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41. windbg로 확인하는 객체의 GC 여부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53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bg로 확인하는 객체의 GC 여부

객체가 GC되었는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테스트를 위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프로그램을 만들고,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2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stance();

            Console.ReadLine();    // .NET 4 + x86 + Release 모드로 실행 후,
                                   // 이 시점에 Dump를 뜨고,

            GC.Collect(2, GCCollectionMode.Forced);     // 엔터를 치면 GC가 수행되고,
                                                        // 이 시점에 다시 Dump를 뜸
            Console.ReadLine();
        }

        private static void Instance()
        {
            Program pg = new Program();
        }
    }
}

두 번의 덤프를 떠 보면 됩니다. 첫 번째 덤프는 Instance 메서드 내에서 생성한 pg 객체가 범위를 벗어났지만 아직 Garbage Collector가 실행된 적이 없으므로 GC Heap에 객체가 있을 것입니다. 반면 두 번째 덤프를 뜬 시기에는 강제로 GC.Collect를 호출했으므로 0세대 GC Heap에 있던 pg 객체가 없어졌을 것입니다.

실제로 그런지 덤프 파일을 windbg로 확인해 볼까요? ^^

첫 번째 덤프 파일을 열고, ConsoleApp2.Program 객체가 GC Heap에 있는지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0:000> .loadby sos clr

0:000> !dumpheap -type ConsoleApp2.Program
 Address       MT     Size
04b4242c 02c34d34       12     

Statistics:
      MT    Count    TotalSize Class Name
02c34d34        1           12 ConsoleApp2.Program
Total 1 objects

이때의 GC heap을 구해 보면,

0:000> !eeheap -gc
Number of GC Heaps: 1
generation 0 starts at 0x04b41018
generation 1 starts at 0x04b4100c
generation 2 starts at 0x04b41000
ephemeral segment allocation context: none
 segment     begin  allocated      size
04b40000  04b41000  04b45ff4  0x4ff4(20468)
Large object heap starts at 0x05b41000
 segment     begin  allocated      size
05b40000  05b41000  05b45508  0x4508(17672)
Total Size:              Size: 0x94fc (38140) bytes.
------------------------------
GC Heap Size:    Size: 0x94fc (38140) bytes.

0 세대 힙의 시작 위치가 0x04b41018이고, pg 객체의 메모리 주소가 04b4242c이므로 0 세대 힙에 위치한 것이 맞는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다음, GC.Collect 이후의 덤프로 "!dumpheap -type ConsoleApp2.Program" 명령을 내리면 예상했던 데로 객체가 없습니다.

0:000> !dumpheap -type ConsoleApp2.Program
 Address       MT     Size

Statistics:
      MT    Count    TotalSize Class Name
Total 0 objects

GC 힙의 상황을 보면,

0:000> !eeheap -gc
Number of GC Heaps: 1
generation 0 starts at 0x04b44300
generation 1 starts at 0x04b4100c
generation 2 starts at 0x04b41000
ephemeral segment allocation context: none
 segment     begin  allocated      size
04b40000  04b41000  04b4430c  0x330c(13068)
Large object heap starts at 0x05b41000
 segment     begin  allocated      size
05b40000  05b41000  05b45508  0x4508(17672)
Total Size:              Size: 0x7814 (30740) bytes.
------------------------------
GC Heap Size:    Size: 0x7814 (30740) bytes.

pg 객체가 있던 04b4242c 주소를 넘어서 0 세대 힙의 시작 주소가 0x04b44300로 설정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GC되지 않았다면 (승격되었을 것이므로) 1 세대 힙의 시작 주소인 0x04b4100c와 0 세대 힙의 시작 주소 사이에 객체의 주소가 출력되었을 것입니다.




