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VC++: 121.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Visual C++)
; https://www.sysnet.pe.kr/2/0/11385

.NET Framework: 705.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https://www.sysnet.pe.kr/2/0/11400

.NET Framework: 706.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https://www.sysnet.pe.kr/2/0/11401

.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 https://www.sysnet.pe.kr/2/0/11407

.NET Framework: 7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
; https://www.sysnet.pe.kr/2/0/11408

.NET Framework: 91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라이브러리
; https://www.sysnet.pe.kr/2/0/12238

.NET Framework: 1123. C# - (SharpDX + DXGI)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빠르게 JPG로 변환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9

.NET Framework: 1126. C# - snagit처럼 화면 캡처를 연속으로 수행해 동영상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895

.NET Framework: 1128.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 https://www.sysnet.pe.kr/2/0/12897

.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
; https://www.sysnet.pe.kr/2/0/12963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2)

지난번 글의 구현을,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 https://www.sysnet.pe.kr/2/0/11407

혹시 좀 더 부하를 적게 할 수는 없을까요?

가령, copyFrameBuffer에서 화면 캡처 데이터를 복사하지 말고 그 원본 데이터로부터 곧바로 OpenCV Mat과 연결해 데이터 조작을 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변경을 하면 됩니다.

unsafe void copyFrameBuffer(IntPtr srcPtr, IntPtr dstPtr, int srcPitch, Rectangle offsetBounds)
{
    Mat mat = new Mat(new int[] { offsetBounds.Height, offsetBounds.Width }, MatType.CV_8UC4, srcPtr);

    using (Mat gray = mat.CvtColor(ColorConversionCodes.BGRA2GRAY))
    using (Mat blur = gray.GaussianBlur(new OpenCvSharp.Size(7, 7), 1.5, 1.5))
    using (Mat canny = blur.Canny(0, 30, 3))
    {
        IntPtr srcMatPtr = canny.Data;

        for (int y = 0; y < _renderTarget.Height; y++)
        {
            Utilities.CopyMemory(dstPtr + (offsetBounds.Left), srcMatPtr, _renderTarget.Width);

            srcMatPtr = IntPtr.Add(srcMatPtr, _renderTarget.Width);
            dstPtr = IntPtr.Add(dstPtr, _renderTarget.Width);
        }
    }
}

결과적으로 마지막에 복사되는 데이터도 32bit BGRA가 아닌 8bit GRAY이기 때문에 1920 * 1080인 1/4로 복사량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SharpDX 측에서는 흑백 데이터를 다시 BGRA로 복원만 하고 화면에 출력하면 됩니다.

private void CaptureLoop(DXGIManager manager)
{
    using (Mat mat = new Mat(new OpenCvSharp.Size(manager.Width, manager.Height), MatType.CV_8UC1))
    {
        while (true)
        {
            int signalId = EventWaitHandle.WaitAny(_waitSignals, Timeout.Infinite);

            if (signalId == 0)
            {
                break;
            }

            IntPtr dstPtr = mat.Data;

            if (manager.Capture(copyFrameBuffer, dstPtr, 1000) == true)
            {
                using (Mat last = mat.CvtColor(ColorConversionCodes.GRAY2BGRA))
                {
                    DataPointer dataPointer = new DataPointer(last.Data, (int)last.Total() * last.Channels());
                    SharpDX.Direct2D1.Bitmap bitmap = _renderTarget.CreateBitmap(dataPointer);

                    if (bitmap != null)
                    {
                        _queue.Add(bitmap);
                        _count++;

                        this.Invoke((Action)(() => this.Invalidate()));
                    }
                }
            }
        }
    }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부가적으로 하나 더 설명을 드리면, OpenCvSharp은 C/C++ 컴파일된 OpenCvSharpExtern.dll에서 export된 함수들을 래퍼한 Managed DLL인 OpenCvSharp.*.dll에 의해 접근하는 형식입니다.

따라서, OpenCvSharp.*.dll 들에서 제공하지 않으면 OpenCV의 원래 기능들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데요. 이럴 때 별도로 C/C++ DLL을 만들어 원하는 기능을 export 시켜야만 합니다. 하지만, 그보다 더 쉬운 방법이 있는데 바로 DllImport를 이용해 직접 OpenCvSharpExtern.dll에서 export한 함수들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볼까요? OpenCV의 Math 타입은 다음과 같이 포인터 변수를 받는 생성자도 제공합니다.

// https://docs.opencv.org/trunk/d3/d63/classcv_1_1Mat.html#a51615ebf17a64c968df0bf49b4de6a3a
cv::Mat::Mat(int rows, int cols, int type, void * data, size_t step = AUTO_STEP)

그런데 OpenCvSharp의 Mat에는 void* 타입을 데이터로 받는 생성자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런 경우 아래의 글에서 설명한 데로,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1) - x86 환경에서의 __cdecl, __stdcall에 대한 Name mangling
; https://www.sysnet.pe.kr/2/0/11132

원하는 함수의 signature를 (depends.exe 등의 도구로) 알아낸 다음,

??0Mat@cv@@QEAA@HHHPEAX_K@Z 
==> (undecorated name) cv::Mat::Mat(int,int,int,void *,unsigned __int64)

다음과 같은 extern 메서드로 연결할 수 있습니다.

