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39. .NET Framework 4.7.1의 새 기능 - Configuration builders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519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NET Framework 4.7.1의 새 기능 - Configuration builders

.NET 4.7.1에 추가된 기능 중에,

Announcing the .NET Framework 4.7.1
; https://blogs.msdn.microsoft.com/dotnet/2017/10/17/announcing-the-net-framework-4-7-1/

Configuration builders라는 것이 있는데 이에 대한 소개를 해보겠습니다. ^^




간혹, App.config의 appSettings에 값을 보관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문제는, 이 값이 너무 정적이다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app.config에 값을 정의했을 때,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figuration>
    <appSettings>
        <add key="Setting1" value="1" />
        <add key="Setting2" value="2" />
    </appSettings>
</configuration>

각각의 값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AppSettingsReader를 통해 읽을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nfiguration;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Configuration.AppSettingsReader reader = new System.Configuration.AppSettingsReader();

            PrintValue(reader, "Setting1");
            PrintValue(reader, "Setting2");
            PrintValue(reader, "my");
        }

        private static void PrintValue(AppSettingsReader reader, string key)
        {
            string txt1 = null;

            try
            {
                txt1 = reader.GetValue(key, typeof(string)) as string;
            }
            catch
            {
                Console.WriteLine($"'{key}' is not defined");
                return;
            }

            Console.WriteLine($"'{key}' == {txt1}");
        }
    }
}

// 출력 결과
/*

'Setting1' == 1
'Setting2' == 
'my' is not defined

*/

그런데 만약, "Setting1"이라는 값이 "환경 변수"에 정의되어 있다면 app.config이 아닌 환경 변수의 값을 활용하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물론, 그냥 AppSettingsReader로 값을 읽기 전 환경 변수를 한번 더 체크하면 됩니다.

.NET 4.7.1부터는 AppSettingsReader에 그런 부가적인 작업을 할 필요 없이 동적으로 app.config의 값을 추가/변경/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하는데 그것이 바로 "Configuration Builder"입니다. 이를 위해 필요한 작업은 app.config에 builder 클래스를 알리는 정도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
<configuration>
    <configSections>
        <section name="configBuilders" type="System.Configuration.ConfigurationBuildersSection, System.Configuration, Version=4.0.0.0, Culture=neutral, PublicKeyToken=b03f5f7f11d50a3a" restartOnExternalChanges="false" requirePermission="false"/>
    </configSections>

    <configBuilders>
        <builders>
            <add name="MyConfigBuilder" type="ConsoleApp1.MyConfigBuilder, ConsoleApp1" />
        </builders>
    </configBuilders>

    <appSettings configBuilders="MyConfigBuilder">
        <add key="Setting1" value="May Be Replaced" />
        <add key="Setting2" value="May Be Removed" />
        <!-- Setting3 could be added by a builder without even being declared here. -->
    </appSettings>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 sku=".NETFramework,Version=v4.7.1" />
    </startup>
</configuration>

물론, Configuration Builder 역할을 하는 사용자 클래스는 구현해야 합니다. 이론 상으로는 해당 클래스가 GAC에 등록한 어셈블리에 있다면 기존 응용 프로그램의 코드는 전혀 변경하지 않아도 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자신의 프로젝트에 다음과 같은 클래스를 정의해 제공해야 합니다.

using System.Collections.Specialized;
using System.Configuration;
using System.Xml;

namespace ConsoleApp1
{
    public class MyConfigBuilder : ConfigurationBuilder
    {
        protected MyConfigBuilder()
        {
        }

        public override void Initialize(string name, NameValueCollection config)
        {
            // name == "MyConfigBuilder"
            base.Initialize(name, config);
        }

        public override ConfigurationSection ProcessConfigurationSection(ConfigurationSection configSection)
        {
            return base.ProcessConfigurationSection(configSection);
        }

        public override XmlNode ProcessRawXml(XmlNode rawXml)
        {
            return base.ProcessRawXml(rawXml);
        }
    }
}

위의 클래스는 기본 제공 코드일 뿐, 원한다면 다음과 같이 app.config의 configBuilders 속성이 추가된 XML 노드를 직접 제어할 수 있습니다.

public override XmlNode ProcessRawXml(XmlNode rawXml)
{
    XmlNode node = rawXml.SelectSingleNode("./add[@key = 'Setting1']");
    SetAttrValue(node, "value", "Replaced");

    node = rawXml.SelectSingleNode("./add[@key = 'Setting2']");
    rawXml.RemoveChild(node);

    AppendAddNode(rawXml, "my", "value");

    return base.ProcessRawXml(rawXml);
}

private void AppendAddNode(XmlNode rawXml, string addName, string addValue)
{
    XmlNode addNode = rawXml.OwnerDocument.CreateNode(XmlNodeType.Element, "add", rawXml.NamespaceURI);

    XmlAttribute keyNode = rawXml.OwnerDocument.CreateAttribute(rawXml.Prefix, "key", rawXml.NamespaceURI);
    keyNode.Value = "my";

