절한 규격의 Mat 인스턴스로부터 바이트 배열을 얻어와 화면 캡처 이미지를 그곳에 저장하도록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Capture 소스 코드를 다음과 같이 바꿔줍니다.

Mat mat = new Mat(new OpenCvSharp.Size(manager.Width, manager.Height), MatType.CV_8UC4);

IntPtr dstPtr = mat.Data;

if (manager.Capture(copyFrameBuffer, dstPtr, 1000) == true)
{
    using (Mat gray = mat.CvtColor(ColorConversionCodes.BGRA2GRAY))
    using (Mat blur = gray.GaussianBlur(new OpenCvSharp.Size(7, 7), 1.5, 1.5))
    using (Mat canny = blur.Canny(0, 30, 3))
    using (Mat last = canny.CvtColor(ColorConversionCodes.GRAY2BGRA))
    {
        DataPointer dataPointer = new DataPointer(last.Data, (int)last.Total() * last.Channels());

        SharpDX.Direct2D1.Bitmap bitmap = _renderTarget.CreateBitmap(dataPointer);
        if (bitmap != null)
        {
            _queue.Add(bitmap);
            _count++;

            this.Invoke((Action)(() => this.Invalidate()));
        }
    }
}

(참고로, 1920 * 1080 화면을 저렇게 처리하는데 i5-4670 3.4GHz + GTX 1070 시스템에서 CPU 70%에 30fps 정도의 성능이 나옵니다.)


다음 그림은 Visual Studio가 실행된 모니터의 화면을 캡처해서 Blur/Canny 처리한 것입니다.

dxgi_opencv_1.png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7-12-18 11시48분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
; http://www.sysnet.pe.kr/2/0/11408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491정성태1/16/202117780.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2490정성태1/15/202116931.NET Framework: 1007. C# - foreach에서 열거 변수의 타입을 var로 쓰면 object로 추론하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12489정성태1/13/202119017.NET Framework: 1006. C# - DB에 저장한 텍스트의 (이모티콘을 비롯해) 유니코드 문자가 '?'로 보인다면? [1]
12488정성태1/13/202118219.NET Framework: 1005. C# - string 타입은 shallow copy일까요? deep copy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2487정성태1/13/202116673.NET Framework: 1004. C# - GC Heap에 위치한 참조 개체의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86정성태1/12/202118415.NET Framework: 1003. x64 환경에서 참조형의 기본 메모리 소비는 얼마나 될까요? [1]
12485정성태1/11/202118574Graphics: 38. C# - OpenCvSharp.VideoWriter에 BMP 파일을 1초씩 출력하는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2484정성태1/9/202120206.NET Framework: 1002. C# - ReadOnlySequence<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83정성태1/8/202116432개발 환경 구성: 521. dotPeek - 훌륭한 역어셈블 소스 코드 생성 도구
12482정성태1/8/202118180.NET Framework: 1001. C# - 제네릭 타입/메서드에서 사용 시 경우에 따라 CS8377 컴파일 에러
12481정성태1/7/202118280.NET Framework: 1000. C# - CS8344 컴파일 에러: ref struct 타입의 사용 제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2480정성태1/6/202120977.NET Framework: 999. C# - ArrayPool<T>와 Memor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9정성태1/6/202118184.NET Framework: 998. C# - OWIN 예제 프로젝트 만들기
12478정성태1/5/202120931.NET Framework: 997. C# - ArrayPool<T> 소개파일 다운로드1
12477정성태1/5/202122015기타: 79. github 코드 검색 방법 [1]
12476정성태1/5/202118317.NET Framework: 996. C# - 닷넷 코어에서 다른 스레드의 callstack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475정성태1/5/202122149.NET Framework: 995. C# - Span<T>와 Memory<T> [1]파일 다운로드1
12474정성태1/4/202118904.NET Framework: 994. C# - (.NET Core 2.2부터 가능한) 프로세스 내부에서 CLR ETW 이벤트 수신 [1]파일 다운로드1
12473정성태1/4/202117488.NET Framework: 993. .NET 런타임에 따라 달라지는 정적 필드의 초기화 유무 [1]파일 다운로드1
12472정성태1/3/202117480디버깅 기술: 178. windbg - 디버그 시작 시 스크립트 실행
12471정성태1/1/202118197.NET Framework: 992. C# - .NET Core 3.0 이상부터 제공하는 runtimeOptions의 rollForward 옵션 [1]
12470정성태12/30/202018340.NET Framework: 991. .NET 5 응용 프로그램에서 WinRT API 호출 [1]파일 다운로드1
12469정성태12/30/202022814.NET Framework: 990. C# - SendInput Win32 API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마우스 [1]파일 다운로드1
12468정성태12/30/202019234Windows: 186. CMD Shell의 "Defaults"와 "Properties"에서 폰트 정보가 다른 문제 [1]
12467정성태12/29/202019247.NET Framework: 989. HttpContextAccessor를 통해 이해하는 AsyncLocal<T> [1]파일 다운로드1
12466정성태12/29/202016781.NET Framework: 988. C# - 지연 실행이 꼭 필요한 상황이 아니라면 singleton 패턴에서 DCLP보다는 static 초기화를 권장 [1]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