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386. .NET Framework Native compiler 프리뷰 버전 사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73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6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386. .NET Framework Native compiler 프리뷰 버전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11563

.NET Framework: 2069. .NET 7 - AOT(ahead-of-time) 컴파일
; https://www.sysnet.pe.kr/2/0/13162

닷넷: 2175. C# - DllImport 메서드의 AOT 지원을 위한 LibraryImport 옵션
; https://www.sysnet.pe.kr/2/0/13466

닷넷: 2184. C# - 하나의 resource 파일을 여러 프로그램에서 (AOT 시에도) 사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83

개발 환경 구성: 696. C# - 리눅스용 AOT 빌드를 docker에서 수행
; https://www.sysnet.pe.kr/2/0/13487

닷넷: 2202. C# - PublishAot의 glibc에 대한 정적 링킹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529




.NET Framework Native compiler 프리뷰 버전 사용법

MVP 내부 그룹에 Native compiler가 preview 상태로 이야기가 오고 가길래 아직 NDA인줄 알았더니 다음과 같이 NuGet에 이미 배포된 버전입니다. ^^

Microsoft.DotNet.Framework.NativeImageCompiler
; https://www.nuget.org/packages/Microsoft.DotNet.Framework.NativeImageCompiler

게다가 문서까지 자세하게 공개되어 있습니다.

Optimize your .NET Desktop apps with native images
;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002310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uwp/porting/desktop-to-uwp-r2r

자, 그럼 간단하게 테스트를 해볼까요? ^^

우선, 콘솔 프로젝트를 하나 만들고 다음과 같이 NuGet에서 Native compiler 패키지를 추가해 줍니다.

Install-Package Microsoft.DotNet.Framework.NativeImageCompiler -Version 0.0.1-prerelease-00002 

그다음, 아래의 조건에 맞게 프로젝트의 설정을 변경해 줍니다.

  • .NET Framework 버전은 최소 4.6.2 이상
  • (AnyCPU가 아닌) 명시적으로 x86 또는 x64로 지정
  • Release 모드로 빌드

위와 같은 조건을 만족하면 EXE 파일이 아래의 2개 폴더에 각각 생성됩니다. (유의할 것은, \bin 폴더 하위가 아닙니다.)

\obj\Release\ConsoleApp1.exe
\obj\Release\R2R\ConsoleApp1.exe

자세히 보면 \Release 폴더에 생긴 exe 파일보다 \R2R 폴더에 생긴 EXE 파일의 크기가 살짝 큰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해당 EXE 파일은 IL 코드 뿐만 아니라 Native 코드까지 함께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여차하면 IL로 실행하겠다는 의지가 ^^ 엿보이는군요. (따라서, .NET Reflector 같은 역어셈블 도구로 보면 코드가 여전히 잘 보입니다.)

그나저나 Native compiler로 빌드하는 의미가 뭘까요? 단순히, 기계어 컴파일이 되었다는 사실에서 기존 IL 기반의 닷넷 실행 파일보다 "실행 성능"이 빠를 거라고 기대하시면 안 됩니다. 닷넷 프로그램은 Native compiler 처리를 거쳤다고 해서 관리 힙을 쓰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 즉, 기존의 닷넷 프로그램과 실행 면에서 보면 다를 바가 없습니다. 단지, "JIT Compile" 과정만 생략된 것에 불과합니다.

따라서 JIT 과정이 없어짐으로 인해 초기 로딩 속도가 빨라지는 것이지 "실행 성능" 자체가 좋아지는 것은 아닙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 기존에는 소수 판정 프로그램이 1초 걸렸다면 Native compiler로 처리했어도 여전히 1초가 걸리는 것에는 변함이 없습니다. 물론, "최초 소수 판정" 코드의 실행 속도는 빠릅니다. 단지 이후의 동일한 소수 판정 코드가 빨라지는 것은 아닙니다.




참고로, NuGet에서 다운로드 한 Native compiler 실행 파일(NgenR2R.exe)은 다음의 폴더에 위치해 있습니다.

%USERPROFILE%\.nuget\packages\runtime.win10-x64.microsoft.dotnet.framework.nativeimagecompiler\0.0.1-prerelease-00002\build\net462\..\..\tools

그런데, 환경에 따라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빌드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Error The command "C:\Users\Quick Tester\.nuget\packages\runtime.win10-x64.microsoft.dotnet.framework.nativeimagecompiler\0.0.1-prerelease-00002\build\net462\..\..\tools\NgenR2R.exe "@obj\Release\\R2R\ConsoleApp1.rsp"" exited with code 9009.

"exited with code 9009" 오류는,

You receive a build error message when you use the Assembly Registration tool (Regasm.exe) in Visual C#
; https://support.microsoft.com/ha-latn-ng/help/908268/you-receive-a-build-error-message-when-you-use-the-assembly-registrati

대개 실행 파일을 찾을 수 없어 발생하는 것 같습니다. 실제로 비주얼 스튜디오가 실행한 하위 프로세스의 명령행을 보면 동일한 이유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C:\Users\Quick Tester\.nuget\packages\runtime.win10-x64.microsoft.dotnet.framework.nativeimagecompiler\0.0.1-prerelease-00002\build\net462\..\..\tools\NgenR2R.exe "@obj\Release\\R2R\ConsoleApp1.rsp"

짐작하셨죠? ^^ 중간에 공백 문자가 있어서 나타난 문제인데 일단 이것을 수정할 방법은 없고 다음과 같이 명령행에서 수작업으로 직접 따옴표를 추가해 실행 파일 경로를 묶어 주면 됩니다.

