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SP.NET Core 배포 오류 - Ensure that restore has run and that you have included '...' in the TargetFrameworks for your project.

.NET Framework 기반의 ASP.NET Core 프로젝트를 Platform target을 x64로 맞춰놓고 배포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rror Assets file 'F:\WebApplication1\WebApplication2\obj\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NETFramework,Version=v4.6.1/win7-x86'. Ensure that restore has run and that you have included 'net461' in the TargetFrameworks for your project. You may also need to include 'win7-x86' in your project's RuntimeIdentifiers. WebApplication2 C:\Program Files (x86)\dotnet\sdk\2.0.0\Sdks\Microsoft.NET.Sdk\build\Microsoft.PackageDependencyResolution.targets 165


또는 x86인 Platform target을 x64로 교체할 때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Could not resolve mscorlib for target framework '.NETFramework,Version=v4.6.1'. This can happen if the target framework is not installed or if the framework moniker is incorrectly formatted.

A diagnostic log has been written to the following location: "%LOCALAPPDATA%\Temp\VsProjectFault_6a426165-170b-469e-a2b1-3b690f7c907d.failure.txt".


이를 해결하려면, Visual Studio의 "Configuration Manager" 설정까지도 "AnyCPU"가 아닌 "x64"로 맞춰야 합니다.

conf_manager_1.png

만약 이렇게 맞춰도 오류가 계속된다면 Publish 설정(Settings) 메뉴를 선택해,

conf_manager_2.png

"Configuration"이 AnyCPU가 아닌 x64로 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conf_manager_3.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8/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0정성태12/16/201912703.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14023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13840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13399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1563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2352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2018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13844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1279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13539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15738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2096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15660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2182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1945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0828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12971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2093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2177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2380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12997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12377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13175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57정성태11/18/201910166오류 유형: 579.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12056정성태11/18/201914121개발 환경 구성: 464.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055정성태11/17/20199711개발 환경 구성: 463. Visual Studio의 Ctrl + Alt + M, 1 (Memory 1) 등의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