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454.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오류 - 0x800705b4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5042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116.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 0x8020000E
; https://www.sysnet.pe.kr/2/0/1018

오류 유형: 415. 윈도우 업데이트 에러 Error 0x80070643
; https://www.sysnet.pe.kr/2/0/11273

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 https://www.sysnet.pe.kr/2/0/11333

오류 유형: 454.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오류 - 0x800705b4
; https://www.sysnet.pe.kr/2/0/11461

오류 유형: 900. Windows Update 오류 - 8024402C, 80070643
; https://www.sysnet.pe.kr/2/0/13587




윈도우 업데이트 설치 오류 - 0x800705b4

어느 순간 가상 머신들 중 3대에서 윈도우 업데이트의 KB4074590 패치가 다음과 같은 메시지와 함께 계속 실패했던 것으로 나옵니다.

There were some problems installing updates, but we'll try again later. If you keep seeing this and want to search the web or contact support for information, this may help: (0x800705b4)


VM 중의 하나는 이벤트 로그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Windows Error Reporting
Date:          2018-03-07 오후 3:20:50
Event ID:      1001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ad.testad.com
Description:
Fault bucket , type 0
Event Name: WindowsUpdateFailure3
Response: Not available
Cab Id: 0

Problem signature:
P1: 10.0.14393.1914
P2: 8024000b
P3: F5F58231-AC5D-4640-AB1B-9DC8D857C265
P4: Install
P5: 200
P6: 0
P7: 8024000b
P8: UpdateOrchestrator
P9: {7971F918-A847-4430-9279-4A52D1EFE18D}
P10: 0

또 다른 VM에는 다음과 같은 Setup 범주의 로그도 있습니다.

Log Name:      Setup
Source:        Microsoft-Windows-Servicing
Date:          2018-03-07 오후 6:03:18
Event ID:      3
Task Category: (1)
Level:         Information
Keywords:      
User:          SYSTEM
Computer:      testdb.testad.com
Description:
Package KB4074590 failed to be changed to the Installed state. Status: 0x800f0821.

참고로, 좀 더 자세한 업데이트 오류 로그는 "C:\Windows\SoftwareDistribution" 폴더에 있는 ReportingEvents.log 파일에 있습니다. 이 파일은 누적 로그이기 때문에 지난 시간의 업데이트에 대한 기록도 포함하고 있어 시간을 함께 보며 판단해야 합니다.

암튼, 3대의 VM에 기록된 오류를 보면 다음과 같은 메시지들이 상황에 따라 나옵니다.

Windows failed to install the following update with error 0x8024001e: 2018-02 Cumulative Update for Windows Server 2016 for x64-based Systems (KB4074590).
Windows failed to install the following update with error 0x80246010: 2018-02 Cumulative Update for Windows Server 2016 for x64-based Systems (KB4074590).
Windows failed to install the following update with error 0x80242fff: 2018-02 Cumulative Update for Windows Server 2016 for x64-based Systems (KB4074590).
Windows failed to install the following update with error 0x800f0922: Security Update for Windows (KB4074590).




이번에도 역시 예의 그 문제라고 생각해,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 https://www.sysnet.pe.kr/2/0/11362

처리해 보았으나... 해결이 안 되었습니다. 오호~~~ 이번엔 뭔가 다른가 봅니다. ^^; 검색을 해보면, "SFC /Scannow"이나 dism을 이용한 방법들이 나오는데 제 경우에는 다음과 같이 아무런 문제가 없었습니다.

C:\WINDOWS\system32>SFC /Scannow

Beginning system scan.  This process will take some time.

Beginning verification phase of system scan.
Verification 100% complete.

Windows Resource Protection did not find any integrity violations.

C:\WINDOWS\system32>Dism /Online /Cleanup-Image /CheckHealth

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 tool
Version: 10.0.14393.0

Image Version: 10.0.14393.0

No component store corruption detected.
The operation completed successfully.

C:\WINDOWS\system32>Dism /Online /Cleanup-Image /ScanHealth

Deployment Image Servicing and Management tool
Version: 10.0.14393.0

Image Version: 10.0.14393.0

[==========================100.0%==========================] No component store corruption detected.
The operation completed successfully.

혹시나 싶어 저렇게 실행해 본 후 윈도우 업데이트를 다시 시도해봤지만 역시나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좀 더 검색해 보니 다음의 글이 나옵니다.

Windows Update KB4074590 fails
; https://social.technet.microsoft.com/Forums/windowsserver/en-US/b8b1b2fe-e54c-416d-9dc7-df8c7751cc9f/windows-update-kb4074590-fails?forum=ws16essentials

위의 답글에서 off-line 설치 용의 업데이트 파일을 구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옵니다. 즉, 다음의 사이트에 방문해,

Microsoft®Update 카탈로그 
; http://catalog.update.microsoft.com/v7/site/Home.aspx

이렇게 "KB4074590", "x64" 검색어로 찾아보면,

http://catalog.update.microsoft.com/v7/site/Search.aspx?q=KB4074590%20x64

(제 경우에는 Windows Server 2016이었으므로) 관련 업데이트 파일이 다음과 같이 2개가 나옵니다.

