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사물인터넷: 15.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206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0개 있습니다.)

라즈베리 파이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라즈베리 파이 등의 경우 C++에서 openssl을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설치하면 됩니다.

sudo apt-get install libssl-dev

그런 다음 Visual Studio의 C++ 프로젝트 속성 창에서 -pthread를 사용했을 때와 유사하게,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 https://www.sysnet.pe.kr/2/0/11373

컴파일 옵션에 직접 다음의 값을 추가합니다.

-lcrypto -lssl

만약 "-lcrypto -lssl" 컴파일 옵션을 주지 않으면 링크 시에 다음과 같이 openssl 관련 함수들을 찾을 수 없다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collect2 : error : ld returned 1 exit status

Error undefined reference to `SSL_read'




웬일인지 NR_OPEN 상수가 정의되지 않았다는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rror 'NR_OPEN' was not declared in this scope

분명히 limits.h 헤더 파일을 포함시켰고, 헤더 파일 안에는 NR_OPEN 상수가 조건 없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include <linux/limits.h>

#define NR_OPEN 1024

정확한 원인을 알 수는 없지만 다음과 같이 우회를 했습니다.


#if !defined(_NR_OPEN)
#define NR_OPEN 1024
#endif




참고로, 라즈베리 파이에서 특정 파일을 찾고 싶을 때 다음과 같이 find 명령어를 내리면 됩니다.

sudo find / -name "..."

가령 openssl의 ssl.h 헤더 파일이 리눅스 파일 시스템의 어디에 위치해 있는지 알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 sudo find / -name ssl.h
/usr/include/openssl/ssl.h

$ find / -name ssl.h 2>/dev/null

// WSL 환경의 경우 /mnt 디렉터리를 제외하고 싶다면?
$ find / -path /mnt -prune -o -name python 2>/dev/null

윈도우의 경우에는 "dir /a/s ssl.h"라고 하는 것과 유사합니다.




openssl의 초기화 시 인증서와 키 파일의 경로를 지정해야 하는데, 실행 모듈의 경로와 같은 위치에 있는 것을 지정하려고 다음과 같이 사용하면,

int use_cert = SSL_CTX_use_certificate_file(sslContext, "test.pem", SSL_FILETYPE_PEM);
int use_prv = SSL_CTX_use_PrivateKey_file(sslContext, "key.pem", SSL_FILETYPE_PEM);

아래와 같이 해당 실행 모듈이 있는 경로로 이동 후 실행하면 정상적으로 파일을 찾는 반면,

$ cd /share
$ ./test.out

다른 경로에서 직접 실행하게 되면,

$ /share/test.out

test.out과 같은 위치의 파일을 못 찾고 pwd로 출력한 경로를 기준으로 찾게 됩니다. 사실 윈도우에서도 그렇기 때문에 당연한 결과입니다. 따라서 GetModuleFileName과 같은 Win32 API를 사용해 모듈 경로를 직접 구하는 식의 전처리가 필요한데요, 리눅스에서는 "/proc/[pid]/exe"라는 링크를 통해 실행 모듈의 경로를 구할 수 있습니다.

How to find the full path of the C++ Linux program from within?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051844/how-to-find-the-full-path-of-the-c-linux-program-from-within

[pid]가 아닌 현재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 내에서라면 self 문자열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proc/self/exe

다음은 "How to find the full path of the C++ Linux program from within?" 글의 답변을 참고해 작성한 것입니다.

void get_module_dir_path(char modulePath[])
{
    char arg1[] = "/proc/self/exe";
    char exepath[PATH_MAX + 1] = { 0 };

    readlink(arg1, exepath, PATH_MAX);
    strcpy(modulePath, dirname(exepath));

    printf("module path: %s\n", modulePath);
}

암튼, 제가 리눅스 초보자이다 보니 간단한 Win32 API에 상응하는 수준의 것도 저렇게 찾아보게 되는군요. ^^




참고로, 위의 정보를 기반으로 지난번에 만들었던 라즈베리 파이 제로를 위한 가상 USB 키보드/마우스 장치에 SSL 소켓 서버를 구현해 두었습니다. ^^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 https://www.sysnet.pe.kr/2/0/11369

rasp_vusb 
; https://github.com/stjeong/rasp_vusb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7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3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4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35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 https://www.sysnet.pe.kr/2/0/11364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 https://www.sysnet.pe.kr/2/0/11369

