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7.0에서도 부분적으로 가능해진 "타입 추론을 통한 튜플의 변수명 자동 지정"

C# 7.1 컴파일러부터 "타입 추론을 통한 튜플의 변수명 자동 지정"이 추가되었습니다.

Infer tuple names (aka. tuple projection initializers)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blob/master/proposals/csharp-7.1/infer-tuple-names.md

제 책에서는 "13.3" 절에 그 내용을 설명하고 있는데요. 관련해서 책에 포함된 예제가 다음의 코드입니다.

int age = 20;
string name = "Kevin Arnold";

var person = (age, name);

Console.WriteLine($"{person.age}, {person.name}");

위의 코드를 C# 7.0 컴파일러에 맞춰놓고 빌드하면 다음과 같은 CS8306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1>------ Build started: Project: ConsoleApp2,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1>D:\temp\ConsoleApp2\ConsoleApp2\Program.cs(18,41,18,44): error CS8306: Tuple element name 'age' is inferred. Please use language version 7.1 or greater to access an element by its inferred name.
1>D:\temp\ConsoleApp2\ConsoleApp2\Program.cs(18,55,18,59): error CS8306: Tuple element name 'name' is inferred. Please use language version 7.1 or greater to access an element by its inferred name.
========== Build: 0 succeeded, 1 failed, 0 up-to-date, 0 skipped ==========

오류 메시지에 보이듯이, 당연히 C# 7.1로 설정하고 빌드하면 정상적으로 컴파일이 됩니다.




그런데 우연히 보게 된 글에서,

Something Wrong In Csharp Tuple
C#의 튜플은 어디서부턴가 잘못되었다
; https://phillyai.github.io/2017-08-22-Something-Wrong-In-Csharp-Tuple/

재미있는 예제를 접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Linq;

namespace ConsoleApp2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list = { 3, 1, 4, 1, 5, 9, 2 };
            foreach (var (v, i) in list.Select((val, index) => (val, index)))
            {
                Console.WriteLine($"{i}: {v}");
            }
        }
    }
}

위의 예제 코드를 최근의 Visual Studio에서 C# 7.0을 대상으로 빌드하면 정상적으로 빌드가 됩니다. 그런데, 좀 오래된 Visual Studio, 확실하게 15.3.1 버전의 경우에는 C# 7.0을 대상으로 하면 다음과 같은 CS8306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onsoleApp2, Configuration: Debug Any CPU ------
1>D:\temp\ConsoleApp2\ConsoleApp2\Program.cs(14,13,17,14): error CS8306: Tuple element name 'val' is inferred. Please use language version 7.1 or greater to access an element by its inferred name.
1>D:\temp\ConsoleApp2\ConsoleApp2\Program.cs(14,13,17,14): error CS8306: Tuple element name 'index' is inferred. Please use language version 7.1 or greater to access an element by its inferred name.
========== Rebuild All: 0 succeeded, 1 failed, 0 skipped ==========

동일하게 "CS8306: Tuple element name '...' is inferred" 컴파일 오류인데, 최근의 C# 컴파일러에서는 7.0으로 맞춰놓고 해도 정상적으로 빌드가 되는 것입니다. 제 예상으로는, roslyn 컴파일러의 소스 코드를 7.1 이후에 수정을 하다가 C# 7.0 모드에서도 튜플에 대한 변수명이 추론이 되도록 하는 (좋은) 부작용이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전혀 중요하지 않은 이야기인데... 혹시나 관련 소스 코드를 빌드하면서 C# 7.0에도 튜플 추론이 잘 된다고 메일을 보내실 독자분을 위해 미리 쉴드성 글을 남깁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1/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14정성태8/2/202217298.NET Framework: 2039. C# - Task와 비교해 본 ValueTask 사용법파일 다운로드1
13113정성태7/31/202216817.NET Framework: 2038. C# 11 - Span 타입에 대한 패턴 매칭 (Pattern matching on ReadOnlySpan<char>)
13112정성태7/30/202217670.NET Framework: 2037. C# 11 - 목록 패턴(List patterns) [1]파일 다운로드1
13111정성태7/29/202217080.NET Framework: 2036. C# 11 - IntPtr/UIntPtr과 nint/nuint의 통합파일 다운로드1
13110정성태7/27/202216804.NET Framework: 2035. C# 11 - 새로운 연산자 ">>>" (Unsigned Right Shift)파일 다운로드1
13109정성태7/27/202218316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1]
13108정성태7/26/202215725Linux: 53. container에 실행 중인 Golang 프로세스를 디버깅하는 방법 [1]
13107정성태7/25/202214549Linux: 52. Debian/Ubuntu 계열의 docker container에서 자주 설치하게 되는 명령어
13106정성태7/24/202214128오류 유형: 819. 닷넷 6 프로젝트의 "Conditional compilation symbols" 기본값 오류
13105정성태7/23/202216561.NET Framework: 2034. .NET Core/5+ 환경에서 (프로젝트가 아닌) C# 코드 파일을 입력으로 컴파일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
13104정성태7/23/202220275Linux: 51. WSL - init에서 systemd로 전환하는 방법
13103정성태7/22/202215593오류 유형: 818. WSL - systemd-genie와 관련한 2가지(systemd-remount-fs.service, multipathd.socket) 에러
13102정성태7/19/202215466.NET Framework: 2033. .NET Core/5+에서는 구할 수 없는 HttpRuntime.AppDomainAppId
13101정성태7/15/202228610도서: 시작하세요! C# 10 프로그래밍
13100정성태7/15/202217284.NET Framework: 2032. C# 11 - shift 연산자 재정의에 대한 제약 완화 (Relaxing Shift Operator)
13099정성태7/14/202216764.NET Framework: 2031. C# 11 - 사용자 정의 checked 연산자파일 다운로드1
13098정성태7/13/202214415개발 환경 구성: 647. Azure - scale-out 상태의 App Service에서 특정 인스턴스에 요청을 보내는 방법 [1]
13097정성태7/12/202213477오류 유형: 817. Golang - binary.Read: invalid type int32
13096정성태7/8/202217119.NET Framework: 2030. C# 11 - UTF-8 문자열 리터럴
13095정성태7/7/202214559Windows: 208. AD 도메인에 참여하지 않은 컴퓨터에서 Kerberos 인증을 사용하는 방법
13094정성태7/6/202214231오류 유형: 816. Golang - "short write" 오류 원인
13093정성태7/5/202214993.NET Framework: 2029. C# - HttpWebRequest로 localhost 접속 시 2초 이상 지연
13092정성태7/3/202216621.NET Framework: 2028. C# - HttpWebRequest의 POST 동작 방식파일 다운로드1
13091정성태7/3/202215202.NET Framework: 2027. C# - IPv4, IPv6를 모두 지원하는 서버 소켓 생성 방법
13090정성태6/29/202214394오류 유형: 815. PyPI에 업로드한 패키지가 반영이 안 되는 경우
13089정성태6/28/202215078개발 환경 구성: 646. HOSTS 파일 변경 시 Edge 브라우저에 반영하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