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12.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전역 객체의 내용을 조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60

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정적(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87

.NET Framework: 957. C# - static 필드의 정보가 GC Heap에 저장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2387

디버깅 기술: 182.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AppDomain에 걸친 정적(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004

디버깅 기술: 193. Windbg - Thread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14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전역 객체의 내용을 조사하는 방법

대개의 경우 닷넷 프로세스의 메모리 덤프를 조사하면 스레드 별로 하게 됩니다. 그래서 보통은 호출 스택에 연관된 메서드의 인자 값이나 로컬 변수에 담긴 값들을 조사하는 경우가 대부분인데요.

그래도 가끔 전역 객체의 내용을 조사하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때 사용할 수 있는 전형적인 명령어가 바로 -type 인자를 준 dumpheap입니다. 가령 전역 객체의 타입이 (네임스페이스는 ConsoleApp1이고) MyObject인 경우 다음과 같이 조회할 수 있습니다.

0:000> !dumpheap -type ConsoleApp1.MyObject
         Address               MT     Size
000000afdbe480d0 00007ffaa77d0590       24     

Statistics:
              MT    Count    TotalSize Class Name
00007ffaa77d0590        1           24 ConsoleApp1.MyObject
Total 1 objects
Fragmented blocks larger than 0.5 MB:
            Addr     Size      Followed by
000000b00e27a8d0    0.8MB 000000b00e34b320 System.Threading.Tasks.Task`1[[System.Boolean, mscorlib]]
000000b00e34b370    0.9MB 000000b00e4305d0 Microsoft.Extensions.DependencyInjection.ServiceLookup.CallSiteExpressionBuilder+<>c__DisplayClass16_1
000000b00e5bd400    0.9MB 000000b00e6ab1e8 System.Threading.CdsSyncEtwBCLProvider
000000b00f527a80    1.8MB 000000b00f6f8828 System.Byte[]

다행히 위의 경우에는 MyObject 타입의 인스턴스가 1개뿐이 없습니다. (이런 식이라면 Singleton 패턴의 인스턴스는 덤프 파일에서 그 내용을 쉽게 조회할 수 있다는 의미가 됩니다.)

해당 객체가 놓인 관리 힙 주소(000000afdbe480d0)를 구했으니 나머지는 일반적인 sos.dll의 명령어를 사용해 멤버 값을 조회해 나갈 수 있습니다. 가령, 일반적인 수순에 따라 do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내려보는 정도일 것입니다.

0:000> !DumpObj 000000afdbe480d0
Name:        ConsoleApp1.MyObject
MethodTable: 00007ffaa77d0590
EEClass:     00007ffaa77ab168
Size:        24(0x18) bytes
File:        C:\Windows\Microsoft.Net\assembly\GAC_MSIL\ConsoleApp1\v1.0_1.1.1.1__cc862a9be44088eb\ConsoleApp1.dll
Fields:
              MT    Field   Offset                 Type VT     Attr            Value Name
00007ffaa77d0590  4000aca      618 ...MyObject  0   static 000000afdbe480d0 _instance
00007ffaa77d0db0  4000acb      620 ....Hashtable  0   static 000000afdbe480e8 _activelist
00007ffaa2a33d00  4000acc        0 ...acer.myList  0 TLstatic  _myList
    >> Thread:Value 530:0000000000000000 7ac:0000000000000000 6a8:0000000000000000 7d4:0000000000000000 28ac:0000000000000000 1c7c:0000000000000000 3f24:0000000000000000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4/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999정성태2/28/201146580개발 환경 구성: 108.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5]
998정성태2/27/201120278Team Foundation Server: 42. TFS Application-Tier만 재설치
996정성태2/12/201137727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
995정성태2/11/201156257.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4]
994정성태2/10/201136202디버깅 기술: 34.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1]
993정성태2/10/201128519개발 환경 구성: 107. 하나의 WPF 프로젝트를 WinExe / Library로 빌드하는 방법
992정성태10/15/201129374개발 환경 구성: 106. VSS(Volume Shadow Service)를 이용한 Hyper-V VM 백업/복원 [2]
991정성태2/6/201148845개발 환경 구성: 105.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4]
990정성태2/2/201134002개발 환경 구성: 104. Visual C++ Custom Build Tool 사용예 [1]파일 다운로드1
989정성태2/1/201130514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988정성태1/30/201126693개발 환경 구성: 102. MSBuild - DefineConstants에 다중 전처리 값 설정
987정성태1/29/201139859디버깅 기술: 33. PDB Symbol 로드 오류 - Cannot find or open the PDB file. [2]
986정성태1/26/201131293.NET Framework: 204. 분리된 ThreadPool 사용 - Smart Thread Pool
985정성태1/25/201127944디버깅 기술: 32. 인증서로 서명된 닷넷 어셈블리의 실행 지연 현상
984정성태1/25/201122652개발 환경 구성: 101. SharePoint 2010 - Form Design
983정성태1/23/201127701제니퍼 .NET: 15. 눈으로 확인하는 maxWorkerThreads, minFreeThreads 설정값 [1]
982정성태1/22/201125004개발 환경 구성: 100. SharePoint 2010 - iPad 친화적인 게시판 만들기 (사용자 지정 목록) [1]
981정성태1/19/201120884개발 환경 구성: 99. SharePoint 2010 - 웹 애플리케이션 생성 시 고려해야 할 점. [1]
980정성태1/19/201132342개발 환경 구성: 98. SharePoint 2010 - Office Web Apps 설치
979정성태1/18/201125004개발 환경 구성: 97. SharePoint 2010 팀 사이트 구성
978정성태1/16/201131967.NET Framework: 203. VPN 자동 연결 및 Router 설정 추가
977정성태1/12/201131305개발 환경 구성: 96. SharePoint 2010 설치 [5]
976정성태1/11/201153942오류 유형: 111. IIS - 500.19 오류 (0x8007000d)
975정성태1/10/201128186.NET Framework: 202. CLR JIT 컴파일러가 생성한 기계어 코드 확인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974정성태1/8/201126974.NET Framework: 201. 윈폼 TreeView - Bold 폰트 설정 후 텍스트가 잘리는 문제 [1]파일 다운로드1
973정성태1/7/201126314.NET Framework: 200. IIS Metabase와 ServerManager 개체 활용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