[한글]
2018-02 x64 기반 시스템용 Windows Server 2016에 대한 델타 업데이트(KB4074590) 
2018-02 x64 기반 시스템용 Windows Server 2016에 대한 누적 업데이트(KB4074590) 

[영문]
2018-02 Delta Update for Windows Server 2016 for x64-based Systems (KB4074590)  326.7MB
2018-02 Cumulative Update for Windows Server 2016 for x64-based Systems (KB4074590) 1143.3MB

이 중에서 우리가 실패한 "Cumulative Update for Windows Server 2016 for x64-based Systems (KB4074590)" 업데이트에 해당하는 것은 2번째 것이므로 그것을 다운로드해 설치합니다.




이로써 윈도우 업데이트에 실패한 경우 2가지 시도를 해볼 수 있습니다. 1) C:\Windows\SoftwareDistribution\Download 폴더를 삭제해 보거나, 2) 독립 설치 파일을 내려받아 직접 실행하거나!

참고로 아래의 글을 보면,

Error code 0x800f0821 while installing optional features
; https://answers.microsoft.com/en-us/windows/forum/windows_10-windows_install-winpc/error-code-0x800f0821-while-installing-optional/bab195cc-a761-4287-810f-d7850bb8ae2a

C:\Windows\SoftwareDistribution\Download 폴더가 아닌 그 상위의 "C:\Windows\SoftwareDistribution" 수준에서 삭제(이름 변경)하라는 내용이 나옵니다.

net stop wuauserv
rename c:\windows\SoftwareDistribution softwaredistribution.old
net start wuauserv

다음번엔 이렇게도 한번 해봐야겠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3/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8-06-27 12시55분
독립 설치 파일로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 간혹 "Installer encountered an error: 0x8024800c"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검색해 보면 "c:\windows\SoftwareDistribution" 폴더에 대한 잠금을 획득하지 못해서 그런 경우라는데 실제로 윈도우의 자동 업데이트와 경합을 벌이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따라서, 0x8024800c 오류가 발생해도 그냥 다시 실행하면 (확률적으로) 잘 넘어가게 됩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Windows Update" 서비스를 (독립 설치 파일로 실행하는 동안) 비활성화시키면 안됩니다. 왜냐하면 독립 설치 파일로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에도 내부적으로는 "Windows Update" 서비스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활성화된 경우 역시 다른 오류 코드와 함께 에러가 발생하게 됩니다. (저도 아직 해보지는 않았지만 Windows Update를 건드리는 것 보다는 해당 업데이트를 하지 않도록 윈도우 업데이트 설정에서 잠시 막아두는 것이 더 좋을 수 있습니다.)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904정성태4/27/201527142DDK: 6. ZwTerminateProcess로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Device Driver 프로그램 [2]파일 다운로드1
2903정성태4/20/201520560Windows: 110.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Azure에서 제공하는 계정 관리 서비스
2902정성태4/16/201526534Windows: 109.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Active Directory 이해
2901정성태4/15/201523135Windows: 108. (무료) 마이크로소프트 온라인 강좌 소개 - Windows Server 2012 R2 주요 기술 (Hyper-V 관점)
2900정성태3/24/201522203오류 유형: 279. robocopy 오류 - The file cannot be accessed by the system [4]
2899정성태3/24/201530351개발 환경 구성: 264. Visual Studio 2013 솔루션을 2015로 마이그레이션
2898정성태3/24/201520940개발 환경 구성: 263. SharePoint 2013을 Windows Server 2012 R2에 설치
2897정성태3/18/201519571오류 유형: 278. LoadLibrary("...") failed - Invalid access to memory location.
2896정성태3/18/201519738VC++: 90. Visual Studio 2013에서 Visual Basic 6용 ATL Control 제작
2895정성태3/18/201522794VC++: 89. Visual Studio 2015 - auto 반환 타입 및 thread_local 예약어 지원(C++ 11 표준) [2]
2894정성태3/18/201521053.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2893정성태3/18/201521120오류 유형: 277. command line error MIDL1004: cannot execute C preprocessor cl.exe
2892정성태3/17/201526007오류 유형: 276. robocopy - Logon failure: unknown user name or bad password.
2891정성태3/17/201542157개발 환경 구성: 262. Visual Basic 6 (Enterprise Edition)을 Windows 7 x86에 설치하는 방법 [1]
2890정성태3/17/201524496오류 유형: 275. Internet Explorer - This page can't be displayed
2889정성태3/17/201525183Windows: 107. (2015-03-12) 업데이트 이후 작업 표시줄 또는 탐색기의 반응이 느려지는 문제 [1]
2888정성태3/17/201523168.NET Framework: 508. Visual Studio 빌드 - fatal error C1033: cannot open program database ''
2887정성태3/13/201520436.NET Framework: 507. CoreFx 빌드하는 방법
2886정성태3/13/201522182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
2885정성태3/13/201533513VS.NET IDE: 99. Visual Studio는 2019는 32비트, 2022부터 64비트 버전입니다. [2]
2884정성태3/12/201526810.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5]
2883정성태3/10/201523982.NET Framework: 505. OpenCover 소스 코드 분석을 Visual Studio 2013에서 하는 방법 [1]
2882정성태3/10/201522860.NET Framework: 504. OpenCover 코드 커버리지 도구의 동작 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Calli IL 코드 사용법
2881정성태3/9/201523308개발 환경 구성: 261. OpenCover 오픈 소스를 이용한 .NET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2880정성태3/7/201521630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26618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