라즈베리 파이 용 C++ 프로젝트에 SSL Socket 적용
; https://www.sysnet.pe.kr/2/0/11411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 https://www.sysnet.pe.kr/2/0/11373

Linux 3: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 https://www.sysnet.pe.kr/2/0/11374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82정성태3/11/202011216.NET Framework: 901. C# Windows Forms - Vista/7 이후의 Progress Bar 업데이트가 느린 문제파일 다운로드1
12181정성태3/11/202011997기타: 76. 재현 가능한 최소한의 예제 프로젝트란? - 두 번째 예제파일 다운로드1
12180정성태3/10/20208624오류 유형: 600. "Docker Desktop for Windows" - EXPOSE 포트가 LISTENING 되지 않는 문제
12179정성태3/10/202020052개발 환경 구성: 481. docker - PostgreSQL 컨테이너 실행
12178정성태3/10/202011563개발 환경 구성: 480.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1]
12177정성태3/9/202011164개발 환경 구성: 479. docker - MySQL 컨테이너 실행
12176정성태3/9/202010578개발 환경 구성: 478. 파일의 (sha256 등의) 해시 값(checksum) 확인하는 방법
12175정성태3/8/202010700개발 환경 구성: 477. "Docker Desktop for Windows"의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12174정성태3/7/202010248개발 환경 구성: 476. DockerDesktopVM의 파일 시스템 접근 [3]
12173정성태3/7/202011226개발 환경 구성: 475. docker - SQL Server 2019 컨테이너 실행 [1]
12172정성태3/7/202016119개발 환경 구성: 474. docker - container에서 root 권한 명령어 실행(sudo)
12171정성태3/6/202011092VS.NET IDE: 143. Visual Studio - ASP.NET Core Web Application의 "Enable Docker Support" 옵션으로 달라지는 점 [1]
12170정성태3/6/20209709오류 유형: 599. "Docker Desktop is switching..." 메시지와 DockerDesktopVM CPU 소비 현상
12169정성태3/5/202011725개발 환경 구성: 473. Windows nanoserver에 대한 docker pull의 태그 사용 [1]
12168정성태3/5/202012415개발 환경 구성: 472. 윈도우 환경에서의 dockerd.exe("Docker Engine" 서비스)가 Linux의 것과 다른 점
12167정성태3/5/202011669개발 환경 구성: 471. C# -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 DB2 Express-C 데이터베이스 사용 (3) - ibmcom/db2express-c 컨테이너 사용
12166정성태3/4/202011296개발 환경 구성: 470. Windows Server 컨테이너 - DockerMsftProvider 모듈을 이용한 docker 설치
12165정성태3/2/202010970.NET Framework: 900. 실행 시에 메서드 가로채기 - CLR Injection: Runtime Method Replacer 개선 - 네 번째 이야기(Monitor.Enter 후킹)파일 다운로드1
12164정성태2/29/202011793오류 유형: 598. Surface Pro 6 - Windows Hello Face Software Device가 인식이 안 되는 문제
12163정성태2/27/202010254.NET Framework: 899. 익명 함수를 가리키는 delegate 필드에 대한 직렬화 문제
12162정성태2/26/202013059디버깅 기술: 166. C#에서 만든 COM 객체를 C/C++로 P/Invoke Interop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6]파일 다운로드2
12161정성태2/26/20209699오류 유형: 597. manifest - The value "x64" of attribute "processorArchitecture" in element "assemblyIdentity" is invalid.
12160정성태2/26/202010368개발 환경 구성: 469.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
12159정성태2/26/20208544오류 유형: 596. Visual Studio - The project needs to include ATL support
12158정성태2/25/202010367디버깅 기술: 165. C# - Marshal.GetIUnknownForObject/GetIDispatch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파일 다운로드1
12157정성태2/25/202010304디버깅 기술: 164. C# - Marshal.GetNativeVariantForObject 사용 시 메모리 누수(Memory Leak) 발생 및 해결 방법파일 다운로드1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