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460. windbg - sos 명령어 수행 시 c0000006 오류 발생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24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indbg - sos 명령어 수행 시 c0000006 오류 발생

!clrstack은 잘 되는데,

0:350> !clrstack 
OS Thread Id: 0x1544 (350)
ESP       EIP     
4cdbee34 7c9683ac [HelperMethodFrame: 4cdbee34] 
4cdbeea0 062c6fed System.String.ToCharArray(Int32, Int32)
4cdbeec4 062c6b39 System.Text.StringBuilder.AppendFormat(System.IFormatProvider, System.String, System.Object[])
4cdbef0c 0ee0a58e System.Diagnostics.StackTrace.ToString(TraceFormat)
4cdbef64 0ee0e052 System.Diagnostics.StackTrace.ToString()
4cdbef68 2b8e6ec5 TestApp.ThreadDumper.GetCallStack(System.Threading.Thread, Boolean ByRef)
4cdbf010 090d41b4 TestApp.AutoCallStackThread.dumpRepeatCallStack(TestApp.CancellableThread)
4cdbf0fc 090d2f95 TestApp.AutoCallStackThread.repeatCallStackFunc(System.Object)
4cdbf158 08c7688b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_Context(System.Object)
4cdbf168 08c76382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TryCode(System.Object)
4cdbf598 79e71b4c [HelperMethodFrame_PROTECTOBJ: 4cdbf598]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RuntimeHelpers.ExecuteCodeWithGuaranteedCleanup(TryCode, CleanupCode, System.Object)
4cdbf600 08c758dc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Internal(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4cdbf61c 08c756b7 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Run(System.Threading.ExecutionContext, System.Threading.ContextCallback, System.Object)
4cdbf634 08c75603 System.Threading.ThreadHelper.ThreadStart(System.Object)
4cdbf860 79e71b4c [GCFrame: 4cdbf860] 
4cdbfb50 79e71b4c [ContextTransitionFrame: 4cdbfb50] 

-a 옵션을 넣는 경우 이런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0:350> !clrstack -a
OS Thread Id: 0x1544 (350)
ESP       EIP     
4cdbee34 7c9683ac [HelperMethodFrame: 4cdbee34] 
4cdbeea0 062c6fed System.String.ToCharArray(Int32, Int32)c0000006 Exception in f:\dump\sos.dll.clrstack debugger extension.
      PC: 638d96f0  VA: 638d96f0  R/W: 8  Parameter: c000026e

제 경험으로 볼 때, 저렇게 sos.dll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는 예전 버전의 sos.dll을 사용할 때입니다. 이런 식으로 windbg에서 c0000006 오류가 발생하면 그 이후의 명령들이 모두 먹통이 됩니다. 즉, dso와 같은 명령어를 수행하려고 해도 다음과 같이 나옵니다.

0:350> !dso
c0000006 Exception in f:\dump\sos.dll.dso debugger extension.
      PC: 638daa00  VA: 638daa00  R/W: 8  Parameter: c000026e

재미있는 것은, 이럴 때 당황하지 마시고 ^^ windbg를 다시 실행해 덤프를 로드하면 종종 잘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심지어 위에서 !clrstack -a 명령어 수행 시 c000026e 오류가 발생했지만 다시 로드하고 나서는 그것조차도 정상적으로 실행되기도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9/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8정성태11/14/200519626VS.NET IDE: 31. SQL 2005 - A connection was successfully established with the server
157정성태9/21/200519680기타: 10. SQL2000 설치 시, Invalid Product Key 오류
156정성태9/16/200521593.NET Framework: 43. Wisptis.exe 프로세스
155정성태5/31/200517885.NET Framework: 42. .NET Installer Class에서 Install 메서드 - 설정 사항들 알아내는 코드
154정성태5/13/200516795VS.NET IDE: 30. Windows 2003 for x64에 추가된 레지스트리 Run 노드
152정성태5/5/200520178VC++: 18. VC++ 7.0에서부터 ? : 연산자 처리가 바뀌었습니다.
153정성태5/12/200520498    답변글 VC++: 18.1. VC++ 8.0에서부터 바뀐 CRT 소개
151정성태5/5/200523378VC++: 17. DLL에 export 된 C++ 클래스 멤버 함수 파라미터형 정보 알아내는 방법
150정성태5/5/200524434.NET Framework: 41. 태그 사이의 값을 추출하는 정규식
149정성태5/5/200521043.NET Framework: 40. 데이터그리드에서 콤보박스 쓸 수 있는 방법
148정성태5/5/200521455.NET Framework: 39. DataSet 방식을 RecordSet으로 구현하는 방법.
147정성태5/7/200618950VC++: 16. 클래스 멤버 함수에 대한 포인터를 받는 표현.
146정성태4/29/200518107VS.NET IDE: 29. 네트워크 공유를 다른 사용자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을 원하는 경우.
144정성태4/14/200518505VS.NET IDE: 28. Windows 2003 SP1을 설치하고.
143정성태5/5/200519814.NET Framework: 38. DSL (Domain Specific Language)
141정성태4/14/200520595VS.NET IDE: 27. 64bit 컴퓨터 사용 평가 [3]
140정성태4/14/200517689.NET Framework: 37. String.GetHashCode의 리턴값. 그때그때 다릅니다.
138정성태4/12/200518430.NET Framework: 36. 64bit 시스템 구성
142정성태4/14/200519851    답변글 VS.NET IDE: 36.1. 메모리 구성에 대한 추가 내용
137정성태3/31/200524163.NET Framework: 35. XP SP2 팝업 뚫은 소스
135정성태3/31/200522962VS.NET IDE: 26. SQL Server 2000구성이 실패
134정성태3/31/200520017COM 개체 관련: 16.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2]
128정성태3/30/200518584.NET Framework: 34. VC++에서 Managed 타입의 메서드에 BSTR을 넘기는 경우의 오류(!)
129정성태3/30/200520790    답변글 .NET Framework: 34.1. 위의 질문에 대한 답변으로 나온 것입니다.
130정성태3/30/200517824        답변글 .NET Framework: 34.2. 다시... 제가 질문한 내용입니다. ^^
131정성태3/30/200518348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