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478

.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 https://www.sysnet.pe.kr/2/0/12101

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05

디버깅 기술: 157. C# - PEB.ProcessHeap을 이용해 디버깅 중인지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가끔 덤프를 뜰 당시의 프로세스 ID를 알고 싶을 때가 있습니다. 이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로,

| (Process Statu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hardware/drivers/debuggercmds/---process-status-

간단하게 다음과 같이 사용할 수 있습니다.

0:017> |
.  0    id: 1588    examine name: c:\WINDOWS\system32\inetsrv\w3wp.exe

이 외에 teb 명령어로,

0:000> !teb
TEB at 7ffdd000
    ExceptionList:        0006fc6c
    StackBase:            00070000
    StackLimit:           0006c000
    SubSystemTib:         00000000
    FiberData:            00001e00
    ArbitraryUserPointer: 00000000
    Self:                 7ffdd000
    EnvironmentPointer:   00000000
    ClientId:             00001588 . 000009b8
    RpcHandle:            00000000
    Tls Storage:          00000000
    PEB Address:          7ffde000
    LastErrorValue:       0
    LastStatusValue:      103
    Count Owned Locks:    0
    HardErrorMode:        0

알아낸 peb 주소로 해당 프로세스에 로드된 모듈들의 정보, 명령행 인자 값과 함께 환경변수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0:000> !peb 7ffde000
PEB at 7ffde000
    InheritedAddressSpace:    No
    ReadImageFileExecOptions: No
    BeingDebugged:            No
    ImageBaseAddress:         01000000
    Ldr                       7c9ca7e0
    Ldr.Initialized:          Yes
    Ldr.InInitializationOrderModuleList: 00081f18 . 2e2cfe10
    Ldr.InLoadOrderModuleList:           00081eb0 . 2e2cfe00
    Ldr.InMemoryOrderModuleList:         00081eb8 . 2e2cfe08
            Base TimeStamp                     Module
         1000000 45d6968e Feb 17 14:45:50 2007 c:\windows\system32\inetsrv\w3wp.exe
        7c940000 5507c9e0 Mar 17 15:29:52 2015 C:\WINDOWS\system32\ntdll.dll
        ...[생략]...
         8f90000 488ada86 Jul 26 17:04:22 2008 C:\WINDOWS\assembly\GAC_MSIL\System.Web.Services.resources\2.0.0.0_ko_b03f5f7f11d50a3a\System.Web.Services.resources.dll
    SubSystemData:     00000000
    ProcessHeap:       00080000
    ProcessParameters: 00020000
    CurrentDirectory:  'c:\windows\system32\inetsrv\'
    WindowTitle:  'c:\windows\system32\inetsrv\w3wp.exe'
    ImageFile:    'c:\windows\system32\inetsrv\w3wp.exe'
    CommandLine:  'c:\windows\system32\inetsrv\w3wp.exe -a \\.\pipe\iisipm511f6096-0056-4586-95b2-4a5c7a335320 -t 20 -ap "TestAppPool"'
    DllPath:      'c:\windows\system32\inetsrv;C:\WINDOWS\system32;C:\WINDOWS\system;C:\WINDOWS;.;c:\app\Administrator\product\11.1.0\client_1\bin;C:\WINDOWS\system32;C:\WINDOWS;C:\WINDOWS\System32\Wbem'
    Environment:  00010000
        ALLUSERSPROFILE=C:\Documents and Settings\All Users
        APP_POOL_ID=TestAppPool
        ClusterLog=C:\WINDOWS\Cluster\cluster.log
        CommonProgramFiles=C:\Program Files\Common Files
        COMPUTERNAME=TESTPC
        ComSpec=C:\WINDOWS\system32\cmd.exe
        ...[생략]...
        PROCESSOR_REVISION=3e04
        ProgramFiles=C:\Program Files
        SystemDrive=C:
        SystemRoot=C:\WINDOWS
        TEMP=C:\WINDOWS\TEMP
        TMP=C:\WINDOWS\TEMP
        USERPROFILE=C:\Documents and Settings\Default User
        windir=C:\WINDOW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5/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4-05 08시58분
What is the maximum size of a process environment block?
; https://devblogs.microsoft.com/oldnewthing/20230404-00/?p=108009

환경 변수의 크기는, 그것을 담고 있는 Environment Block에 영향을 받습니다. 초기 ANSI 환경에서는 32K로 제약이 있었으나, 현재 Unicode 환경에서는 하드 코딩으로 설정된 제약은 없다고 합니다.
정성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33정성태5/29/200931697.NET Framework: 139. WPF - "M/d/yyyy h:mm:ss tt" 형식으로만 날짜를 출력하는 문제
732정성태5/27/200926748Team Foundation Server: 32. 팀 빌드 오류 확인 방법
731정성태5/27/200921762Team Foundation Server: 31. 팀 빌드 스케줄 확인 방법
730정성태5/26/200927300VS.NET IDE: 63. Visual Studio 2010 - Parallel Stacks [1]
729정성태5/25/200926958.NET Framework: 138. InternalsVisibleTo와 Public Key 값
728정성태5/23/200937450.NET Framework: 137. C#에서 Union 구조체 다루기파일 다운로드1
727정성태5/22/200922410오류 유형: 82. 메서드가 많은 경우 프록시 클래스 생성 실패
726정성태5/21/200921962VS.NET IDE: 62. Visual Studio 2010 Beta1 버그 피드백 - EnC기능 오류 [1]
725정성태5/21/200925243VS.NET IDE: 61. Visual Studio 2010 베타1과 Visual Studio 2008의 혼합 개발 [2]
724정성태5/19/200939368.NET Framework: 136. 자바와 닷넷의 압축 호환파일 다운로드2
723정성태5/18/200933312.NET Framework: 135. C# - Deflate, GZip, Zip
722정성태5/18/200921850개발 환경 구성: 45. SQL 서버 2008 백업 구성 [2]
721정성태5/14/200927516오류 유형: 81. Package 실행 오류 - Error 15404
720정성태5/13/200924272오류 유형: 80. SQL Server 2008 - Package 실행 오류의 구체적인 원인 확인
719정성태5/12/200925402.NET Framework: 134. WPF - XBAP을 호스팅하고 있는 인터넷 익스플로러 인터페이스 구하기파일 다운로드1
717정성태5/11/200925729개발 환경 구성: 44.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714정성태5/7/200924239Windows: 45. Windows 7 RC와 함께 공개된 Windows Virtual PC 베타
713정성태4/30/200956016오류 유형: 79. DLL 'xxxxx.dll'을(를) 로드할 수 없습니다. [1]
712정성태4/28/200928634오류 유형: 78. Windows Vista/2008에서의 MSXML4.cab 파일 배포 문제
711정성태4/27/200928246개발 환경 구성: 43. Hyper-V VHD 파일 크기 확장하는 방법
710정성태4/26/200928801.NET Framework: 133. CallbackOnCollectedDelegate was detected [4]파일 다운로드1
709정성태4/24/200925028개발 환경 구성: 42. Windows Vista SP1에서 사용 가능한 Hyper-V 관리 도구
708정성태4/23/200929940.NET Framework: 132. ClickOnce 배포를 명령행 수작업 구성파일 다운로드1
707정성태4/22/200929525개발 환경 구성: 41. Hyper-V에 Linux 설치 - SUSE Linux Enterprise Server 11
706정성태4/21/200925397.NET Framework: 131. ClickOnce - 그룹화시켜 다운로드파일 다운로드1
705정성태4/20/200920965개발 환경 구성: 40. TFS2008 SP1의 DBTier에 SQL Server 2008 SP1 설치 [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