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778. (Unity가 사용하는) 모노 런타임의 __makeref 오류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038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Unity가 사용하는) 모노 런타임의 __makeref 오류

아래의 글에 달린 덧글 덕분에,

C#에서 enum을 boxing 없이 int로 변환하기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506

실로 오랜만에 Mono 런타임을 설치해봤습니다. ^^

The latest Stable Mono
; https://www.mono-project.com/download/stable/

설치하고 나면 시작 메뉴에 "Open Mono x64 Command Prompt" 항목이 생깁니다. 그 명령행 창을 열고 다음의 소스 코드를,

using System;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enum EnumState
        {
            A,
            B,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unsafe
            {
                EnumState a = EnumState.A;
                EnumState b = EnumState.B;

                TypedReference refA = __makeref(a);
                TypedReference refB = __makeref(b);

                int* valuePtrA = (int*)*((IntPtr*)&refA);
                int* valuePtrB = (int*)*((IntPtr*)&refB);

                int expectedA = *valuePtrA;
                int expectedB = *valuePtrB;

                Console.WriteLine(expectedA);
                Console.WriteLine(expectedB);
                Console.WriteLine(expectedA == expectedB);
            }

            Console.ReadLine();
        }
    }
}

이렇게 빌드할 수 있습니다.

C:\temp>dmcs Program.cs /unsafe

실행해 보면, 결과가 잘 나옵니다.

C:\temp>Program.exe
0
1
False

오호~~~ 그런데 원하는 환경이 아닙니다. 저렇게 실행하면 ^^ 현재 윈도우에 설치된 .NET Full Framework가 올라오게 됩니다. 따라서 모노 런타임 위에서 실행하려면 다음과 같이 mono.exe를 이용해 실행해야 합니다.

c:\temp>mono Program.exe
898445256
898445256
True

출력된 898445256 값은 실행 시마다 달라지는 것으로 봐서 메모리 상의 쓰레기 값이 출력되는 듯합니다. 결과적으로, 모노 런타임은 __makeref 예약어에 대한 처리를 제대로 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래도, Unity의 경우 AOT(Ahead of time) 컴파일러를 사용해 미리 빌드해 놓기 때문에 혹시 거기서는 정상적으로 처리하고 있지 않을까요? ^^ AOT 실행 테스트를 하려면 clang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 LLVM을 설치해도 되지만,

LLVM Download Page 
; https://releases.llvm.org/download.html

Pre-Built Binaries:
Clang for Windows (64-bit) (.sig)
; http://releases.llvm.org/6.0.0/LLVM-6.0.0-win64.exe

어차피 clang.exe도 빌드할 때는 Visual C++의 cl.exe의 도움을 얻어야 하므로 Visual Studio를 설치해야 합니다.

Setting up Clang on Windows
; https://github.com/boostorg/hana/wiki/Setting-up-Clang-on-Windows

따라서, 그냥 Clang/LLVM을 설치하지 말고 Visual Studio에 포함된 clang 구성으로 옵션을 추가해 설치하면 됩니다. 가령 Visual Studio 2015의 경우 다음과 같은 옵션만 있으면 됩니다.

Visual Studio Professional 2015 with Update 3

Programming Languages
    - Visual C++
        - Common Tools for Visual C++ 2015
        - Microsoft Foundation Classes for C++
        - Windows XP Support for C++

Cross Platform Mobile Development
    - Visual C++ Mobile Development
        - Clang with Microsoft CodeGen (July 2016)

설치 후, 환경 변수에 PATH를 clang.exe와 link.exe에 대해 각각 다음과 같이 잡아줍니다.

[clang.exe의 위치를 PATH에 추가]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4.0\VC\ClangC2\bin\amd64

[link.exe의 위치를 PATH에 추가]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 14.0\VC\bin\amd64

이후, Program.exe 바이너리를 AOT 빌드해 줘야 합니다.

mono --aot=full Program.exe

그런 다음 아래와 같이 실행할 수 있는데, 아쉽게도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mono --full-aot Program.exe
Failed to load AOT module 'C:\Program Files\Mono\lib\mono\4.5\mscorlib.dll.dll' in aot-only mode.

왜냐하면, Program.exe가 의존하는 모듈들도 전부 AOT 상태로 빌드가 되어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이를 위해 다음의 경로에 있는 DLL들을 전부,

C:\Program Files\Mono\lib\mono\4.5\mscorlib.dll
C:\Program Files\Mono\lib\mono\gac\I18N\4.0.0.0__0738eb9f132ed756\I18N.dll
C:\Program Files\Mono\lib\mono\gac\I18N.West\4.0.0.0__0738eb9f132ed756\I18N.West.dll

개별 폴더에 들어가 각각 다음의 명령어로 빌드해 둡니다.

mono --aot=full mscorlib.dll
mono --aot=full I18N.dll
mono --aot=full i18n.west.dll

이후 다시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

c:\temp>mono --full-aot Program.exe
-402205784
-402205784
True

뭐... 어쩔 수 없군요. ^^ Mono 런타임은, AOT 빌드한 결과물에서도 역시 __makeref 처리를 하지 못합니다.