객체가 해제되었는지 덤프를 통해 확인하는 것은 사실 좀 번거로운 작업입니다. 다행히 이보다 더 쉬운 방법이 있는데 바로 WeakReference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를 통해 예제 코드를 다음과 같이 바꿔서 windbg 없이도 해당 객체가 GC되었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2
{
    class Program
    {
        static WeakReference _wr;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stance();
            Console.WriteLine(_wr.IsAlive); // IsAlive == True
            Console.ReadLine();

            GC.Collect(2, GCCollectionMode.Forced);
            Console.WriteLine(_wr.IsAlive); // IsAlive == False
            Console.ReadLine();
        }

        private static void Instance()
        {
            Program pg = new Program();
            _wr = new WeakReference(pg);
        }
    }
}

간단하죠?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28/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58정성태6/24/201817353.NET Framework: 775. C# 7.3 - unmanaged(blittable) 제네릭 제약파일 다운로드1
11557정성태6/22/201817418.NET Framework: 774. C# - blittable 타입이란?파일 다운로드1
11556정성태6/19/201823817.NET Framework: 773. C# 7.3 - 구조체의 고정 크기를 갖는 fixed 배열 필드에 대한 직접 접근 가능 [1]파일 다운로드1
11555정성태6/18/201815986.NET Framework: 772. C# 7.3 - 사용자 정의 타입에 fixed 적용 가능(Custom fixed)파일 다운로드1
11554정성태6/17/201817559.NET Framework: 771. C# 7.3 - 자동 구현 속성에 특성 적용 가능(Attribute on backing field)
11553정성태6/15/201817598.NET Framework: 770. C# 7.3 - 개선된 메서드 선택 규칙 3가지(Improved overload candidates)파일 다운로드1
11552정성태6/15/201818878.NET Framework: 769. C# 7.3에서 개선된 문법 4개(Support == and != for tuples, Ref Reassignment, Constraints, Stackalloc initializers)파일 다운로드1
11551정성태6/14/201816434개발 환경 구성: 383. BenchmarkDotNet 사용 시 주의 사항
11550정성태6/13/201816760.NET Framework: 768. BenchmarkDotNet으로 Span<T> 성능 측정 [2]
11549정성태6/13/201817268개발 환경 구성: 382. BenchmarkDotNet에서 생성한 BuildPlots.R 파일을 실행하는 방법
11548정성태6/13/201815082오류 유형: 470. .NET Core + BenchmarkDotNet 실행 시 프레임워크를 찾지 못하는 문제
11547정성태6/13/201819420.NET Framework: 767. BenchmarkDotNet 라이브러리 소개파일 다운로드1
11546정성태6/12/201819858.NET Framework: 766. C# 7.2의 특징 - GC 및 메모리 복사 방지를 위한 struct 타입 개선 [9]파일 다운로드1
11545정성태6/11/201818018오류 유형: 469. .NET Core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에서 실행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발생하는 경우 [1]
11544정성태6/10/201817657.NET Framework: 765. C# 7.2 - 숫자 리터럴의 선행 밑줄과 뒤에 오지 않는 명명된 인수
11543정성태6/9/201817116.NET Framework: 764. C# 7.2 - private protected 접근자 추가파일 다운로드1
11542정성태6/9/201854141개발 환경 구성: 381. Azure Web App 확장 예제 - Remove Custom Headers
11541정성태6/9/201815045개발 환경 구성: 380. Azure Web App 확장 배포 방법 [1]
11540정성태6/9/201816586개발 환경 구성: 379. Azure Web App 확장 예제 제작 [2]
11539정성태6/8/201815563.NET Framework: 763. .NET Core 2.1 - Tiered Compilation 도입파일 다운로드1
11538정성태6/8/201814533.NET Framework: 762. .NET Core 2.1 - 확장 도구(Tools) 관리
11537정성태6/8/201818904.NET Framework: 761. C# - SmtpClient로 SMTP + SSL/TLS 서버를 이용하는 방법 [5]
11536정성태6/7/201817445.NET Framework: 760. Microsoft Build 2018 - The future of C# 동영상 내용 정리 [1]파일 다운로드1
11535정성태6/7/201818684.NET Framework: 759. C# - System.Span<T> 성능 [1]
11534정성태6/6/201824118.NET Framework: 758. C# 7.2 - Span<T> [6]
11533정성태6/5/201826732.NET Framework: 757. 포인터 형 매개 변수를 갖는 C++ DLL의 함수를 C#에서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