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윈도우 폼을 열고 닫는 것만으로 메모리 leak이 발생할까?

마침 지난번에 쓴 글과,

DataTable에 대해서 Dispose 메서드를 호출할 필요가 있을까?
; https://www.sysnet.pe.kr/2/0/1141

비슷한 질문이 올라왔군요. ^^

C# 메모리 관리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17&MAEULNO=8&no=140384&ref=140384

위의 질문의 요지는, 윈도우 폼을 열고 닫기만 해도 메모리가 지속적으로 증가한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건 상당히 민감한 사항이면서도 한편으로는 중요도가 떨어집니다. 왜냐하면, 윈도우 폼 프로그램에서 윈도우는 너무나 빈번하게 사용되는 자원이기 때문에 메모리 누수가 있다는 것은 굉장한 이슈거리이긴 하지만,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치고 윈도우를 수만개 띄우는 일은 드물기 때문에 설령 어느 정도의 누수가 있다고 해도 보통의 프로그램에서 심각한 수준의 상황을 겪는 것은 흔치 않습니다.

어쨌든. ^^ 메모리 누수가 있다고 하니 한번 테스트를 해봐야 겠지요.

제가 테스트 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일단, Form2를 다음과 같이 만들고, (Finalizer 구현은 굳이 할 필요가 없지만 질문한 사람의 예제 코드와 최대한 비슷하게 구성하기 위해 남겨두었습니다.)

public partial class Form2 : Form
{
    public Form2()
    {
        InitializeComponent();
    }

    ~Form2()
    {
    }
}

Form1에서는 버튼을 누르면 윈도우 폼을 생성/닫기 를 반복할 수 있도록 다음과 같이 코드를 구성했습니다.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NewWindowTest();
}

int windowCount;
private void NewWindowTest()
{
    windowCount++;
    Form2 form = new Form2();
    form.Show();
    form.Shown += new EventHandler(form_Shown);
}

void form_Shown(object sender, EventArgs e)
{
    ((sender) as Form).Close();
    NewWindowTest();
}

이와 함께, 지난번 글에서 써 먹었던 리소스 출력 코드를 별도의 스레드로 구성했습니다.

Thread thread = new Thread(ThreadFunc);
thread.IsBackground = true;
thread.Start();

void ThreadFunc(object state)
{
    while (true)
    {
        Process currentProcess = Process.GetCurrentProcess();

        string txt = string.Format("{0,6}, {1,6}, {2,6}, {3,10}, {4,10}, {5,10}, {6,10}", GC.CollectionCount(0),
            GC.CollectionCount(1), GC.CollectionCount(2), GC.GetTotalMemory(false),
            currentProcess.WorkingSet64,
            currentProcess.PrivateMemorySize64, windowCount);
        System.Diagnostics.Trace.WriteLine(txt);

        Thread.Sleep(1000 * 2);
    }
}

누수를 위한 메모리 체크는 Private 메모리 크기를 출력하는 것으로 만족될 수 있습니다. 자, 그럼 이 정도로 끝내고 실제로 프로그램을 실행해서 결과를 확인해 볼까요? ^^

           GC #0   GC #1    GC #2   Heap    WorkingSet    Private        # of Window
[6384]      1,      1,      1,    5039452,   26103808,   23621632,          0 
[6384]      1,      1,      1,    5813380,   26984448,   24203264,         12 
[6384]      1,      1,      1,    7114760,   26562560,   22048768,        145 
[6384]      2,      2,      2,    2109168,   26783744,   22421504,        357 
[6384]      2,      2,      2,    3825176,   27041792,   22855680,        572 
[6384]      2,      2,      2,    5547620,   27959296,   23957504,        784 
[6384]      3,      2,      2,    3847020,   28241920,   24375296,        990 
[6384]      3,      2,      2,    5409380,   28405760,   24707072,       1172 
...
[6384]      4,      3,      2,    7102076,   29995008,   26935296,       1882 
...
[6384]      5,      4,      3,    1159908,   28655616,   24010752,       2039 
...
[6384]     13,      8,      5,    6469808,   30392320,   26259456,       7874 
...
[6384]     23,     13,      7,    6685392,   31055872,   27586560,      14427 
[6384]     23,     13,      7,    8596928,   29704192,   24686592,      14684 
...
[6384]     50,     27,     14,    7716320,   31125504,   27545600,      32973 
[6384]     51,     27,     14,    6413320,   31272960,   27865088,      33245 
[6384]     52,     28,     15,    2847524,   29925376,   24977408,      33518 