[DllImport("OpenCvSharpExtern.dll", EntryPoint = "??0Mat@cv@@QEAA@HHHPEAX_K@Z")]
internal static unsafe extern void CreateMatWithPtr(IntPtr thisPtr, int rows, int cols, int type, void* data, int step = 0);

// x64 호출 규약
// 클래스의 생성자이기 때문에 첫 번째 매개변수는 반드시 this 포인터

이를 이용해 이번 글에서 작성한 copyFrameBuffer의 Mat 사용을 다음과 같이 변경할 수 있습니다.

unsafe void copyFrameBuffer(IntPtr srcPtr, IntPtr dstPtr, int srcPitch, Rectangle offsetBounds)
{
    // 아래의 코드 대신,
    // Mat mat = new Mat(new int[] { offsetBounds.Height, offsetBounds.Width }, MatType.CV_8UC4, srcPtr);

    // 이렇게 void* 타입을 받는 생성자를 직접 호출
    Mat mat = new Mat();
    byte* pBuf = (byte *)srcPtr.ToPointer();
    CreateMatWithPtr(mat.CvPtr, offsetBounds.Height, offsetBounds.Width, MatType.CV_8UC4, pBuf, 0);

    // ...[생략]...
}

이 정도면, .NET Managed 래퍼로 인한 제약을 어느 정도는 C/C++ DLL을 별도로 제작하는 수고를 들이지 않고 극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8/2017]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04정성태9/24/201330239.NET Framework: 387. UDP 브로드캐스팅을 이용해 서비스 측의 IP 주소를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503정성태9/21/201335370개발 환경 구성: 199. Visual Studio - github 연동 [7]
1502정성태9/21/201338965개발 환경 구성: 198. Visual Studio - git을 이용한 로컬 소스 컨트롤
1501정성태9/21/201346060개발 환경 구성: 197. Visual Studio를 위한 Git 환경 설정 [5]
1500정성태9/20/201345036.NET Framework: 386. C# 버전의 한글 형태소 분석기 [1]파일 다운로드1
1499정성태9/20/201321640개발 환경 구성: 196. Windows Azure - Cloud Service의 인스턴스 타입 변경하는 방법
1498정성태9/20/201327790Windows: 76. 윈도우 8.1 / 서버 2012 R2 마이그레이션 [5]
1497정성태9/20/201360053웹: 28. IE 11로 바꾼 후 발생하는 문제 정리
1496정성태9/20/201332353Windows: 75. 윈도우 8.1, 2012 R2 설치 후 원격 접속이 안 되는 문제
1495정성태9/20/201323494웹: 27. IE 11 - YBM Sisa.com에서 검색된 영단어의 발음 기호가 안 나오는 문제
1494정성태9/13/201333098.NET Framework: 385. Html Agility Pack 소개 - 웹 문서에서 텍스트만 분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493정성태9/13/201334864.NET Framework: 384. WebClient.DownloadString 문자열 인코딩 문제
1492정성태9/13/201322305오류 유형: 186. The .NET assembly 'Microsoft.Vsa' could not be found.
1491정성태9/9/201325462.NET Framework: 383. RSAParameters의 ToXmlString과 ExportParameters의 결과 비교
1490정성태9/7/201360469기타: 34. 도서: 시작하세요! C#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7]
1489정성태9/4/201344903오류 유형: 185. 오피스 워드 파일이 저장되지 않는 문제 [2]
1488정성태8/27/201329036.NET Framework: 382. WCF에서 DataSet을 binary encod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87정성태8/27/201331349개발 환경 구성: 195. 로컬 PC에서의 WCF 통신을 Fiddler로 보는 방법 [1]
1486정성태8/27/201328848.NET Framework: 381. SqlCommand를 이용해 Microsoft SQL 서버의 쿼리 실행 계획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85정성태8/26/201332544.NET Framework: 380. 프로세스 스스로 풀 덤프 남기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484정성태8/23/201326785제니퍼 .NET: 24.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4) - GZIP 인코딩으로 인한 성능 하락
1483정성태8/23/201326908.NET Framework: 379. System.IO.MemoryStream, ArraySegment&lt;T&gt; 의 효율적인 사용법 [1]
1482정성태8/23/201320347.NET Framework: 378. Java / C# - 정수의 부호 유무에 따른 16진수 문자열 변환
1481정성태8/22/201321178오류 유형: 184. PaaS 유형(Cloud Services)의 Azure VM에 연결할 때 계정 만료 에러가 발생하는 경우
1480정성태8/22/201337849개발 환경 구성: 194. 윈도우 서버의 80 포트에 대한 port forwarding 설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479정성태8/14/201325173오류 유형: 183. IIS - 바인딩 추가 시 Object reference not set to an instance of an object 오류 [5]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