    XmlAttribute valueNode = rawXml.OwnerDocument.CreateAttribute(rawXml.Prefix, "value", rawXml.NamespaceURI);
    valueNode.Value = "value";

    addNode.Attributes.SetNamedItem(keyNode);
    addNode.Attributes.SetNamedItem(valueNode);

    rawXml.AppendChild(addNode);
}

private void SetAttrValue(XmlNode node, string attrName, string attrValue)
{
    XmlNode attrNode = node.Attributes.GetNamedItem(attrName);
    attrNode.Value = attrValue;
}

위의 코드에서는 "Setting1"의 값을 변경하고, "Setting2"의 설정은 제거한 후 새롭게 "my"라는 설정을 추가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존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Setting1' == Replaced
'Setting2' is not defined
'my' == value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github에 소스 코드 공개 문화가 생기다 보니, 간혹 보면 개발자 PC에서 appSettings에 Facebook 등의 인증 정보를 넣고 테스트하다가 실수로 github 등에 올리는 문제가 있는데요. configBuilders를 잘 활용하면 그런 실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살짝 아쉬운 것이 있다면,

With Configuration Builders, applications can apply a custom-defined set of builders to any section of config.

"any section"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모르겠는데 분명한 것은 "all of"는 아니고 "some of"... 도 아니고 "a few of" 정도라는 점입니다. 일단은 appSettings, connectionStrings에 대해 제공하는 것을 확인했고 그 외의 노드는 Visual Studio의 app.config 편집 시에 인텔리센스로 "configBuilders"가 지원되는 지 여부로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2/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8-05-23 04시44분
정성태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55정성태12/27/201329933개발 환경 구성: 207. IIS의 80 포트를 공유하는 응용 프로그램 만드는 방법 [1]
1554정성태12/26/201335333Windows: 78. 마음에 드는 윈도우 8.1 태블릿 - 델 베뉴 8 프로 5830 [4]
1553정성태12/26/201322356개발 환경 구성: 206. JNBridgePro와 한글 인코딩 문제파일 다운로드1
1552정성태12/25/201327536개발 환경 구성: 205. JNBridgePro를 이용해 C#에서 Java메서드 호출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551정성태12/24/201322680.NET Framework: 398. tech-days 미니 토요세미나 - 3회 C#편 PPT 자료파일 다운로드1
1550정성태12/13/201325077Windows: 77. Windows 8 - 잠시 사용을 안하는 경우 화면 잠김 상태로 빠지는 문제
1549정성태12/13/201328654VC++: 73. IIS - ISAPI 필터 제작하는 방법 [2]
1548정성태12/10/201321341오류 유형: 198. C# - 제네릭 covariance/contravariance 사용할 때 컴파일 오류가 발생한다면?
1547정성태12/10/201330922.NET Framework: 397. C# - OCX 컨트롤에 구현된 메서드에 배열을 in, out으로 전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546정성태11/28/201324783.NET Framework: 396. C# - 프로퍼티로 정의하면 필드보다 느릴까요? - windbg / ollydbg [3]
1545정성태11/28/201328654.NET Framework: 395. C# - 프로퍼티로 정의하면 필드보다 느릴까요? [3]
1544정성태11/27/201325135개발 환경 구성: 204. Visual Studio Online "Monaco" 서비스와 github 연동
1543정성태11/27/201329884오류 유형: 197. error MSB8008: Specified platform toolset (v120) is not installed or invalid. [1]
1542정성태11/27/201335471오류 유형: 196. The procedure entry point InitializeCriticalSectionEx could not be located in the dynamic link library KERNEL32.dll
1541정성태11/22/201336663.NET Framework: 394. async/await 사용 시 hang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7]파일 다운로드1
1540정성태11/20/201325110개발 환경 구성: 203. Azure - WEB SITES 서비스 소개 [4]
1539정성태11/19/201329110VS.NET IDE: 83. 형상 관리 서버 운영을 대신해 주는 Visual Studio 온라인 서비스
1538정성태11/19/201329983오류 유형: 195. 웹 사이트의 모든 정적 컨텐츠 요청에 대해 "Internal Server Error" 응답
1537정성태11/19/201321638오류 유형: 194. 윈도우 서버 백업으로 인해 Hyper-V VM들의 상태가 모두 "Backing up..." 상태로 오래 지속되는 문제
1536정성태11/19/201326447오류 유형: 193. 윈도우 서버 백업 - Hyper-V 가상 머신이 백업되지 않는 경우
1535정성태11/18/201326557.NET Framework: 393. Internet Explorer 11에서 ASP.NET 컨트롤의 크기가 달라지는 문제 [1]
1534정성태11/13/201326553.NET Framework: 392.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6) - MDbg를 이용한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533정성태11/12/201333758기타: 39. Internet Explorer 11에서 유튜브 동영상의 1080p 옵션이 보이지 않는 경우 [5]
1532정성태11/5/201334675Phone: 8. 안드로이드용 Xamarin 개발 시 겪을 만한 시행 착오 정리 [6]
1531정성태11/5/201326068VS.NET IDE: 82. Visual Studio에서 Attach 메서드를 이용해 디버깅을 시작한 경우 Breakpoint가 안 잡힌다면?
1530정성태11/5/201327457기타: 38. 오픈소스로 풀린 하드 디스크 관리 도구 - WindowSMART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