Mono가 저렇다는 것은, 그에 기반을 둔 현재의 Unity가 게임 빌드 결과물에서 __makeref 처리를 못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마도 가장 좋은 것은 .NET Core로 Unity가 이전하는 것일 텐데 가장 최근의 결과물인 2018 버전의,

Updated scripting runtime in Unity 2018.1: What does the future hold?
; https://blogs.unity3d.com/kr/2018/03/28/updated-scripting-runtime-in-unity-2018-1-what-does-the-future-hold/

질문 답변을 봐도 희망이 안 보이는 것 같습니다. ^^

Q: Is .net core on the radar for the future at all? A: It is not something we’re looking at for the near future, for a few reasons. First, it does not have a full embedding API, as Mono does. Second, it does not support enough platforms currently. We have done some experiments with it though, so I can’t rule it out entirely. But we’re focused on other priorities at the moment, like build size, iteration time improvement, GC, and C#7.





참고로, clang.exe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link.exe와 함께 PATH가 정상적으로 잡혀 있지 않으면 다음과 같은 식의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mono --aot Program.exe
Mono Ahead of Time compiler - compiling assembly C:\temp\Program.exe
AOTID B742BABC-9819-CB33-8E48-FF192EC74425
Code: 276(29%) Info: 6(0%) Ex Info: 47(4%) Unwind Info: 41(4%) Class Info: 129(13%) PLT: 30(3%) GOT Info: 301(31%) Offsets: 121(12%) GOT: 240
Compiled: 2/2 (100%), No GOT slots: 1 (50%), Direct calls: 0 (100%)
Executing the native assembler: "clang.exe" -c -x assembler  -o C:\Users\testuser\AppData\Local\Temp\mono_aot_a03412.obj C:\Users\testuser\AppData\Local\Temp\mono_aot_a03412
'"clang.exe"' is not recognized as an internal or external command,
operable program or batch file.
AOT of image Program.exe faile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18]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79정성태11/30/201718970오류 유형: 435. System.Web.HttpException - Session state has created a session id, but cannot save it because the response was already flushed by the application.
11378정성태11/29/201720454.NET Framework: 701. 한글이 포함된 바이트 배열을 나눈 경우 한글이 깨지지 않도록 다시 조합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377정성태11/29/201719663.NET Framework: 700. CommonOpenFileDialog 사용 시 사용자가 선택한 파일 목록을 구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376정성태11/28/201724016VS.NET IDE: 123. Visual Studio 편집기의 \r\n (crlf) 개행을 \n으로 폴더 단위로 설정하는 방법
11375정성태11/28/201718878오류 유형: 434. Visual Studio로 ASP.NET 디버깅 중 System.Web.HttpException - Could not load type 오류
11374정성태11/27/201723893사물인터넷: 14. 라즈베리 파이 - (윈도우의 NT 서비스처럼) 부팅 시 시작하는 프로그램 설정 [1]
11373정성태11/27/201722918오류 유형: 433. Raspberry Pi/Windows 다중 플랫폼 지원 컴파일 관련 오류 기록
11372정성태11/25/201725938사물인터넷: 13. 윈도우즈 사용자를 위한 라즈베리 파이 제로 W 모델을 설정하는 방법 [4]
11371정성태11/25/201719628오류 유형: 432. Hyper-V 가상 스위치 생성 시 Failed to connect Ethernet switch port 0x80070002 오류 발생
11370정성태11/25/201719489오류 유형: 431. Hyper-V의 Virtual Switch 생성 시 "External network" 목록에 특정 네트워크 어댑터 항목이 없는 경우
11369정성태11/25/201721619사물인터넷: 12.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 및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상대 좌표, 휠) [1]
11368정성태11/25/201727235.NET Framework: 699. UDP 브로드캐스트 주소 255.255.255.255와 192.168.0.255의 차이점과 이를 고려한 C# UDP 서버/클라이언트 예제 [2]파일 다운로드1
11367정성태11/25/201727256개발 환경 구성: 337. 윈도우 운영체제의 route 명령어 사용법
11366정성태11/25/201718904오류 유형: 430. 이벤트 로그 - Cryptographic Services failed while processing the OnIdentity() call in the System Writer Object.
11365정성태11/25/201721157오류 유형: 429. 이벤트 로그 - User Policy could not be updated successfully
11364정성태11/24/201722978사물인터넷: 11.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절대 좌표) [2]
11363정성태11/23/201723023사물인터넷: 10.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두 번째 이야기)
11362정성태11/22/201719559오류 유형: 428. 윈도우 업데이트 KB4048953 - 0x800705b4 [2]
11361정성태11/22/201722394오류 유형: 427. 이벤트 로그 - Filter Manager failed to attach to volume '\Device\HarddiskVolume??' 0xC03A001C
11360정성태11/22/201722154오류 유형: 426. 이벤트 로그 - The kernel power manager has initiated a shutdown transition.
11359정성태11/16/201721651오류 유형: 425. 윈도우 10 Version 1709 (OS Build 16299.64) 업그레이드 시 발생한 문제 2가지
11358정성태11/15/201726349사물인터넷: 9. Visual Studio 2017에서 Raspberry Pi C++ 응용 프로그램 제작 [1]
11357정성태11/15/201726780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28430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4327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28526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