"C:\Users\Quick Tester\.nuget\packages\runtime.win10-x64.microsoft.dotnet.framework.nativeimagecompiler\0.0.1-prerelease-00002\build\net462\..\..\tools\NgenR2R.exe" "@obj\Release\\R2R\ConsoleApp1.rsp"

어차피 ^^ preview 버전에 대한 테스트일 뿐이니 딱히 불편한 정도는 아닙니다. 어쨌든, 이렇게 하면 다음과 같이 잘 실행이 됩니다.

E:\ConsoleApp1\ConsoleApp1>"%USERPROFILE%\.nuget\packages\runtime.win10-x64.microsoft.dotnet.framework.nativeimagecompiler\0.0.1-prerelease-00002\build\net462\..\..\tools\NgenR2R.exe" "@obj\Release\\R2R\ConsoleApp1.rsp"
Microsoft (R) CLR Native Image Generator - Version 4.8.3631.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Loading C:\Users\Quick Tester\.nuget\packages\runtime.win10-x64.microsoft.dotnet.framework.nativeimagecompiler\0.0.1-prerelease-00002\tools\ref\mscorlib.dll
Loading E:\ConsoleApp1\ConsoleApp1\obj\Release\ConsoleApp1.exe
Native image obj\Release\\R2R\ConsoleApp1.exe generated successfully.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4/4/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8-16 08시06분
[진우] 이것은 실행시에 CLR 이 필요한 NGEN 인가요?
아니면 NET Native 인가요?
[guest]
2022-08-16 11시25분
.NET Native가 맞습니다. 저도 이때 이후로 제대로 테스트를 못했는데... 진우 님께서 한번 해보시고 결과 좀 공유해 주세요. ^^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511정성태1/4/20242180닷넷: 2193. C# - ASP.NET Web Application + OpenAPI(Swashbuckle) 스펙 제공
13510정성태1/3/20242109닷넷: 2192. C# - 특정 실행 파일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 (Linux)
13509정성태1/3/20242149오류 유형: 887. .NET Core 2 이하의 프로젝트에서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Unsafe doesn't support netcoreapp2.0.
13508정성태1/3/20242178오류 유형: 886. ORA-28000: the account is locked
13507정성태1/2/20242840닷넷: 2191. C# - IPGlobalProperties를 이용해 netstat처럼 사용 중인 Socket 목록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506정성태12/29/20232398닷넷: 2190. C# - 닷넷 코어/5+에서 달라지는 System.Text.Encoding 지원
13505정성태12/27/20232957닷넷: 2189. C# - WebSocket 클라이언트를 닷넷으로 구현하는 예제 (System.Net.WebSockets)파일 다운로드1
13504정성태12/27/20232530닷넷: 2188. C# - ASP.NET Core SignalR로 구현하는 채팅 서비스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3정성태12/27/20232392Linux: 67. WSL 환경 + mlocate(locate) 도구의 /mnt 디렉터리 검색 문제
13502정성태12/26/20232497닷넷: 2187. C# - 다른 프로세스의 환경변수 읽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501정성태12/25/20232302개발 환경 구성: 700. WSL + uwsgi - IPv6로 바인딩하는 방법
13500정성태12/24/20232371디버깅 기술: 194. Windbg - x64 가상 주소를 물리 주소로 변환
13498정성태12/23/20233056닷넷: 2186. 한국투자증권 KIS Developers OpenAPI의 C# 래퍼 버전 - eFriendOpenAPI NuGet 패키지
13497정성태12/22/20232459오류 유형: 885. Visual Studiio - error : Could not connect to the remote system. Please verify your connection settings, and that your machine is on the network and reachable.
13496정성태12/21/20232442Linux: 66.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gdb)
13495정성태12/20/20232409Linux: 65. clang++로 공유 라이브러리의 -static 옵션 빌드가 가능할까요?
13494정성태12/20/20232555Linux: 64.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 두 번째 이야기
13493정성태12/19/20232659닷넷: 2185. C# - object를 QueryString으로 직렬화하는 방법
13492정성태12/19/20232338개발 환경 구성: 699. WSL에 nopCommerce 예제 구성
13491정성태12/19/20232266Linux: 63. 리눅스 - 다중 그룹 또는 사용자를 리소스에 권한 부여
13490정성태12/19/20232390개발 환경 구성: 698. Golang - GLIBC 의존을 없애는 정적 빌드 방법
13489정성태12/19/20232173개발 환경 구성: 697. GoLand에서 ldflags 지정 방법
13488정성태12/18/20232104오류 유형: 884. HTTP 500.0 - 명령행에서 실행한 ASP.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방법
13487정성태12/16/20232409개발 환경 구성: 696. C# - 리눅스용 AOT 빌드를 docker에서 수행 [1]
13486정성태12/15/20232221개발 환경 구성: 695. Nuget config 파일에 값 설정/삭제 방법
13485정성태12/15/20232102오류 유형: 883. dotnet build/restore - error : Root element is missing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