보시는 것처럼, Private 메모리가 널을 뛰기는 하지만 결국 다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3만 개가 넘는 윈도우 생성/삭제를 반복했으니 실험값으로는 충분한 자료라고 보이는데.... 어떠세요? 이 정도면, 윈도우 생성/삭제로 인한 메모리 누수가 없다고 볼 수 있겠지요. ^^

첨부된 파일은 위의 코드를 포함한 예제 프로젝트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0/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1-10-11 02시37분
[lancers] 요즘 진짜 심심한가 보군요.
devpia까지 다시 보는 걸 보면.. (아님 재선정을 위한 대비? ㅋㅋㅋ)
[guest]
2011-10-12 02시15분
음... 심심할 여유 없이 살고는 있는데, ^^ 후자라고 봐야겠지요. ^^ 많은 활동을 할 수는 없고, 질문/답변만이라도... ^^;
(그나저나, 딱히 추가할 만한/적절한 활동후보가 없네요. ^^)
정성태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231정성태6/15/202010858.NET Framework: 911. Console/Service Application을 위한 SynchronizationContext - AsyncContext
12230정성태6/15/202010212오류 유형: 617. IMetaDataImport::GetMethodProps가 반환하는 IL 코드 주소(RVA) 문제
12229정성태6/13/202012064.NET Framework: 910.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 Mouse 가상 장치 만들기 [1]
12228정성태6/12/202012155.NET Framework: 909.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파일 다운로드1
12227정성태6/12/202016121오류 유형: 616. Visual Studio의 느린 업데이트 속도에 대한 원인 분석 [5]
12226정성태6/11/202013411개발 환경 구성: 493. OpenVPN의 네트워크 구성 [4]파일 다운로드1
12225정성태6/11/202012416개발 환경 구성: 492.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클라이언트 측 구성
12224정성태6/11/202020336개발 환경 구성: 491. 윈도우에 OpenVPN 설치 - 서버 측 구성 [1]
12223정성태6/9/202014262.NET Framework: 908. C# - Source Generator 소개 [10]파일 다운로드2
12222정성태6/3/202010160VS.NET IDE: 146.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
12221정성태6/3/20209882Windows: 170.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로 symbolic link(junction) 연결하는 방법
12220정성태6/3/202012361.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12219정성태6/1/202011471.NET Framework: 906. C# - lock (this), lock (typeof(...))를 사용하면 안 되는 이유파일 다운로드1
12218정성태5/27/202011382.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3]
12217정성태5/24/20209863오류 유형: 615. Transaction count after EXECUTE indicates a mismatching number of BEGIN and COMMIT statements. Previous count = 0, current count = 1.
12216정성태5/15/202013007.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14]파일 다운로드1
12215정성태5/12/202018038개발 환경 구성: 490.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10]파일 다운로드1
12214정성태5/5/202010350개발 환경 구성: 489.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 UEFI/SecureBoot [1]
12213정성태5/3/202011992개발 환경 구성: 488.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
12212정성태5/1/20209654개발 환경 구성: 487. UEFI / Secure Boot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
12211정성태4/27/202011959개발 환경 구성: 486. WSL에서 Makefile로 공개된 리눅스 환경의 C/C++ 소스 코드 빌드
12210정성태4/20/202012420.NET Framework: 903. .NET Framework의 Strong-named 어셈블리 바인딩 (1) - app.config을 이용한 바인딩 리디렉션 [1]파일 다운로드1
12209정성태4/13/202010484오류 유형: 614. 리눅스 환경에서 C/C++ 프로그램이 Segmentation fault 에러가 발생한 경우 (2)
12208정성태4/12/20209967Linux: 29. 리눅스 환경에서 C/C++ 프로그램이 Segmentation fault 에러가 발생한 경우
12207정성태4/2/20208938스크립트: 19. Windows PowerShell의 NonInteractive 모드
12206정성태4/2/202011231오류 유형: 613. 파일 잠금이 바로 안 풀린다면? - The process cannot access the file '...' because it is being used by another process.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