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NET Core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에서 실행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발생하는 경우

분명히, x64 프로젝트로 맞춰 놓고 실행했는데도 불구하고 다음과 같이 오류가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Unhandled Exception: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F:\ConsoleApp1\bin\x64\Release\netcoreapp2.1\ConsoleApp1.dll'. An attempt was made to load a program with an incorrect format.

재미있는 것은, AnyCPU로 맞춰놓으면 "Prefer 32-bit" 옵션을 껐는데도 불구하고 무조건 x86 위치의 dotnet.exe에서 호스팅이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제 컴퓨터에는 x86과 x64 버전의 .NET Core 런타임이 모두 설치된 상태입니다.

검색해 보면 다음의 글이 나옵니다.

BadImageFormatException when PlatformTarget architecture is different than current SDK  #7532 
; https://github.com/dotnet/cli/issues/7532

원인은, Visual Studio가 .NET Core 프로젝트의 PlatformTarget 값에 따라 dotnet.exe를 선택하지 않고 PATH 환경 변수에 맡겨 버린다는 것입니다. 실제로 제 컴퓨터의 PATH에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dotnet 경로가 잡혀 있습니다.

  1. C:\Program Files (x86)\dotnet\
  2. C:\Program Files\dotnet\

따라서 이 순서를 바꿔주면 되지만, 그렇게 되면 x86으로 실행하고 싶을 때에는 반대로 x64 dotnet.exe가 실행되는 문제가 발생합니다.

근본적으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해당 .NET Core 프로젝트가 위치한 폴더 또는 그 상위의 어느 폴더에 다음의 내용으로 Directory.Build.targets 파일을 넣어두면 됩니다.

<Project>
  <PropertyGroup 
      Condition="'$(OS)' == 'Windows_NT' and
                 '$(TargetFrameworkIdentifier)' == '.NETCoreApp' and
                 '$(SelfContained)' != 'true'"
                  >
    <RunCommand Condition="'$(PlatformTarget)' == 'x86'">$(MSBuildProgramFiles32)\dotnet\dotnet</RunCommand>
    <RunCommand Condition="'$(PlatformTarget)' == 'x64'">$(ProgramW6432)\dotnet\dotnet</RunCommand>
  </PropertyGroup>
</Project>

이후 Visual Studio를 재시작하면 PlatformTarget이 x86으로 되어 있으면 32비트가, x64로 되어 있으면 64비트 dotnet.exe가 선택되어 올라오게 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1/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8-06-11 02시51분
Visual Studio에서 ASP.NET Core 실행할 때 dotnet.exe 프로세스의 -532462766 오류 발생
; http://www.sysnet.pe.kr/2/0/11244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081정성태6/17/20226370.NET Framework: 2022. C# - .NET 7 Preview 5 신규 기능 - System.IO.Stream ReadExactly / ReadAtLeast파일 다운로드1
13080정성태6/17/20226990개발 환경 구성: 643. Visual Studio 2022 17.2 버전에서 C# 11 또는 .NET 7.0 preview 적용
13079정성태6/17/20224653오류 유형: 814. 파이썬 - Error: The file/path provided (...) does not appear to exist
13078정성태6/16/20226704.NET Framework: 2021. WPF - UI Thread와 Render Thread파일 다운로드1
13077정성태6/15/20227030스크립트: 40. 파이썬 - PostgreSQL 환경 구성
13075정성태6/15/20226006Linux: 50. Linux - apt와 apt-get의 차이 [2]
13074정성태6/13/20226307.NET Framework: 2020. C# - NTFS 파일에 사용자 정의 속성값 추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073정성태6/12/20226529Windows: 207. Windows Server 2022에 도입된 WSL 2
13072정성태6/10/20226804Linux: 49. Linux - ls 명령어로 출력되는 디렉터리 색상 변경 방법
13071정성태6/9/20227386스크립트: 39. Python에서 cx_Oracle 환경 구성
13070정성태6/8/20227192오류 유형: 813. Windows 11에서 입력 포커스가 바뀌는 문제 [1]
13069정성태5/26/20229423.NET Framework: 2019. C# - .NET에서 제공하는 3가지 Timer 비교 [2]
13068정성태5/24/20227922.NET Framework: 2018. C# - 일정 크기를 할당하는 동안 GC를 (가능한) 멈추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067정성태5/23/20227242Windows: 206. Outlook - 1년 이상 지난 메일이 기본적으로 안 보이는 문제
13066정성태5/23/20226576Windows: 205. Windows 11 - Windows + S(또는 Q)로 뜨는 작업 표시줄의 검색 바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3065정성태5/20/20227256.NET Framework: 2017. C# - Windows I/O Ring 소개 [2]파일 다운로드1
13064정성태5/18/20226784.NET Framework: 2016. C# - JIT 컴파일러의 인라인 메서드 처리 유무
13063정성태5/18/20227201.NET Framework: 2015. C# - 인라인 메서드(inline methods)
13062정성태5/17/20228013.NET Framework: 2014.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4) 비동기 I/O 재현파일 다운로드1
13061정성태5/16/20226821.NET Framework: 2013. C# - FILE_FLAG_OVERLAPPED가 적용된 파일의 읽기/쓰기 시 Position 관리파일 다운로드1
13060정성태5/15/20229301.NET Framework: 2012.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3) Task.Delay 재현파일 다운로드1
13059정성태5/14/20227750.NET Framework: 2011. C# - CLR ThreadPool의 I/O 스레드에 작업을 맡기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3058정성태5/13/20227657.NET Framework: 2010. C# - ThreadPool.SetMaxThreads 사용법
13057정성태5/12/20229334오류 유형: 812. 파이썬 - ImportError: cannot import name ...
13056정성태5/12/20226460.NET Framework: 2009.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2) MyTask의 호출 흐름 [2]파일 다운로드1
13055정성태5/11/20229403.NET Framework: 2008. C# - async/await 그리고 스레드 (1) MyTask로 재현 [11]파일 다운로드1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