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Azure Active Directory의 사용자 도메인 지정 방법

일단, Azure 구독을 하면 기본적으로 Active Directory 서비스가 Azure 구독을 신청한 계정을 하나 소유한 체로 활성화됩니다. 이때 활성화되는 AAD(Azure Active Directory)의 도메인은 기본값으로 로그인한 사용자의 이메일 주소로부터 유추됩니다. 가령, testuser@chol.net이라는 계정으로 Azure 구독을 하면 다음의 DNS를 가진 AAD가 자동으로 구성됩니다.

testuserchol.onmicrosoft.com

이 상태에서 test라는 계정의 사용자를 AAD에 생성하는 경우 계정을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만 설정할 수 있습니다.

test@testuserchol.onmicrosoft.com

대개의 경우, 위와 같은 DNS는 기업에서 원하는 형식이 아닐 것입니다. 제 경우에도 sysnet.pe.kr이라는 DNS가 있기 때문에 사용자를 만든다면,

test@sysnet.pe.kr

이런 형식이길 바랄 것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Azure Active Directory" 메뉴에서 "Custom domain names(사용자 지정 도메인 이름)" 메뉴를 선택해 "Add custom domain(사용자 지정 도메인 추가)" 버튼을 눌러,

aad_custom_domain_0.png

원하는 도메인 이름을 입력한 다음 "도메인 추가" 버튼을 누르면 다음과 같이 DNS 서버에 입력해야 할 TXT 레코드(또는 MX 레코드) 설정이 보여집니다.

aad_custom_domain_1.png

이 설정을 완료하지 않으면 "Unverified" 상태로 사용자 도메인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위의 화면에 보여지는 데로 DNS 서버에 TXT(또는 MX) 레코드를 설정해야 하는데, 예를 들어 gabia같은 서비스라면 다음과 같이 설정해 주면 됩니다.

aad_custom_domain_2.png
(참고로, gabia의 경우 레코드 당 TTL 시간을 설정하는 서비스는 없는 것 같습니다.)

이렇게 등록한 후, AAD 사용자 지정 도메인에서 "확인(Verify)" 버튼을 눌러 등록을 완료하면 2개의 도메인이 등록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testuserchol.onmicrosoft.com
  2. sysnet.pe.kr

사용자를 등록할 때에도 2개의 도메인 네임에 대해 선택해서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13/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266정성태8/10/201728970.NET Framework: 671. C# 6.0 이상의 소스 코드를 Visual Studio 설치 없이 명령행에서 컴파일하는 방법
11265정성태8/10/201756919기타: 66. 도서: 시작하세요! C# 7.1 프로그래밍: 기본 문법부터 실전 예제까지 [11]
11264정성태8/9/201728588오류 유형: 414. UWP app을 signtool.exe로 서명 시 0x8007000b 오류 발생
11263정성태8/9/201723794오류 유형: 413. The C# project "..." is targeting ".NETFramework, Version=v4.0", which is not installed on this machine. [3]
11262정성태8/5/201722323오류 유형: 412. windbg - SOS does not support the current target architecture. [3]
11261정성태8/4/201724297디버깅 기술: 91. windbg - 풀 덤프 파일로부터 강력한 이름의 어셈블리 추출 후 사용하는 방법
11260정성태8/3/201722909.NET Framework: 670. C# - 실행 파일로부터 공개키를 추출하는 방법
11259정성태8/2/201720517.NET Framework: 669. 지연 서명된 어셈블리를 sn.exe -Vr 등록 없이 사용하는 방법
11258정성태8/1/201722497.NET Framework: 668. 지연 서명된 DLL과 서명된 DLL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1257정성태7/31/201721672.NET Framework: 667. bypassTrustedAppStrongNames 옵션 설명파일 다운로드1
11256정성태7/25/201724142디버깅 기술: 90. windbg의 lm 명령으로 보이지 않는 .NET 4.0 ClassLibrary를 명시적으로 로드하는 방법 [1]
11255정성태7/18/201726644디버깅 기술: 89. Win32 Debug CRT Heap Internals의 0xBAADF00D 표시 재현 [1]파일 다운로드3
11254정성태7/17/201723324개발 환경 구성: 322.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에뮬레이터를 "Android Studio"와 함께 쓰는 방법
11253정성태7/17/201724233Math: 21. "Coding the Matrix" 문제 2.5.1 풀이 [1]파일 다운로드1
11252정성태7/13/201720973오류 유형: 411. RTVS 또는 PTVS 실행 시 Could not load type 'Microsoft.VisualStudio.InteractiveWindow.Shell.IVsInteractiveWindowFactory2'
11251정성태7/13/201721523디버깅 기술: 88.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2)
11250정성태7/13/201725140디버깅 기술: 87. windbg 분석 - webengine4.dll의 MgdExplicitFlush에서 발생한 System.AccessViolationException의 crash 문제 [1]
11249정성태7/12/201722424오류 유형: 410. LoadLibrary("[...].dll") failed - 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11248정성태7/12/201729183오류 유형: 409. pip install pefile - 'cp949' codec can't decode byte 0xe2 in position 208687: illegal multibyte sequence
11247정성태7/12/201723396오류 유형: 408. SqlConnection 객체 생성 시 무한 대기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246정성태7/11/201720449VS.NET IDE: 118. Visual Studio - 다중 폴더에 포함된 파일들에 대한 "Copy to Output Directory"를 한 번에 설정하는 방법
11245정성태7/10/201726491개발 환경 구성: 321. Visual Studio Emulator for Android 소개 [2]
11244정성태7/10/201727747오류 유형: 407. Visual Studio에서 ASP.NET Core 실행할 때 dotnet.exe 프로세스의 -532462766 오류 발생 [1]
11243정성태7/10/201724879.NET Framework: 666. dotnet.exe - 윈도우 운영체제에서의 .NET Core 버전 찾기 규칙
11242정성태7/8/201723326제니퍼 .NET: 27. 제니퍼 닷넷 적용 사례 (7) - 노후된 스토리지 장비로 인한 웹 서비스 Hang (멈춤) 현상
11241정성태7/8/201721735오류 유형: 406. Xamarin 빌드 에러 XA5209, APT0000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