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26.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676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PF + Direct2D + SharpDX 출력 C# 예제

지난 글에서 사용한,

WPF + Direct2D 출력 C#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1430

Direct2DControl 컨트롤이 다 좋은데, WindowsAPICodePack.DirectX 어셈블리에 의존성을 갖는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이로 인해 SharpDX 관련 타입들과의 연동도 힘든데요, 그래서 WindowsAPICodePack.DirectX 의존성을 떼어버리고 SharpDX로 변경한 Direct2DControl을 만들어 봤습니다. ^^

의존성만 바꿨기 때문에 사용법도 바뀐 것이 거의 없습니다. 첨부 파일은 지난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SharpDX 의존성으로 바꾼 예제입니다.




이것만 첨부하면 아쉬우니 ^^ 역시 지난 글에서 소개한 SharpDX.WPF 버전의 경우에도,

SharpDX.WPF
; https://sharpdxwpf.codeplex.com/

4.0.1 버전의 SharpDX로 마이그레이션한 프로젝트를 첨부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정성태11/14/200515086    답변글 .NET Framework: 26.1. ^^ 역시, 배려가 되어 있네요. 제가 못 찾은 것이었습니다.
102정성태2/16/200520068.NET Framework: 25. Verify that you are a member of the 'Debugger Users' group on the server. [2]
101정성태2/15/200517764.NET Framework: 24. WMI Win32_NTLogEvent 관리 이벤트를 Windows 2000 에서는 "Access Denied" 가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92정성태1/29/200518318.NET Framework: 23. Unmanaged 환경에서 Managed DLL에 정의된 메서드 호출 시 오류 확인하는 방법
90정성태1/27/200519712.NET Framework: 22. Debug: The underlying connection was closed: Unable to connect to the remote server.
86정성태1/23/200523267.NET Framework: 21. Code Snippet - Enum과 관련된 다양한 형변환 [1]
83정성태1/18/200526537.NET Framework: 20.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한 한 예.
73정성태11/14/200517602.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72정성태12/26/200419028.NET Framework: 18. .NET Framework 2.0 Beta 설치 후에 Windows SharePoint Service 오류 [1]
136정성태3/31/200518920    답변글 .NET Framework: 18.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를 설치한 이후 ASP.NET 오류 문제
68정성태10/31/200422128.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66정성태10/16/200420514.NET Framework: 16. [닷넷 리모팅] 프록시가 죽은 것을 원격 개체가 알 수 있는 방법은?
64정성태10/3/200423184.NET Framework: 15. ASP.NET에서 .NET COM+ 개체 등록 시 "Local System"이어야 하는 이유.
63정성태10/3/200423327.NET Framework: 14. Response.Cookies.Clear는 기존 설정된 Cookie 헤더를 삭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61정성태10/3/200421828.NET Framework: 13. Main 메서드에 붙은 STAThread 의미
60정성태10/3/200420537.NET Framework: 12. IDispatch::GetIDsOfNames 역변환 메서드 작성 힌트 ( DISPID 로 메서드 이름 알아내는 것 )
58정성태10/3/200423674.NET Framework: 11. HttpContext의 간략이해
56정성태10/3/200420094.NET Framework: 10. [.NET 리모팅] 원격개체를 호출한 클라이언트의 연결이 유효한지 판단하는 방법.
48정성태3/2/200420192.NET Framework: 9. 윈도우즈 발전사를 모아 둔 사이트. [1]
38정성태7/17/200321056.NET Framework: 8. IIS 서버 재설치와 ASP.NET 서비스의 문제점
36정성태7/17/200321767.NET Framework: 7. 시행착오 - WebService 참조 추가 오류
35정성태7/17/200322326.NET Framework: 6. Win2000에서의 .NET COM+ 자동 등록 오류 발생 해결
24정성태7/17/200321991.NET Framework: 5. (MHT 변환해서 가져온 글) .NET 의 COM+ 서비스 사용파일 다운로드1
23정성태7/17/200325679.NET Framework: 4. webservice.htc - HTML Script에서도 웹서비스 엑세스 [2]파일 다운로드1
22정성태7/17/200320223.NET Framework: 3. .NET Framework SDK 퀵 스타트 자습서
21정성태7/17/200319257.NET Framework: 2. 김현승님의 "ASP.NET & .NET EnterpriseServices & Remoting 코드 템플릿"
... 61  62  [63]  6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