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OWIN 웹 서버(EXE)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 HttpPlatformHandler (Reverse Proxy)

지난 글에서 일반적인 웹 서버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을 살펴봤습니다.

사용자 정의 웹 서버(EXE)를 IIS에서 호스팅하는 방법 - HttpPlatformHandler (Reverse Proxy)
; https://www.sysnet.pe.kr/2/0/11434

그런데, OWIN으로 만든 웹 서버의 경우 HttpPlatformHandler를 이용해 호스팅하는 경우 w3wp.exe의 자식 프로세스로 웹 서버 EXE가 살았다 죽었다를 빠르게 반복하다가 결국 웹 브라우저에서는 다음과 같은 오류 메시지만을 보게 됩니다.

HTTP Error 502.3 - Bad Gateway
There was a connection error while trying to route the request.

Most likely causes:
* The CGI application did not return a valid set of HTTP errors.
* A server acting as a proxy or gateway was unable to process the request due to an error in a parent gateway.

Things you can try:
* Use DebugDiag to troubleshoot the CGI application.
* Determine if a proxy or gateway is responsible for this error.

Detailed Error Information:

Module httpPlatformHandler 

Notification ExecuteRequestHandler 

Handler httpplatformhandler 

Error Code 0x8007065f 

Requested URL http://localhost:8094/ 

Physical Path D:\owin_core 

Logon Method Anonymous 

Logon User Anonymous 

More Information:
This error occurs when a CGI application does not return a valid set of HTTP headers, or when a proxy or gateway was unable to send the request to a parent gateway. You may need to get a network trace or contact the proxy server administrator, if it is not a CGI problem. 

아울러 이벤트 로그에는 다음의 메시지들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The description for Event ID 1000 from source HttpPlatformHandler cannot be found. Either the component that raises this event is not installed on your local computer or the installation is corrupted. You can install or repair the component on the local computer.

If the event originated on another computer, the display information had to be saved with the event.

The following information was included with the event: 

Process '5744' failed to start. Port = 25608, Error Code = '-2147023265'.

Error Code인 -2147023265 값은 0x8007065F이며, 의미하는 바는 "The Windows Installer service failed to start. Contact your support personnel."입니다.




그런데 지난번 예제로 만들었던 소켓 서버는 잘 동작했는데 왜 Owin 서버는 문제가 발생하는 걸까요? 그 차이점을 알기 위해 netstat -ano 명령어로 살펴봤습니다.

// 소켓 서버에서 29501 포트로 대기한 경우,
C:\temp> netstat -ano | findstr 29501
  Proto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
  TCP    127.0.0.1:29501        0.0.0.0:0              LISTENING       4928

// Owin 서버에서 29501 포트로 대기한 경우,
C:\temp> netstat -ano | findstr 29501
  Proto  Local Address          Foreign Address        State           PID
  TCP    127.0.0.1:29501        0.0.0.0:0              LISTENING       4

차이점이 보이시나요? 동작을 제대로 한 소켓 서버의 소유권은 해당 프로세스가 소유한 반면, 정상적이지 못했던 Owin 서버는 소켓 소유권이 4번 프로세스(System)에 있습니다. 그러고 보니 System 프로세스가 소켓 소유권을 가지는 상황을 이전에 겪은 적이 있습니다.

IIS의 80 포트를 공유하는 응용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55

정말 저것 때문에 그런 것인지 간단하게 HttpListener를 이용한 예제를 만들어,

using System;
using System.Net;
using System.Text;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int Main(string[] args)
        {
            StartHTTP();
            return 0;
        }

        private static void StartHTTP()
        {
            int port = GetPort();

            HttpListener httpServer = new HttpListener();

            httpServer.Prefixes.Add($"http://localhost:{port}/");
            httpServer.AuthenticationSchemes = AuthenticationSchemes.Anonymous;
            httpServer.Start();

            httpServer.BeginGetContext(ProcessRequest, httpServer);

            Thread.Sleep(-1);
        }

        static void ProcessRequest(IAsyncResult ar)
        {
            HttpListener listener = ar.AsyncState as HttpListener;
            HttpListenerContext ctx = listener.EndGetContext(ar);

            HttpListenerRequest req = ctx.Request;
            HttpListenerResponse resp = ctx.Response;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b.Append("<html><body><h1>" + DateTime.Now + "</h1>");
            sb.Append("</body></html>");

            byte[] buf = Encoding.UTF8.GetBytes(sb.ToString());
            resp.OutputStream.Write(buf, 0, buf.Length);
            resp.OutputStream.Close();

            listener.BeginGetContext(ProcessRequest, listener);
        }

        private static int GetPort()
        {
            int port = 29501;

            string value = Environment.GetEnvironmentVariable("HTTP_PLATFORM_PORT");
            if (int.TryParse(value, out int userPort) == true)
            {
                port = userPort;
            }

            return port;
        }
    }
}

(위의 코드는 첨부 파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지난번 글에서와 같이 테스트를 할 수 있습니다. 위의 예제 코드로 HttpPlatformHandler를 연결하면 Owin 서버와 마찬가지로 HTTP Error 502.3 - Bad Gateway 오류가 발생합니다.




실제로 Owin 서버는 내부적으로 HttpListener를 사용합니다. 그렇다면 Owin 서버를 HttpPlatformHandler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HttpListener를 Socket으로 교체를 해야 합니다. 다행히 ^^ 찾아보면 이에 대한 작업을 github에서 볼 수 있습니다.

Bobris/Nowin 
; https://github.com/Bobris/Nowin

그래서 다음과 같이 Owin 서버를 만들게 되면,

// Install-Package Nowin -Version 0.26.0
// https://www.nuget.org/packages/Nowin/

static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port = GetPort();
        string baseAddress = $"http://127.0.0.1:{port}/";

        var options = new StartOptions(baseAddress)
        {
            ServerFactory = "Nowin",
        };

        using (WebApp.Start<Startup>(options))
        {
            Thread.Sleep(-1);
        }
    }

    private static int GetPort()
    {
        int port = 29501;

        string value = Environment.GetEnvironmentVariable("HTTP_PLATFORM_PORT");
        if (int.TryParse(value, out int userPort) == true)
        {
            port = userPort;
        }

        return port;
    }
}

(위의 코드는 첨부 파일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정상적으로 HttpPlatformHandler와 연동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6/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55정성태10/9/200624991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파일 다운로드2
353정성태12/31/200633284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
354정성태10/23/20063587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372정성태12/31/20063773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
373정성태10/24/20062911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74정성태10/25/200626375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391정성태11/7/20063051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377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2826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037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207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497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0919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0620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3150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1930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5696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19229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18433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0256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050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19670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19165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338정성태2/4/200727416개발 환경 구성: 12. BUG: 웹 서비스에서 DataTable 사용하기 [2]파일 다운로드1
350정성태10/2/200620616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2.1. ASMX 2.0 and SchemaImporterExtensions파일 다운로드1
335정성태8/20/200628375디버깅 기술: 8. COM+ 서버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F5 디버깅 방법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